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영화 리뷰2025-04-14 23:42:52

변함없는 20년 지기 영국 누나의 사랑학개론

 

 

역시 이 누나는 변함이 없다. 그래서 좋아할 수밖에. 2000년대 초반에 만났을 때가 엊그제 같았는데, 20여 년이란 세월이 흘렀다. 이젠 두 아이의 엄마이자 50줄에 접어든 브리짓 존스이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사랑스럽다. <브리짓 존스의 일기: 뉴 챕터>는 오랫동안 우리 곁에 있었던 브리짓 존스의 변함없는 매력을 전하는 동시에 조금 더 성숙해진 사랑의 개념을 그녀의 에피소드를 통해 전한다. 1편부터 그녀와 함께 걸어온 관객들이라면 이 영화는 그 자체로 반가운 작품이다. 그것도 눈물 나게. 

 

 

 

 

 

 

브리짓 존스(르네 젤위거)의 아침은 전쟁터다. 이제 두 아이의 엄마로서 아이들을 등교시켜야 하는 그녀는 매일 이 쉽지 않은 일을 해낸다. 몇 년 전 사고로 유명을 달리한 남편 마크 다시(콜린 퍼스)가 이었으면 더 수월했을까하는 생각이 들지만, 그녀는 현실을 마주하며 특유의 웃음으로 하루하루를 버텨간다. 그러던 어느 날, 브리짓은 이렇게는 살 수 없다는 생각에 다이어리를 다시 쓰고, 방송국에 취직해 일을 한다. 그리고 새로운 사랑도 시작한다. 그것도 20대 꽃미남 록스터(리오 우달)과의 열정적인 사랑을. 더 나아가 아이들이 다니는 학교 동년배 교사 스콧(추이텔 에지오포)과도 점점 가까운 사이가 된다. 

 

<브리짓 존스의 일기>(2001)가 30대 여성의 현실을 보여준 것처럼, 네 번째 시리즈인 <브리짓 존스의 일기: 뉴 챕터>는 극 중 브리짓 존스의 나이에 맞게 50대 여성들의 현실을 조명한다. 예전처럼 그녀는 불투명한 미래와 진정한 사랑 찾기에 상처받고, 외로워하며, 이를 술과 애정하는 친구들과의 수다로 풀지 않는다. 나이를 먹었고, 두 아이를 키워야 하는 입장이며, 사별의 아픔도 가슴 속에 남아 있다. 당연히 다른 사람들의 시선에도 민감해질 수밖에 없고, 예전처럼 당당함과 용기도 줄어들었다. 

 

 

 

 

 


50대라면 충분히 공감대를 살 이야기를 전반부에 뿌린 영화는 이를 발판 삼아 20대 남자와의 불같은 사랑으로 환기한다. 현실에서 쉽게 이뤄질 수 없는 판타지이지만, 브리짓은 이 잊고 지냈던 뜨거운 감정으로 점점 화사하게 빛난다. 그리고 우중충했던 과거의 삶과 안녕을 고한다. 중요한 건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는 점이다. 영화는 열병과도 같은 이성과의 사랑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닌 그 범위를 확장한다. 

 


인생을 살아가면서 조금은 성숙해진 브리짓처럼 영화 또한 시리즈의 중심축인 ‘사랑’의 개념을 확장하고 성숙한 시선으로 표현한다. 사는 환경이 변했고, 위치가 달라졌고, 더 챙겨야 하는 이들이 많아진 브리짓 존스의 중요한 선택들은 전작들보다 현실적이고, 그 자체로 공감대를 갖는다. 이를 통해 동년배 관객들은 고개를 끄덕이는 동시에 자신의 삶을 돌아보는 기회를 얻는다. 어쩌면 이 부분이 관객의 마음을 흔드는 주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앞서 소개한 것처럼 이번 영화는 단순히 추억 팔이에만 무게 중심을 둔 작품은 아니다. 중년여성으로서 갖는 고민과 두려움을 충분히 들려주고, 이를 조금씩 타파해 가며 제2의 인생을 살아가는 브리짓의 모습을 보여준다. 다만, 전작들에 비해 갖가지 에피소드들이 나열되어 이어진다는 점에서 짜임새는 헐겁다. 

 

 

 

 

 


이런 단점에도 이 영화가 사랑스러운 이유의 8할은 르네 젤위거에서 나온다. 나이가 들어도 변함없는 기분 좋게 만드는 그의 모습은 이 영화의 동력으로 작용한다. 해맑은 눈웃음만 봐도 마음을 열리게 하는 그 마법 같은 순간이 계속 이어지는데, 순간 20여 년전 처음 만났던 그때의 모습이 오버랩된다. 나이가 들어도 엄마가 되어도 2%, 아니 20% 부족하지만, 여전히 따뜻하고 사랑스러운 이 캐릭터는 르네 젤위거만이 연기 할 수 있다는 생각이 저절로 든다. 이런 모습을 조금 더 쉽게 떠올릴 수 있도록 예전에 입었던 파자마와 음악, 상황 등을 만든 제작진의 노력도 빼놓을 수 없다. 

 


다니엘 역에 휴 그랜트를 비롯해, 시리즈에 출연했던 다수의 배우가 등장하는데, 너무나 오랜만에 만나는 친구처럼 그리 반가울 수 없다. 특히 르네 젤위거와 마찬가지로 다니엘 역을 맡은 휴 그랜트 또한 그 매력이 변함없다. 그 또한 세월을 비껴갈 수 없었지만, 과거 다니엘의 미워할 수 없는 바람둥이 매력은 그대로 선보인다. 

 

 

 

 


영화는 브리짓 존스와 함께 늙어가는 이들에게는 더할 나위 없는 선물이겠지만, 이 시리즈를 처음 접하는 2~30대에게는 진입장벽이 높은 건 사실이다. 전작에 나왔던 명장면을 패러디하고 주요 아이템을 오버랩시키는 등 팬들만이 아는 즐길 구석이 의외로 많다. 만약 이 영화를 심드렁하게 봤다면 집에서 <브리짓 존스의 일기>를 꼭 한 번 보기 바란다. 50대의 브리짓도 20년전에는 우리와 비슷한 고민을 하고 실패를 경험하고 용기를 냈다는 걸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변함없이 사랑스럽다는 것도. 제2의 인생을 위해 오늘도 웃는 브리짓을 응원한다. 영원히~ 

 

 

 

덧붙이는말: 쿠키는 없다. 하지만 엔딩크레딧과 함께 전 시리즈의 스틸이 화면을 수놓는다. 그 시절 우리가 사랑했던 브리짓 존스와 마크 다시, 다니엘, 그리고 지금도 이 영화 안에서 숨 쉬고 있는 모든 인물의 모습은 그 자체로 탄성을 지르게 한다. 눈물 나는 감동도 전한다. 시리즈의 팬이라면 손수건은 필수니 꼭 가져가길 바란다. 

 

 

 

사진 제공: 유니버셜 픽쳐스 

 


평점: 3.0 / 5.0
한줄평: 세월이 흘러도 변함없이 좋은 영국 누나! 

작성자 . null

출처 . https://brunch.co.kr/@zzack01/310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 쿠니
    2020.10.13. 19:14

    반전포인트와 소소한 스토리

    쿠니
    2020.10.13. 19:14

    11.01 에 본영화 .배우들의 다양한 배역과 입체적인 캐릭터, 90년대 후반의 시대를 엿보는 맛은 쏠쏠하지만,다른 성별이 판단한 여자의 모습을 제3자의 입장에서 봤을때, 참으로 어색하고 우스꽝스러운 장면이 몇 가지 있는건 어쩔 수 없는 한계인가?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