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Comment 1

  • 민드레
    열아홉이라는 나이에 성장 한스푼. - 열아홉살은 인생의 전환기이기도 하고 성장의 시작기 이기도 하다. 누구나 거쳐가지만 그 당시에는 누구도 알려주지 않아 더 혼란스럽기에 가장 중요한 전환기, 갈림길 앞에 놓여있는 열아홉은 참 어렵다. 소정에게도 열아홉은 찾아온다. 항상 곁에 있는 것들에 대한 당연함이 성가셨던 소정은 그것이 사라지길 바란다. 하지만 막상 흩어지니 회피로 이어지며 음악소리와 함께 스쳐지나간다. 자신이 바랐던 일임에도 다가오지 않길 바라는, 자유 뒤의 불안함을 잘 드러내는 혼란뒤의 성장으로 영화의 중심부를 이끌어간다. - 다소 촌스러울 수 있는 영화의 구성을 공감할 수 있는 요소로 다가와서 잘 봤던 영화였다.
    2021-07-07

REVIEW 2021-03-25 00:00:00

크롤 - 수우미양가 중 우, 우, 우, 우, 우

개인적으로는 영화를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예술성 영화와 오락성 영화. 모든 영화가 철학을 논해야하는 건 아니며, 오락성 재미만 존재한다고 해서 그 영화가 나쁜 영화라고는 말할 수 없다. 예술성 측면에서 훌륭한 영화가 있고, 오락성 측면에서 훌륭한 영화가 있다. 그리고 알렉산드르 아야 감독은 오락성 측면에서 훌륭한 감독이라 생각하며, 이번 크롤은 특히 더 훌륭하다고 생각한다.

 

영화의 설정은 참으로 대담하고 과감하고 재미있을 수 밖에 없는 것 들이다. 허리케인과, 부상자, 악어. 그것도 한 두 마리가 아닌. 키워드만 봐도 재밌을 거 같지 않은가. 이런 설정들의 잘 버무려진 조합과 알렉산드르 아야 감독의 피칠갑이 넘치는 호러 스타일과의 만남은 그야 말로 훌륭하다 평할 수 있다. 이 영화에서 예술성과 영화적 미학은 찾을 수 없지만, 분명 훌륭한 '킬링타임' 영화이다. 초반부터 끝까지 꾸준히 악어와 고어씬을 보여줌으로서 지루하지 않고 빠른 전개를 통해 관객을 지루하지 않게 해준다. 다만 아쉬운 점이 있다면 저예산 영화라서 CG가 아쉽다는 점, 요거는 사실 볼 때 관객이 거부감을 느끼지 않을 정도라 큰 문제점이라 할 수는 없다. 저예산이라고는 해도 흔히 저예산 영화로 유명한 어사일럼과 트로마 영화보다는 훨씬 훌륭하니 킬링타임으로는 충분하다. 또 하나의 단점은 저예산과 연결되는 단점인데 일어난 사건에 비해 장소가 제한됐다는 점이다. 하지만 이것은 전에 서술한 훌륭한 재미와 끝까지 유지되는 공포로 충분히 덮을 수 있는 단점이다. 마지막으로는 뭔가 영화 전체에서 손 꼽을만한 엄청난 고어가 없다는 점. 15세 판정을 받을 정도의 영화라 이 감독의 전작인 "피라냐 3D(2010)" 수준의 엄청난 고어는 기대하기 어렵다. 수우미양가 중 수가 없고 다 우라는 것이 1% 아쉬울 뿐. 하지만 99%가 마음에 든다는 것은 잊지 마시길.

 

*이 글은 원글 없이 새로 작성된 글이며, 출처란에는 작성자의 인스타그램 주소를 기재하고 있습니다.

스크랩에 저장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