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2021-02-09 00:00:00

청춘들의 공감을 200%로 끌어낸 영화 3편!


출처: 네이버 영화

청춘들을 위한 사계절 힐링 영화 <리틀 포레스트>영화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 <제보자>의 임순례 감독이 4년 만에 돌아온 작품으로 시험, 연애, 취업 등 하나도 뜻대로 되지 않는 일상을 멈추고 고향에서 새로운 봄은 맞이하기 위한 '혜원'의 이야기를 담아냈다. 임순례 감독은 인터뷰를 통해 “도시에 사는 모두가 지치고 피곤해 보일 뿐 행복해 보이지 않는다”며 “다르게 사는 사람들의 모습이 사람들에게 새로운 환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리틀 포레스트>를 만들었다”고 전했다.

편의점 아르바이트를 하며 돈을 벌고, 팔다 남은 도시락으로 연명하며 준비한 임용고시에서 떨어진 혜원은 몸도 마음도 허기져 고향인 시골 마을로 돌아온다. 혜원은 이곳에서 스스로 키운 작물들로 직접 제철 음식을 만들어 먹고, 오랜 친구인 재하, 은숙과 정서적으로 교류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만의 삶의 방식을 찾아간다. 영화는 이 세 친구를 통해 '사람 사이의 관계에서 휴식과 위로를 찾을 수 있다'고 말해준다. 그리고 치열한 삶을 살아가고 있는 청춘들에게 "천천히 가도 된다"고 이야기 해주기도 한다. 영화 속 주인공은 이십대 청춘이지만 영화가 주는 메시지는 이 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에게 '작은 숲'과 같은 따뜻한 위로와 휴식을 선사하기도해 많은 관객들의 강력한 지지를 이끌어냈다.



출처: 네이버 영화


좀 더 과감한 청춘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 <소공녀>는 전고운 감독의 장편 입봉작으로 2017 서울독립영화제 관객상, 2018 부일 영화제 신입감독상, 2018 대종상영화제 시나리오상 등 다양한 영화제에서 수상하며 많은 사람들에게 주목받은 작품이다. 영화 <소공녀>는 가사도우미로 일하는 '미소'에게는 단골 바에서 마시는 하루 한 잔의 위스키, 담배, 그리고 남자친구 한솔이 삶의 위안이지만 새해가 되자마자 기다렸다는 듯 오르는 물가 때문에 취향을 고수하지 못할 위기에 처하게 되고 결국 어느 '취향'도 포기할 수 없어 대신 집을 포기하고 하루하루 친구 집을 전전하는 이야기를 담았다.

월세빵을 빼고 과거 밴드를 함께했던 친구들의 집을 돌며 미소는 "집이 없는게 아니라 여행 중인거야. 집이 없어도 생각과 취향은 있어"라고 말한다. 이처럼 영화 <소공녀>는 좋아하는 것들이 비싸지는 세상에서 자신만의 방식대로 살아가는 사랑스러운 현대판 소공녀 '미소'의 이야기를 통해 소확행, N포세대 등 청춘의 삶을 대변하는 영화로 주목받았다. 전 감독은 미소라는 캐릭터에 대해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는지 알고, 선택하는 용감한 인물"이라고 설명하며 "누구나 좋아하는 것을 하며 살고 싶지만, 그러지 못하니까 미소라는 캐릭터에서 위안을 받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요즘 우리가 처한 현실 그리고 젊은 세대의 현재를 보여주는 영화 <소공녀>는 긍정적인 캐릭터와 블랙코미디적 요소가 더해진 결과, 영화는 갑갑한 현실에 갇히는 대신 차별화된 시각을 제공해준다.



출처: 네이버 영화


영화 <관계의 가나다에 있는 우리는>은 차가운 현실 속, 세 청춘이 만나 관계를 맺으며 새로운 세상을 향해 나아가는 청춘 성장 드라마로 전혀 연관성이 없는 세 청춘이 우연히 만나 자신들의 꿈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과정을 재기발랄하게 담아냈다.

언제나 잔고 제로인 미생 '민규'는 자신이 마주한 세상을 진실하게 바라보고 이 이야기들에 공감한다. 어린 시절 캐나다로 피겨 유학을 떠났다가 은퇴를 하고 돌아온 '한나'는 인생 1막이 종료되었다는 것에 조금 우울해하지만 한국에서 할 수 있는 것들을 찾기 위해 노력한다. 프랑스 입양인 '주희'는 그녀를 항상 괴롭혀 오던 친엄마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으로 다시 돌아왔다. 이렇듯 냉혹하게만 느껴지는 현실을 살아가지만 쉽지 않은 여정 속에서 밝게 피어나는 21세기 청춘들의 모습을 그려나간다.

영화 <관계의 가나다에 있는 우리는>은 냉혹하게만 보이는 한국 사회 속에서 꿈을 위해 노력하는 청춘들이 겪는 좌충우돌 에피소드를 통해 우리가 잘 알지 못했던 사회의 모습과 우리 스스로를 다시 한 번 되돌아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관객들의 공감을 이끌어낼 예정이다.

작성자 . 씨네랩

출처 . https://blog.naver.com/cinepick/222196907958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 쿠니
    2020.10.13. 19:14

    반전포인트와 소소한 스토리

    쿠니
    2020.10.13. 19:14

    11.01 에 본영화 .배우들의 다양한 배역과 입체적인 캐릭터, 90년대 후반의 시대를 엿보는 맛은 쏠쏠하지만,다른 성별이 판단한 여자의 모습을 제3자의 입장에서 봤을때, 참으로 어색하고 우스꽝스러운 장면이 몇 가지 있는건 어쩔 수 없는 한계인가?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