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리뷰2025-04-19 23:36:43
우리가 사랑이라 믿는 모든 것
몇십 년 동안 한 곳에 살았음에도 불구하고 그곳이 집 같지가 않고, 언젠가는 떠나야 할 것 같은 느낌이 드는 곳에서 세 여자는 과연 무엇을 위해 살아가고 있을까. 독일로 떠나버린 남편이 돌아오는 상상을 하는 프라바는 어둠 속에서 남편으로부터 도착한 밥솥을 끌어안는다. 재개발로 인해 몇십 년 동안 살아왔던 집을 한순간에 잃게 된 파르바티는 결국 고향의 집으로 돌아가게 되고, 끝없는 바다와 같은 사랑을 하고 있는 아누는 같이 있을 때만큼은 무섭지 않은 사람과 함께이다. 착각을 믿어야 살아갈 수 있는 도시에서 세 여자는 저마다의 빛을 상상하며 살아가고 있었던 것일지도 모르겠다. 남편이 돌아오는 상상, 죽은 남편과 평생을 함께 살았던 집을 지키는 상상 그리고 사랑이 영원할 것이라는 상상. 이러한 상상에 근거한 착각을 믿어야 미치지 않고 살아갈 수 있기 때문에.
사실 이러한 상상은 전부 사랑으로부터 시작되는 것일 수도 있겠다. 덧없음에 익숙해져야 하는 뭄바이 안에서 세 여자는 사랑하는 것들을 지키며 계속해서 살아가야 하기에. 다양하고 시끄러운 축제가 이어지고 모두 어우러져 춤을 추지만 도통 소속감을 느낄 수 없는 뭄바이는 노동자들에게 낯선 도시로 다가온다. 영화는 뭄바이 속 노동자들을 다루고 있지만 사실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에 속한 모든 노동자를 위한 영화이지 않을까. 잘 안다고 생각했던 사람도 남처럼 될 수 있는 세상 속에서 가끔은 모두가 깊게 잠든 새벽, 창문 밖으로 들어오는 고요한 바람만이 우리를 위로해 주기도 한다.
프라바와 아누는 결국 집을 지켜내지 못한 파르바티를 도와 그녀의 고향으로 향한다. 이어 끝없는 바다와 파도가 펼쳐지는데, 이는 해방감과 자유를 상징하는 듯하다. 파도치는 바다로 뛰어 들어가며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환하게 웃는 파르바티의 표정과 어두운 동굴 안, 그들의 사랑을 동굴 벽에 적어 내리는 아누와 그녀의 남자 친구와 달리 프라바는 여전히 어둠에서 해방되지 못한다. 프라바는 아직 남편에게서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일 수 있겠다.
이내 우연히 조우한 남편이 프라바에게 자신과 함께 가자는 제안을 하지만 관객들의 예상을 비껴가며 프라바는 남편의 제안을 말 그대로 ‘완벽히’ 거절한다. 이러한 프라바의 거절은 어쩌면 그녀가 어둠 속에서 해방되고 싶었기 때문 아닐까. 그녀의 빛이라고 생각했던 남편의 존재는 사실 그녀를 어둠 속으로 밀어 넣고 있는 존재였을 수도 있겠다. 프라바의 빛은 남편이 아닌 그녀의 주변에서 서로의 이야기를 공유하는 파르바티와 아누이지 않았을까. 도무지 빛이 보이지 않는다고 생각했던 뭄바이에서 버틸 수 있던 이유 역시 파르바티와 아누였던 것이다.
어둠 속에서 빛을 상상하는 것은 어렵다. 하지만 우리는 어둠 속에서 길을 잃지 말아야 하기에 살아가는 한 각자의 빛을 상상하며 사랑을 향해 나아가야 하지 않을까. 구름 속으로 네게 사랑을 보낼게. 비가 오면 내 사랑이 너한테 닿을 테니. 비가 오는 어두운 날이더라도 사랑이 담긴 비를 맞으며 빛을 상상할 수 있도록. 그 빛이 너를 살아가게 할 거니까.
<해당 리뷰는 씨네랩으로부터 초청받은 시사회 참석 후 작성한 것입니다.>
- 1
- 200
- 13.1K
- 123
- 10M
-
반전포인트와 소소한 스토리
11.01 에 본영화 .배우들의 다양한 배역과 입체적인 캐릭터, 90년대 후반의 시대를 엿보는 맛은 쏠쏠하지만,다른 성별이 판단한 여자의 모습을 제3자의 입장에서 봤을때, 참으로 어색하고 우스꽝스러운 장면이 몇 가지 있는건 어쩔 수 없는 한계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