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리뷰2024-11-17 01:13:27
누군가는 광화문이 만남의 장소일 수도 누군가에게는 이별을 경험한 장소일 수도 있다.
시놉시스
남자는 여자를 종로 거리에서 우연히 만난다. 남자는 여자를 알고 있고 여자도 남자를 알고 있다. 둘은 전에 사귀었던 사이였을 수도 있다. 하지만 지금은 그렇지 못한 사이이기 때문에 서로 이야기만 나누고 갈 길 간다. 첫 이야기는 여기서 끝나고 또 다른 남자와 여자가 등장한다. 여자는 서울극장에서 영화 패널을 소개하는 직업을 갖고 있고 남자는 여자와 일면식이 있어서 회식이 끝나고 여자를 따라가 이야기를 나누는데... 과연 이들의 관계와 복잡한 연애사는 어떻게 끝을 맞이할까?
이란 어느 한 남자의 정처 없이 떠돔이기도 하며 다른 남자에게는 새로운 기회이기도 하다. 연인 관계가 돌고 돌 듯 첫 번째 이야기에서 나온 남자의 12시와 12시를 연결하는 구간이란 게 영원을 뜻하는 건데 만남과 이별도 계속 반복하며 겪는 게 아닐까 싶다. 첫 번째 이야기의 남자는 여자와 만나고 서로 변한 것이 있다고 말하지만 정처 없이 떠돌아다니는 미술학도의 모습이 그려지는 남자의 모습을 보며 여자도 자신의 직업에 열중하며 살아간다.
이 영화에서 많이 나오는 주제는 바로 광화문에 있는 이순신 동상이다. 이순신 동상에 대한 왈가왈부한 많은 미스터리들이 영화에서 많이 거론되는데 첫 번째 이야기에서 남자와 여자가 이순신이 쥐고 있는 칼자루가 왼손이냐 오른손이냐 하는 논란과 이순신의 모습과 이순신 동상을 세운 작가의 얼굴을 넣은 것이다 하는 것들의 이야기를 나눈다.
두 번째 이야기도 이 논제를 벗어나지 않고 이순신 동상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데 세월이 흘러감에 따라 광화문의 자리도 달라지며 자신들도 미래에는 변화의 가능성이 있다는 걸 영화에서는 보여주고 있다.
광화문 로맨스라는 말에 현혹되어 본 영화이기도 하다. 사실은 로맨스를 가장한 로드 무비가 맞는 것 같고 서울에서 유명한 광화문 광장의 거리를 각 챕터 별로 사연 있는 남자와 여자가 걸으며 지나가는 종로 거리의 사람들과 그곳에 남아있는 추억들 그리고 우리가 알지 못한 이순신 동상에 대한 세세한 이야기들과 종로 거리가 개화기 때와 비교하면 어떤지도 잘 나타내고 있다.
미망은 표류하는 바다의 돛단배일 수도 있다. 아니면 누군가가 가진 부유하는 허공의 기억일 수도 있고 누군가를 떠나보낸 안타까운 그리움일 수도 있다. 그래서 이 영화는 인상이 깊나 보다.
누군가에겐 그 거리가 추억이 펼쳐질 수도 있고 또 다른 누군가에겐 그곳이 유별난 곳일 수도 있다. 각자의 시선이 바라보는 길거리의 모습은 각각의 사물을 바라보는 관점과 같을 것이다. 그렇기에 사람들은 길거리를 걷다 보면 누군가의 연인이 되었다는 생각도 해볼 수 있고 누군가와 만남이 있었던 장소일 수도 있고 어떤 사람들은 그저 아무런 추억도 남기지 않고 싶을 수도 있다.
<미망>이라는 영화는 세 개의 챕터별로 남자와 여자의 이야기가 나오지만 광화문에 대한 기억은 각자 다르다. 그래도 이들은 자신의 추억을 광화문과 공유했고 그럼으로써 그곳을 기억하고 있다. 아마도 장소에 대한 추억이란 사람이 느끼는 그 무엇보다도 값진 게 아닐까 싶다.
그 길거리는 많은 시각적 경험을 갖고 있더라...
※ 씨네랩의 크리에이터로써 영화 시사회에 초대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작성자 . null
- 1
- 200
- 13.1K
- 123
- 10M
-
반전포인트와 소소한 스토리
11.01 에 본영화 .배우들의 다양한 배역과 입체적인 캐릭터, 90년대 후반의 시대를 엿보는 맛은 쏠쏠하지만,다른 성별이 판단한 여자의 모습을 제3자의 입장에서 봤을때, 참으로 어색하고 우스꽝스러운 장면이 몇 가지 있는건 어쩔 수 없는 한계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