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나무늘보의 영화 일기 <벨파스트, 2021> - 평점: 4/5 Rating: 4/5 - 한줄요약: 흑백이란 무수한 회색의 집단이기에. One-line Summary: For black and white are countless groups of gray. - 벨파스트는 1960년대에 천주교와 개신교 간의 갈등으로 분쟁과 혼돈의 시간을 보냈다. 이런 흑백논리 속 주인공 빌리의 가족은 흑 또는 백, 천주교 또는 개신교 사이 어디를 택할 것인지 정해야 하고, 어떤 선택을 내리든 위험에 빠질 것이란 것을 깨달은 가족은 곧 런던으로 떠나게 된다. 이런 흑백논리는 영화 자체가 흑백으로 만들어졌다는 사실에서 나타나기도 한다. 하지만 이 영화의 이런 특수한 형식은 단순히 세상이 흑과 백으로 나누어져가고 있다는 것을 표현할 뿐만 아니라, 당연하게도 시간을 나타낸다. 이 영화는 컬러로 시작한다. 현대의 벨파스트가 어떤 모습인지 보여주다 자연스레 흑백으로 바뀌면서 과거 벨파스트의 한 거리를 보여준다. 그리고 우리의 주인공이 될 빌리가 그곳에 있다. 그럼과 동시에 꿈과 같은 성질인 회상을 표현하기에 가장 적합하다. 감독의 말에 따르면 우리는 회상할 때 흑백으로 회상하기에 자전적 이야기이기도 한 이 영화의 형식으로 적합하다 판단했다고 한다. 결국 흑백 영화 속에는 온전한 흑과 백이 존재하지 않는다. 모든 픽셀들은 회색 빛깔로 이루어져있을 뿐이다. 영화 속 세상도 얼핏 보면 흑과 백으로 나뉘어져 있지만 결국 그 속에는 무수한 회색이 섞여 있다는 사실을 늦게나마 깨닫는다. - Belfast had gone through a time of turmoil due to the dispute between the protestants and the Catholics in the 1960s. In such a black-and-white moment, Billy’s family is forced to choose between black and white, protestant and Catholic. Realizing that choosing either side would lead to danger, the family soon leaves to London. Such a black-and-white view is evident in the black-and-white format of the film itself. However, this format obviously does not only exist to represent such a logic—rather, it represents time. The film starts off in color, showing the modern Belfast, and soon transitioning into the black-and-white streets of Belfast in the past. And there stands Billy, the protagonist. At the same time, it is perfect to convey a recollection, a type of dream-like state. According to the director, he thought it perfect for the autobiographical film as we recollect in black-and-white. In the end, even in a black-and-white film, there is no perfect black or white. Rather, they are all simply different tones of gray. The world within the film is seemingly all divided into black and white, but within are countless different grays. 스크랩에 저장되었습니다. Commnet 0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링크 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