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영화 리뷰2025-04-12 19:19:32

오점 위에 선 존재들의 번뇌



 

질문으로부터 시작되는 삶 

원치 않은 탄생의 원죄는 누구에게 물어야 하는가. <프랑켄슈타인 아버지>는 의대 시절 정자를 불법 기증한 도치성(강길우)과 그로부터 태어난 소년 신영재(이찬유)의 의도된 만남을 시작으로 그 질문에 신중하게 답을 내린다.

삶은 알 것 같다가도 손 뻗으면 금세 사라져 버리는 신기루와도 같은 존재다. 명확한 답이랄 게 없어 생각들을 충돌시키고 갈등 빚게끔 한다. 정치도 그런 이유로부터 시작한 것임이 분명하다. 각자가 지향하는 바가 다르니 서로 그 이상을 찾기 위해 설득하고 부딪혀야만 하는 것일 테다. 그런 삶의 일시적 성격은 방황에서 극대화한다. 방황하는 시기의 단골 소재인 존재 이유를 찾는 철학적 번뇌로부터 우리는 그 알 듯 말 듯 간질거리는 마음을 느낀다. 그렇기에 영재의 나이를 방황하기에 적격인 청소년기로 설정한 것은 다른 여지 없이 적절했다.

 

 

검증하고, 입증하라

영재는 육상에 흥미와 재능을 느끼고 가까이하고자 했으나, 그 꿈은 영재의 심장병으로 금세 좌절된다. 병으로 인한 방황에서 영재는 출생의 비밀을 알게 되고 치성을 만나기로 한다. 영재는 치성의 집에 찾아가 대뜸 손해배상금을 요구한다. 꿈이 좌절될 위기에 처했으니, 자신의 생물학적 아버지로서 병이 유전되었을 수 있다는 근거 때문이다. 설득력 있는 행위임은 틀림없다.

치성은 영재가 확실한 친자임을 확인하고 그 심장병의 근원이 자신이 아님을 분명히 한다. 치성이라는 인물이 자신의 삶을 엄격한 루틴 속에서 통제한다는 특징이 이 과정에서 확연하게 드러난다. 엄격과 통제를 상징하는 것으로 봐도 무방한 인물이 유일한 실수이자 방심이었던 정자 기증을 그 검증 과정으로 다시 지우려는 것이다. 이는 나름 합리적인 선택으로 보인다. 치성은 스스로 세운 기준선에서 삶을 관성 속에 두는 것을 우선으로 한다. 그렇기에 갑작스레 자신만의 규율을 깨뜨린 영재의 앞에서는 자신의 삶에 오점이란 것이 없었음을, 특히 영재의 생물학적 아버지로서 가치가 분명히 있었음을 입증하는 것이 치성에게는 중요한 행위이었을 것이다. 심지어는 그 정자 기증을 정당화해 삶의 오점이라는 꼬리표를 떼는 것을 목표로 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 영화는 영재가 느낀 자신의 오점을 생물학적 아버지인 치성으로부터 검증하려는 과정과 치성이 자신의 존재와 삶에는 오점이 없었음을 입증하려는 자체 검증 과정이 병존하는 서사임이 드러난다.

 

그 검증 과정에서 영재의 법적 아버지인 신동석(양흥주)의 등장은 자연스레 얽혀든다. 동석은 심장병으로 인해 육상을 하기 어려워진 영재가 더는 그 꿈을 오기 하나로 짊어지기를 원치 않는 인물로 그려진다. 목표에 닿기 위한 노력의 과정부터가 난항임이 예상되는 것을 아버지로서는 가만히 두고 보기는 어려운 일이다.

<프랑켄슈타인 아버지>는 그런 동석의 타자로 향하는 통제적 성격을 은근하게 치성의 스스로를 향한 통제적 성격과 유사하게 보이도록 서술한다. 치성은 자신을 통제함으로써 자신의 삶에 생겨난 허점이라는 구멍을 메우려 하지만 동석은 그 허점을 영재에게 가하는 통제를 통해 채우려 하는 것이다. 자기 유전자가 섞이지 않았기에 그 유전자로 일어난 일들로 향하는 관심의 방향을 돌려야만 한다. 그래야만 동석은 영재가 출생의 비밀에 관심 두지 않게 할 수 있고, 영재는 자신의 뿌리에 관한 관심을 거둠으로써 심장병과 생물학적 아버지에 관한 원망이라는 찝찝한 구덩이에서 벗어나 살 수 있을 것이다.

 

 

서사의 절정, 오점의 대면

세 명의 얽힌 가족 관계가 서사의 절정을 마주하는 시점은 당연하게도 삼자대면하는 순간이다. 그리고 그 순간은 두 아버지가 각자의 오점을 마주하게 되는 때가 된다. 비로소 치성은 동석을 마주함으로써 숨겨두었던 자신의 유년 시절과 자신의 오점이었던 아버지의 존재를 깨닫게 된다. 동석은 기증자인 치성을 만남으로써 영재가 자신의 유전자를 통해 생겨난 자식이 아님을 재인하게 된다. 이야기는 자연스레 절정을 향하고, 치성과 동석은 각자 지니던 통제의 성격을 극대화하기에 이른다. 치성은 동석을 자신의 아버지에 비추어봄으로써 영재가 그에게 돌아가지 못하게 만들려 하고, 동석은 영재가 치성을 만나지 못하게 할뿐더러 그의 일상을 점점 옥죄기 시작한다.

그렇게 <프랑켄슈타인 아버지>는 타인의 의도로 삶이 쥐어진 프랑켄슈타인의 피조물과도 같았던 영재의 질문으로부터 시작한 이야기가 두 아버지가 프랑켄슈타인의 피조물이 되듯 맞물리는 과정으로 변하기에 이른다. 영화는 자연스레 관객들에게 질문을 던진다. 결국은 영재뿐 아니라 치성과 동석도 각자의 아버지로부터 삶이 쥐어진 프랑켄슈타인이 아니겠는가. ‘두 아버지(치성과 동석)와 하나의 아들(영재)’하나의 아버지(동석)와 두 아들(치성과 영재)’, 그리고 세 아들(치성과 동석, 영재)’의 이야기가 되어간다.

 

 

질문은 날카로웠지만, 결말은 흐릿했다

앞서 이야기했듯 삶을 통해 얻게 되는 질문은 모두 다르다. ‘왜 나는 이러한 삶을 사는가.’, ‘나는 왜 자식에게 이 정도밖에 해 주지 못했는가.’. 저마다 느끼는 삶의 오점과 그 오점의 근원을 찾아가는 시도는 끝없이 벌어진다. 다만 그 삶의 근원을 단 한 세대 위, 즉 부모에게서 찾는 것은 흐릿한 외곽선조차도 얻기 힘든 일이 된다. 모든 질문이 끝없이, 무한히 반복되고 전유된다. 그렇기에 배역들조차도, 관객들조차도 분명히 답을 내릴 수 없게 된다. 그만큼 수많은 딜레마를 유발하는 철학적 고민을 <프랑켄슈타인 아버지>가 담아낸다.

어쩌면 그 고민을 담아내고자 한 시도가 대단하지만 어려운 선택이었음을 영화의 엔딩이 보여주는 것일까. 복잡한 살아가는 것에 관한 철학적 고민과 그를 향한 치밀한 플롯의 진행과는 다르게 그 마무리가 가지는 힘은 매우 미약하다. 영화가 반복적으로 보여주는 바다와 요트의 이미지가 뿌옇게 드러날 뿐이다. 유쾌하면서도 슬픔이 묻어나는 세 명의 추격전을 비한다면 그 무게의 가벼움이 더욱 다가온다. 그 가벼운 끝이 <프랑켄슈타인 아버지>의 몇 안 되는 오점이 된 것은 아닐까.

<프랑켄슈타인 아버지>에는 최재영 감독의 노력이 느껴진다. 독립영화가 가지는 예산의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서사를 뒤받치는 공간적 배경이나 조형적 요소들이 나름의 설득력이 있다. 인물에 관한 연구와 그에 맞는 조형적 요소들을 갖추려 했던 시도들이 있었음은 분명하다. 그 섬세한 노력은 특히 <프랑켄슈타인 아버지>의 플롯의 구조에서 돋보인다. 플롯의 세부적인 점에서 관객을 향하는 그 설득력의 기복이 존재한다는 지적이 있지만, 다소 영화를 무겁게 만들 수 있는 소재를 가지고서 적당한 무게와 속도를 유지해 냈다는 것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자 한다. 서사의 전개 과정에서 적절하게 관객의 웃음을 자아낼 수 있는 장면들을 섞어 넣었다는 것에서도 <프랑켄슈타인 아버지>의 긍정적인 모습을 엿볼 수 있었다. 최근 국내 영화산업의 침체와 더불어 독립영화에 관한 우려 섞인 목소리들이 이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작년 약진을 보였던 <장손>, <한국이 싫어서>와 같은 작품에 뒤이어 <프랑켄슈타인 아버지>와 같은 작품이 스크린에 모습을 보인 것은 우리가 기대를 모아볼 수 있는 이유가 되지 않을까.

 

작성자 . null

출처 . https://tobe.aladin.co.kr/n/389616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 쿠니
    2020.10.13. 19:14

    반전포인트와 소소한 스토리

    쿠니
    2020.10.13. 19:14

    11.01 에 본영화 .배우들의 다양한 배역과 입체적인 캐릭터, 90년대 후반의 시대를 엿보는 맛은 쏠쏠하지만,다른 성별이 판단한 여자의 모습을 제3자의 입장에서 봤을때, 참으로 어색하고 우스꽝스러운 장면이 몇 가지 있는건 어쩔 수 없는 한계인가?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