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리뷰2025-04-23 18:08:37
차가운 도시에서의 따뜻하고 선명한 빛 <우리가 빛이라 상상하는 모든 것>
<우리가 빛이라 상상하는 모든 것>
기회의 땅. 하지만 모두가 그 기회를 잡은 것은 아니다. 삶의 궤적이 각기 다르듯, 대부분의 사람들은 도시 밖에서 시작해 이 화려한 공간 속에 뿌리내리려 한다. 인도의 경제 중심지이자, 약 2,100만 명이 살아가는 거대한 도시, 뭄바이. 이 영화는 그곳에서 하루하루를 살아내는 프라바, 아누, 파르바티라는 세 여성을 따라간다. 각기 다른 성격과 가치관을 지닌 이들은, 한 가지 공통점을 지닌다. 바로 이 도시에 속하지 못한 ‘이방인’이라는 점.
프라바의 삶은 조용하다. 묵묵히 일하며,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다.얼굴도 보지 못한 채 결혼한 남편은 독일로 떠났고, 그녀는 그가 간헐적으로 보내오는 흔적에 의지하며 살아간다. 그녀는 마치 정해진 삶을 묵묵히 받아들이는 사람처럼 보인다.
아누는 정반대다. 병원에 찾아온 환자에게 몰래 약을 건네고, 일하는 내내 남자 친구를 떠올리며 히죽거리지만 결혼하라는 엄마에게 서스럼없이 거짓말을 한다. 힌두교도인 그녀는, 무슬림 남성과의 연애를 숨기며 살아간다.그녀는 사랑과 섹스 같은 금기어조차도 기꺼이 입에 올리며 선명하게 자신의 욕망을 사랑하는 인물이다.
그리고 파르바티. 그녀는 두 사람보다 훨씬 많은 시간을 이 도시에서 견뎌온 인물이다.병원의 조리사로 일하다 퇴직을 앞두고 있으며, 이제는 삶의 터전까지 위태로운 상태다. 도시에서 버티듯 살아가던 이 세 여성의 삶에, 조용한 바람이 불기 시작한다.
어느 날부터, 삶을 두드리는 작은 바람들이 세 사람을 흔들기 시작한다.사회적으로 금기시되는 일들이 눈앞에서 벌어지고,이방인으로서 깊게 뿌리내리지 못한 이들은 그 작은 바람에도 크게 요동친다. 그리고 서로 다른 방향을 바라보던 세 사람은, 같은 질문 앞에 선다 — 나는 어떤 삶을 선택할 것인가.
이들의 삶을 따라가다 보면 인도 사회를 관통하는 종교과 계급의 구조가 자연스럽게 드러난다. 사랑이나 주거같은 삶의 필수적인 요소들이 통제가 된 상황은 이들의 내면을 깊게 규제한다. 중매결혼을 통해 결혼한 프라바는 남편을 기다리며 사회에서 정상으로 정의한 상태를 유지하려 하는데 그런 프라바에게 호감을 표하는 병원 동료가 나타난다. 그녀에게 시를 써주고, 퇴근길을 기다리는 다정함은 그녀의 마음을 흔들지만 프라바는 애써 마음을 다잡는다. 반면 함께 살고는 있지만 전혀 다른 성격을 가진 아누는 중매결혼을 거부하고 다른 종교인과 연애결혼을 하고 싶어 한다. 자신만의 방법을 찾고 당당하게 맞서지는 못하지만 선명하게 사랑을 한다. 공통점이 전혀 없는 두 사람은 한집에 살면서 서로에게 영향을 준다. 아누의 뒷이야기를 하는 동료 간호사에게 대신 화를 내기도 하거나 외로움을 위로하는 방식으로 말이다. 낯선 도시에서의 삶은 새로운 형태의 가족을 만들어 낸다. 비록 주거 문제로 뭄바이를 떠나야 하는 상황이 올지라도 함께 이사를 도와주며 전기가 들지 않는 집에 빛이 되어준다.
파르바티의 고향에 머물며 혼자 시간을 보내던 프라바는 우연히 바다에 빠진 사람을 구하게 된다. 간호사로 평생을 누군가 보살피며 살아온 그녀가 이곳에서도 사람의 목숨을 구하게 되는데, 사고 이전의 상황을 기억하지 못하는 남자와 부부로 오해를 받게 된다. 영화는 프라바가 나올 때는 줄곧 다큐멘터리처럼 진행되다가 환상적인 장면을 연출하는데, 남자가 그녀의 남편인 듯 이야기를 건넨다. 관객들이 실제 남편인지 아닌지 착각하게 만드는데 그 진실은 상관이 없다. 너무 오래전 얼굴도 잊었을지도 모르는 남편의 얼굴이 어떤 형태를 하고 있던지 프라바는 듣고 싶은 말을 듣고, 하고 싶은 말을 한다. 너무 힘들다고 - 마침내 진심을 전한 영화는 프라바의 삶까지 밝히고 나서야 결말로 드러선다.
아름다운 음악의 선율과 영화 속의 바람, 파도 같은 자연의 소리는 영화에 녹아들어 이들의 눅눅한 삶을 조금 더 아름답게 채운다. 희망이라 생각하는 것들은 빛과 소리의 형태로 스크린을 가득 메운다. 이방인으로서 도시에서의 삶은 낯설기만 하고 더럽고 때로 서럽다. 그러나 그 안을 메우는 것은 특별한 것이 아닌 주변을 밝혀주는 이들의 따뜻한 온기, 작은 시선과 다정함이다.
이것이 이 영화가 말하는 빛이다.
영화는 씨네랩으로부터 초청받아 참석한 시사회에서 보았습니다.
- 1
- 200
- 13.1K
- 123
- 10M
-
반전포인트와 소소한 스토리
11.01 에 본영화 .배우들의 다양한 배역과 입체적인 캐릭터, 90년대 후반의 시대를 엿보는 맛은 쏠쏠하지만,다른 성별이 판단한 여자의 모습을 제3자의 입장에서 봤을때, 참으로 어색하고 우스꽝스러운 장면이 몇 가지 있는건 어쩔 수 없는 한계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