ritto2024-08-30 10:54:25
그러니까 돌아오지 마
<한국이 싫어서> 리뷰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계나가 한국에 영영 돌아오지 않기를 간절히 바랬다. 좋은 남자 만나서 아이 낳고 사는 게 행복인 곳에 돌아오지 마. 그리고 커다란 해일이 덮쳐올 때, 영화가 자유로운 비극으로 끝나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계나는 그러지 않았다. 그녀는 비극 때문에 한국에 돌아오지만 담담히 이야기를 전하고 다시 떠난다.
20대 중반, 인천에서 강남으로 매일 마을버스와 지하철에 몸을 싣고 통근하는 계나는 더 이상 견딜 수가 없다. 이 회사는 뭘 하는 곳인지, 나는 무슨 일을 하고 있는 건지 알 수가 없다. 5일 치의 관료제에서 살아남으면 주말에는 7년간 사귄 남자친구와의 결혼 압박이 기다리고 있다. 어느 모로 보나 이렇게 흘러가는 삶이 계나의 행복이 아닌 것은 분명한 것 같다. 그래서 계나는 떠나기로 한다. 대체 뭣 하러 직장 때려치우고 뉴질랜드까지 가느냐는 질문에 그녀는 ‘한국이 싫어서,’ ‘비전이 없어서’ 라는 말로 모든 답을 일축한다.
계나의 목표는 무엇일까. 도피성 워킹 홀리데이를 떠난 그녀에게 뚜렷한 목표는 없다. 그저 한국의 지독한 추위가 싫어서, 인천부터 강남을 오가는 출퇴근길이 싫어서 계나는 남반구에 도착해 대학 생활과 아르바이트부터 다시 시작한다. 그럼에도 쏟아지는 노을을 맞으며 자전거를 타는 계나의 얼굴에는 서울 지하철 2호선 환승역에서는 좀처럼 보기 힘든 평안이 깃들어 있다. 그리고 그 순간 관객은 깨닫게 된다. 계나는 더 좋은 집도, 직업도, 남자도 아닌 바로 그런 순간을 위해서 한국을 떠난 것이라는 걸. 이 도피성 워홀은 원대한 목표를 좇는 것이 아니라 삶을 조금이라도 더 즐겨 보려는 노력이다.
한편 <한국이 싫어서>는 원작 소설에 적혀 있었을 속마음, 불안정 같은 정서를 표현하는 데에 영화 매체의 특징을 자유자재로 활용했다. 뉴질랜드에서의 생활과 한국에서의 삶을 점프해 가면서 마치 둘 모두가 꿈인 것 같은 순간을 만들어낼 때마다, 꼭 계나에게 힘든 순간이 찾아올 때마다 하는 다짐이 들리는 것 같다. 회의감이 들 때마다 왜 여기 왔는지 떠올려 보는 것이다. 나의 삶이 송두리째 바뀌는 결정들을 남자친구는 속 편하게 잘도 들먹였지, 하고. 그래서 이 작품은 한국 사회를 고발하는 코미디, 드라마에서 정체되지 않고 동시대 관객에게 손을 내미는 이야기가 된다. 고아성 배우가 연기하는 보통의 얼굴, 뜻밖의 비극과 ‘그래도 한번 해 볼까’ 하는 작은 희망, 영화 언어를 통해 오가는 장소들을 경유해 <한국이 싫어서>는 공감과 위로를 선사한다.
그러니 한국이나 뉴질랜드나 똑같아, 도망친 곳에 낙원은 없지. 하고 팔짱 낀 채 스크린을 쳐다보지 말자. 그래봤자 꾸벅꾸벅 졸면서도 아이엘츠를 들이파고 있는 계나들을 막을 수 없다. 나열할 수조차 없는 수많은 이유로, 한국이 싫어서, 한국이 너무 싫어서…
* 본 리뷰는 하이스트레인저 씨네랩에서 초대받은 시사회 참석 후 작성되었습니다.
- 1
- 200
- 13.1K
- 123
- 1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