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4회 전주국제영화제 기획기사2023-05-01 17:36:35
[JIFF 데일리] 박하경을 쫓는 매력에 빠지다
※씨네랩 크리에이터로 초청받아 영화제에 참석해 관람한 작품입니다.
[드라마 <박하경 여행기> 스틸컷 / 출처: 다음 영화]
소탈한 여행 이야기가 선사하는 두근거림
배우 이나영의 4년 만의 드라마 복귀작인 박하경 여행기는 웨이브에서 5월 24일 공개 예정인 드라마이다. 이번에 전주국제영화제에서 총 8화 중 1-4화까지의 내용을 선공개하여 미리 볼 수 있었다.
사실 이나영 배우의 작품을 거의 본 적이 없어서 평소 어떤 역할을 맡아왔는지 알지 못했는데 이번에 맡은 박하경 역할은 굉장히 매력적이었다. 우선 드라마 자체가 옴니버스 형식이기 때문에 극 중 박하경이 어떤 사람인지 잘 드러나지는 않지만 일상이 힘들고 지칠 때 훌쩍 여행을 떠난다는 기본적인 설정만으로 지난한 일상을 보내는 현대인을 설레게 하기는 충분했다.
이 드라마가 가진 매력은 소탈함이다. 25분이라는 짧은 러닝타임 동안 주인공 박하경은 어딘가로 훌쩍 떠나서 생각지도 못했던 하루를 보내고 돌아온다. 모든 여행은 지나고 보면 너무 짧게 느껴지듯 드라마의 한 편 한 편도 매우 짧다. 하지만 그 속에는 여러 사람들이 살아가는 이야기가 담겨있다. 짧은 시간 안에 전달되는 이야기는 그 주제가 무엇이든 가볍게 우리 옆에 다가온다. 그리고 여행이 끝나면 이야기 역시 그렇게 끝나버린다. 여기서는 다음 이야기에 대한 궁금증도 복잡한 서사도 있지 않다.
주인공 박하경은 이러한 작품의 특징을 인물로 옮긴듯한 캐릭터로 그녀는 주인공이지만 크게 두드러지지도 대단하지도 않다. 그저 당일치기 여행을 온 것처럼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 속에 짧게 머물다 갈 뿐이다. 이러한 극의 흐름들이 자극이 넘쳐나는 시대에 영상을 바라보는 우리의 부담을 덜어가준다. 관객은 그저 짧은 이야기를 따라 함께 당일치기 여행을 다녀올 뿐이다. 여기에는 어떤 준비도 필요하지 않고 설사 무슨 문제가 생기더라도 여행의 끝나면 모두 지나갈 문제들에 불과하다.
이런 소탈함은 오히려 관객을 몰입하게 만들고 다음 여행을 기대하게 만든다. 회차가 거듭될수록 이런 기분 좋은 기다림이 쌓여가면서 드라마와 박하경의 팬이 되어가는 것이다. 마음 같아선 시즌제로 제작되어서 10년째 제작 중인 <고독한 미식가>처럼 오랫동안 계속해서 나와주는 힐링 드라마가 되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 특징 역시 여행과 맛집이라는 유형이 다를 뿐 일견 비슷한 부분이 있다고 느껴졌다.
[드라마 <박하경 여행기> 스틸컷 / 출처: 다음 영화]

작성자 . null
- 1
- 200
- 13.1K
- 123
- 10M
-
반전포인트와 소소한 스토리
11.01 에 본영화 .배우들의 다양한 배역과 입체적인 캐릭터, 90년대 후반의 시대를 엿보는 맛은 쏠쏠하지만,다른 성별이 판단한 여자의 모습을 제3자의 입장에서 봤을때, 참으로 어색하고 우스꽝스러운 장면이 몇 가지 있는건 어쩔 수 없는 한계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