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리뷰2025-04-09 15:22:19
[시사회] 참신한 아이디어, 하지만 그것만 가지고 영화를 만들 순 없으니까요
등급 | 12세 이상 관람가
장르 | SF, 드라마
러닝타임 | 83분
씨네랩 크리에이터로 <귀신들> 시사회에 다녀왔습니다!
영화에 대한 리뷰에 앞서 한국 SF에 대한 이야기를 하지 않을 수 없겠습니다.
한국 영화계에서 SF 장르는 늘 ‘고위험 고비용’의 영역이었습니다. 큰 자본을 필요로 하지만 그만틈 흥행하는 일은 많지 않기 때문이죠. 대표적인 사례가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된 <고요의 바다>(2021)와 국내 최초 우주 SF 블록버스터를 표방한 <승리호>(2021)입니다. 전자는 무중력 구현이나 달 기지 세트 등 시각적 성취는 인정받았지만, 과학적 세계 설정이 허술하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었습니다. 후자 역시 우주 배경이라는 낯선 외피를 썼지만, 내러티브는 여전히 익숙한 ‘가족 중심의 드라마’에 가까웠습니다. 장르적 실험이라기보다 장르의 의상만 입은 셈이었다는 지적도 많았는데요.
드라마계로 눈을 돌려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파스타>, <질투의 화신> 등을 통해 현실감 있는 캐릭터와 재치 있는 대사로 이름을 알린 서숙향 작가 역시 2024년 500억 원대 대작 <별들에게 물어봐>에서 고배를 마셔야 했습니다. ‘우주정거장에서 벌어지는 로맨스’라는 설정은 참신했지만, 서사와 설정 모두 장르 팬과 대중의 기대를 만족시키지 못했습니다. 해당 작품 SF 특유의 세계 구축보다는 전형적인 지상극의 감정선을 우주 배경에 억지로 올려놓았다는 인상이 강했다는 평을 받았습니다.
SF는 단순히 배경에 변주를 준다고 완성되는 장르가 아닙니다. 기술이 어떻게 발전했는지, 그로 인해 사회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그 안에서 사람들이 어떤 식으로 살아가는지를 설득력 있게 보여줘야 하죠. 그리고 그런 설정 위에 인물들의 행동과 갈등이 자연스럽게 어우러질 때, 관객은 ‘이런 미래가 정말 올 수도 있겠다’고 느끼게 됩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한국 SF 영화는 장르 마니아들에게 아쉬운 평가를 받아 왔습니다. 흥미로운 상상으로부터 시작된 배경은 있지만, 그 안의 세계가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설명이 부족할 때가 많았기 때문이었죠. 이야기 전개나 감정적인 장면을 위해 SF적 설정이 도구처럼 쓰이는 경우도 흔했습니다. 굳이 SF여야 할 이유가 없는 것이죠.
이런 상황에서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토종 SF는 과연 어떻게 자리 잡을 수 있을까요? 수백억 원의 제작비를 들인 작품도 관객의 기대를 채우지 못한다면, 방식 자체를 바꿔볼 수도 있지 않을까요?
<귀신들>은 SF를 지향하지만, 수백억을 들이진 않았습니다. 이것이 가장 직관적인 장점입니다. 적은 예산을 들인 독립영화이고, 거창한 기술보단 미래에 대한 아이디어로 이야기를 전개해 나갑니다. 이런 방식으로도 충분히 다양한 주제를 다뤄내는 SF 영화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귀신들>이 한국 SF가 해결해야 할 숙제들을 모두 해결한 작품인가요? 누군가 묻는다면 전 안타깝게도 그렇지는 않다고 대답할 겁니다. 아이디어를 이야기로 구현해나가는 과정에서 매끄럽지 못한 지점이 보였어요. 하지만, SF라는 장르에 꼭 아주 큰 자본을 업고 발을 들이지 않아도 된다는 점을 상기시켜준다는 면에서 칭찬하고 싶습니다.
서론이 길었습니다. 본격적으로 작품 얘기를 해볼까요?
※ 영화 <귀신들>의 내용에 대한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영화는 총 5개의 챕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각 에피소드는 동일한 세계관을 공유할 뿐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독립적인 이야기들입니다. 때문에 각기 다른 단편영화들을 모아둔 것처럼 보입니다. 시놉시스에서는
치매를 앓는 노파에게 찾아온 어린 아들은 대뜸 거금을 요구하고, AI들이 N백년째 인간 대신 아파트 대출금을 갚고 있지만 신도시는 계속 생겨납니다. 또한 길냥이처럼 버려진 애완용 AI들의 처리 문제로 인간들 사이에서 갈등이 빚어지고, 죽기 전에 자신을 대체할 AI에게 자신의 정보를 업데이트 해야하는 의무가 생기는, 불과 몇 년 뒤, 대한민국에서 벌어질 뉴스들을 미리 들여다봅니다.
라고 되어 있어 하나의 큰 이야기처럼 보이지만, 시놉시스에서 언급된 모든 사건은 각 에피소드의 중심 사건입니다.
첫 번째 에피소드 “보이스피싱”은 치매 노파에게 잃어버린 아들이 찾아와 돈을 요구하며, 자살방지법, 아이작 아시모프의 로봇 제 3원칙과 관련한 지점을 보여줍니다. 인공지능 로봇이 인간에게 돈을 요구할 수는 있지만, 직접적으로 인간을 직접 해할 수는 없다는 정보는 이후 에피소드를 관람하며 세계관에 대해 알아갈 때에도 단서가 됩니다.
두 번째 에피소드 “모기지”는 인간이 인공지능 로봇에게 빚을 대물림하는 세계를 보여줍니다. 심지어는 모기지론을 설명하는 인공지능 로봇은 상담을 받는 인공지능 로봇에게 ‘빚을 다음 세대 로봇에게 넘기라’고 조언하죠. 나의 벌이로 나의 수명 내에는 결코 내 집을 구할 수 없는 세대를 다룹니다. 해당 에피소드에서는 인간과 구별할 수 없을 만큼 발달한 인공지능 로봇이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인간과 똑같이 고달프게 살아가죠. <귀신들>에서 다뤄내고자 하는 인공지능 로봇의 특성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 에피소드 “음성인식”에는 버려진 애완용 로봇들을 거두는 주인공이 등장합니다. 로봇을 반려로 들이고 책임지지 않는 사람들, 그리고 로봇을 거두는 사람들의 목적 같은 부분을 다시금 생각해보게 합니다.
네 번째 에피소드는 “페어링”입니다. 해당 에피소드에서는 사후세계에 대한 내용이 등장합니다. “클라우드 팜”이라는 다른 우주에 죽은 사람들을 연결해 계속 지낼 수 있게 한다는 설정인데요. 해당 에피소드에서 죽은 사람들을 로봇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정보도 주어집니다.
마지막 에피소드인 “업데이트”에서는 “모기지”에서 언급되었듯, 로봇이 대를 이어 작업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을 다룹니다. 작가인 주인공과 동일한 외관을 가진 로봇이 주인공을 찾아오죠. 출판사에서는 로봇에게 주인공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주인공이 다 마치지 못한 작업을 완료해 출판하려 합니다.
전체 작품을 관통하는 키워드는 역시 제목인 “귀신”입니다. ai를 귀신으로 일컫는 대사가 등장하죠. 우리는 무척 뛰어나거나, 탁월하거나, 이질적인 대상에게 “귀신같다”고 말합니다. 인간의 능력을 능가하는, 그리고 인간과 매우 유사하지만 어딘가 이질적인 ai를 귀신과 같은 존재로 비유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표현에도 설득력이 부족하다는 느낌이 있었습니다. 왜 “귀신”인지 짐작할 순 있지만 확정적으로 알 순 없습니다.
이러한 모호함은 모든 에피소드에서 드러납니다. 관객이 세계관을 이해하기엔 다소 정보가 부족합니다. 동일한 세계관을 공유하고 있다면 각 에피소드간의 유기성이 보여도 좋을 것 같은데, 일단 세계관 자체가 구체적이지 않다 보니, 작품을 보며 맞춰갈 퍼즐 자체가 많지 않습니다.
“보이스피싱”과 “음성인식”의 결말은 특히 더 모호합니다. 사건이 처음부터 다시 발생하는 것 같은 장면으로 끝이 납니다. 하지만 영화에서 제공하는 정보만으로는 왜 같은 일이 반복되는지 알 수 없습니다.
83분이라는 길지 않은 러닝타임 동안 이 모든 이야기를 밀도 있게 풀어나갔는가? 가 본 영화의 핵심이었는데요. 개인적으로는 아쉬움이 큰 지점이었습니다. 각 이야기의 설정을 뒷받침할 세계관이 견고하지 않아, 관객이 이해하거나 몰입할 수 있는 여지가 크지 않다고 느꼈습니다. 영화를 다 보고 나서도 해당 세계관에 대해 누군가에게 제대로 설명해줄 수 없었습니다. 영화는 현대 사회의 여러 문제들과 닮아있는 근미래의 문제들을 다루며 이야기를 만들고자 하지만, 디테일한 설정이 제공되지 않아 혼란을 주었는데요. 감독이 이야기하고자 한 주제는 분명 있었겠지만, 그것을 이야기로 옮겨놓았을 때 밀도가 약하다고 느꼈습니다. 더더군다나, 영화에서는 근미래의 문제로 이어지는 현대의 사회문제들을 보여주는데,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깊은 고찰 역시 필요해보였습니다.
“가능성의 발견” 정도로 정리할 수 있겠습니다. 다듬고 구체화시키면 생명력을 얻을 수 있을 것 같은 세계관, 자본을 많이 들이지 않아도 이야기를 전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영화라고 느꼈습니다.
사진: 하이스트레인저 제공 자료
- 1
- 200
- 13.1K
- 123
- 10M
-
반전포인트와 소소한 스토리
11.01 에 본영화 .배우들의 다양한 배역과 입체적인 캐릭터, 90년대 후반의 시대를 엿보는 맛은 쏠쏠하지만,다른 성별이 판단한 여자의 모습을 제3자의 입장에서 봤을때, 참으로 어색하고 우스꽝스러운 장면이 몇 가지 있는건 어쩔 수 없는 한계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