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Comment 0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 기획기사 2025-05-04 17:31:34

[JEONJU IFF 데일리] 부유하는 도시인과 일상의 접촉

 

시놉시스

<푸르스름한>은 모호한 분위기, 느낌, 존재의 연약한 상태를 묘사한다. (출처: 전주국제영화제)

 

​Cast

감독: 릴리트 크락스너 Lilith KRAXNER, 밀레나 체르노프스키 Milena CZERNOVSKY

출연: Leonie BARMBERGER, Natasha GONCHAROVA

 

​리뷰

<푸르스름한>은 명확한 줄거리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서사 영화가 아니다. 사이에 끼인(in between) 일상 속 순간의 분위기와 느낌을 이미지와 사운드로 포착하는 일종의 아방가르드 영화다. 코로나 시기 구상된 <푸르스름한>은 판데믹 동안 사회와 일상이 변화하는 과정 속에서 느낀 설렘과 두려움을 표현한다. 그럼에도 <푸르스름한>의 줄거리를 한 마디로 표현하자면 너무나 오랫동안 고립되어 있던 탓에 소통하는 방법을 잃어버린 사람들이 다시 세상과 연결되어가는 과정을 그린 영화다. 

 

원제 <Bluish>는 본래 파란색의 색채와 우울한 기분을 모두 뜻하는 단어다. 제목의 중의적 의미는 파란색의 이미지를 통해 영화 전체를 관통한다.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물의 이미지다. 물에 둥둥 떠 있거나 샤워를 하고, 수영을 하는 장면들은 단단하게 뿌리내린 고체 상태로서 인간이 아닌 액체 상태의 인물을 형상화한다. 일종의 정화 행위로서 샤워는 신체와 접촉하는 물의 흐름을 온몸으로 느끼는 행위이다. 그런 의미에서 거의 실제 시간에 맞먹을 정도로 롱테이크로 촬영된 샤워 장면은 가시적이지 않지만 우리의 일상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순간들을 재탐색하고 지루하게만 느껴졌던 행위의 의미를 재구성한다. 

 

현대인의 하루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행위는 무엇일까? 단연코 스크린 타임일 것이다. 깜깜한 밤에도 놓지 못하고 들여다보는 스마트폰의 색채 또한 파란색이다. 스마트폰의 블루 스크린은 세상과 소통되길 원하면서도 단절된 현대인의 불안을 형상화한다. 이를 잠재우려는 듯 주인공은 명상 영상을 틀어놓고 잠에 든다. 수동적인 관람이 아니라 관객이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영화를 만들고 싶었다는 감독의 말처럼 영화는 시각적 이미지를 모두 암전시키고 마치 실제로 주인공과 함께 자리에 누운 듯 고요한 명상 영상에 집중한다. 음향이야말로 관객의 신체에 가장 가깝게 접촉할 수 있는 방식이기 때문일 테다. 

 

그러나 여전히 평면의 한계로 인해 카메라가 두 여성의 일상에 밀착하면 할 수록 관객의 시선은 관음이 된다. 그래서 <푸르스름한>은 관객으로 하여금 '누군가'를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서로'를 바라보게 만든다. 영화에는 세 번의 눈맞춤이 등장한다. 첫 번째 눈맞춤은 병원 대기실에서 만난 아이와 함께 눈을 깜빡이는 장면, 두 번째는 데이팅 어플에서 만난 사람과의 눈맞춤, 그리고 마지막은 완전히 낯선 사람과의 눈맞춤이다. 영화 속 인물들뿐만 아니라 관객 또한 얼굴 클로즈업 정면샷을 통해 배우와 서로를 바라보게 된다. 프랑스의 철학자 레비나스는 타자와의 관계를 얼굴의 현현으로 설명한다. 레비나스에 따르면 상대방의 얼굴, 그것은 참된 인간성의 시작일뿐만 아니라 일종의 윤리적 호소로서, 또는 저항할 수 없는 명령으로서 나에게 다가온다. 오직 그럴 때에만 우리는 있는 그대로의 타자를 환대할 수 있다. <푸르스름한>은 혐오가 재미가 된 시대에 파편화된 타자의 얼굴을 다소 투박하지만 온전한 형태로 기워 넣음으로써 일상 속 blue의 순간들을 감각적으로 묘사한다. 

 

상영스케줄

2025.05.02(금) 전주디지털독립영화관 21:00 (상영코드:259)

2025.05.03(토) 메가박스 전주객사 10관 20:30 (상영코드:375)

2025.05.04(일) 메가박스 전주객사 4 17:30 (상영코드:449)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 기간

2025.04.30~2025.05.09

스크랩에 저장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