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Heather2022-03-19 16:17:02

영화 <스펜서(2021)> 리뷰

길들일 수 없는 철장 속의 새, 날아가다

현대 영국 왕실에 관심이 있는 인물이라면 빼놓을 수 없는 이가 있으니, 바로 다이애나 왕세자비다. 그는 귀족 신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고등학교를 중퇴했고, 유치원 보모와 같은 아르바이트를 하다 왕세자와 결혼식을 올렸다. 그랬기에 다이애나에겐 '현대판 신데렐라'라는 수식어가 심심치 않게 따라다녔고, 자연스레 가십의 대상이 되었다. 이 이야기가 아름답게 들리거나, 부러운가? 다이애나는 전 세계가 내연녀의 존재를 아는 왕세자의 부인으로 살았다. 제 마음을 추스르는 것조차 쉽지 않았을 텐데 그는 봉사를 지속하며 영국인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적지 않은 사랑을 받았다. 어떠한가, 왕세자가 내연녀를 결국 정리하고 다이애나에게 돌아왔을 거라 믿어 의심치 않는가? 안타깝지만 20세기 후반의 영국은 낭만으로 가득한 동화와는 질적으로 다른 공간이었다. 그는 '오래오래 행복하게 살았습니다'라는 결말 대신, 프랑스 파리에서 교통사고라는 마지막을 맞이한다. 서른여섯이라는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나 '비운의 왕세자비'라는 별칭까지 획득한 다이애나는 아이러니하게도 영감의 원천이 되어 창작물 속에서 영생을 획득했다.



*스포일러주의


출처: 네이버 영화 포토


그렇다면 다이애나를 기억하는 창작물이 그토록 많은데 파블로 라라인 감독은 어째서 <스펜서>를 2020년대에 꺼냈을까. 감독의 전작 중 하나가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부인인 재클린 케네디를 주인공으로 삼은 <재키(2016)>라는 것을 떠올려보면, 그가 다이애나를 어떻게 기억하고 싶은지, 아니 어떻게 복원하고 싶은 지 유추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관객에게 재클린 케네디가 '재키'라는 별칭을 가진 한 사람이었다는 것을 기억하게끔 해준 전적이 있는 이 감독은 영화를 통해 다이애나에게 '다이애나 왕세자비'와 같은 왕실의 이름 대신 '스펜서'라는 가문의 이름을 돌려준다. 그가 조명하는 시점은 운명의 물살이 급격히 빨라졌던 결혼의 시작, 혹은 결혼의 끝이 아니다. 왕세자와의 별거가 시작되기 1년 전, 1991년의 12월 24일~26일, 단 사흘에 집중하며, 다이애나와 찰스와의 관계를 집요하게 파헤치는 대신 다이애나가 겪었을 심리적 아픔을 세밀하게 묘사한다(그렇기에 이 영화는 한 개인의 전기적 영화라기보다는, 실제 비극을 기반으로 한 창작 심리극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그 과정은 고통스럽고 결코 가볍지 않지만 끝내 다이애나에게 자유를 선물한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영화는 원거리에서 출발한다. 밝지 않은 하늘 아래서 군용 수송 차량이 식재료를 옮기고, 요리사들조차 군인과 다를 바 없이 걷는다. 우울한 색감으로 가득 채우기까지 하여 심리적으로 관객과 영화의 차이를 급격하게 벌린 후 다이애나(크리스틴 스튜어트)가 화면에 잡힌다. 그는 경호원 없이 홀로 운전하고 길을 잃은 상태다. 지도를 꺼내도 자신이 어디에 있는지 알지 못한다. 어디 그뿐인가? 샌드링엄 별장에 도착한 후에도 다이애나는 시종일관 지각하고, 지정된 옷을 잘못 입으며, 복도와 정원을 방황한다. 어쩌면 당연한 일일 것이다. 다이애나가 향하는/도착한 곳은 미래가 없는, '잘못된' 시공간이므로.




출처: 네이버 영화 포토


다이애나는 극 중에서 왕실에서의 삶은 '미래 시제'가 없는 삶이며, 과거와 현재엔 시제 상의 차이가 없는 삶이라고 말한다. 과거와 현재에 별다른 차이가 없다는 것은 곧 현재가 과거에 먹혔다는 것과 다를 바 없으며, 현재 없는 현재가 빚어내는 마찰은 영화 곳곳에 등장한다. 어린아이들이 춥다고 불평한들 난방을 허락하지 않는 전통은 개선이라는 이름의 변화를 수용하지 않고 고집스럽다. 총이 위험하다는 것을, 아이가 총을 쏘고 싶어 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면서도 사냥을 할 나이가 됐다는 말만 반복하는 찰스 왕세자(잭 파딩)의 교육 방침이나, 정부/내연녀가 있는 남성 왕족의 사생활을 모른 척 견뎌야 하는 귀부인으로서의 삶은 현대와 맞지 않는다. 



유령 같은 과거/전통에 대한 숭배는 개인에 대한 억압으로 귀결된다. 정해진 옷을 입지 않으면 보고가 올라가고, 휴가 기간 개인이 할 수 있는 활동은 정해진 스케줄 하에서만 허락된다. 크리스마스 담화를 통해 여왕은 영국은 자유주의 국가라고 연설하지만 정작 왕실 내부는 온갖 규율로 가득하다. 외부의 파파라치를 차단했다 한들 작은 속삭임조차 모두가 아는 소문으로 변질되고, 밤늦게 디저트를 먹는 것조차 감시당하는 등 숨 쉴 틈이 주어지지 않는다. 찰스 왕세자는 이러한 일상에 대해 최소한 두 개의 인생을 살아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한 명의 인생을 무수한 방향으로 조각내어 거부하고 싶은 시스템조차 몸이 기억하게끔 해야 하는 삶은, 진정 삶이라 부를 수 있을까? 남편을 잃은 슬픔에 40여 년간 검은 상복만을 입었다는 빅토리아 여왕의 방을 사용하는 다이애나는, 커튼을 닫지 않고 옷을 갈아이은 다음 날 모든 커튼이 꿰매져 창 밖을 내다볼 수 없게 된 다이애나는 참을 수 없는 갑갑함을 느낀다. 그러하므로 다이애나에겐 가족과 함께하는 현재 이 순간의 별장보다 썩은 계단의 생가가 더욱 생생하다. 생쥐가 오가고 자칫하면 사고가 날 것만 같은 위험한 공간임에도 그곳엔 삶이, 삶이 존재했었던 흔적이 있으므로.








출처: 네이버 영화 포토


잘못된 시공간에 도착한 다이애나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영화 홍보를 위해 사용된 문구인 "다이애나, 당신의 무기는 당신 자신이에요."라는 말은 다이애나가 본 매기(샐리 호킨스)의 환상이 전한 말이다. 기실, 이 말은 다이애나에게 위로가 되지 않는다. 미래 없는 거대한 과거를 상대하기에 한 개인은 너무도 작고 연약하다. 그저 아름답게 외면을 유지하며 인내하기만 하는 것이 과연 한 인간을 샬레 위에 올려두고 찢어발기는 세상에 대해 진정 올바른 대항법일지 나는 묻고 싶다. 당신의 무기는 당신 자신 뿐이라는 말은 다이애나의 외로운 처지를 부각하기만 한다. 거대한 세상에 편입되었음에도 의지할 수 있는 사람이 오로지 자신 뿐인, 왕족임에도 자신을 섬기는 드레서 한 명을 자유로이 부를 수 없어 허상에 매달려야만 하는 다이애나의 고립을. 



과거와 현재가 동일한 공간에 고여 있음으로써 그가 끊임없이 마주하게 되는 앤 불린(에이미 맨슨)의 환영은 마치 다이애나의 미래를 예언하는 것 같다. 온갖 죄목을 뒤집어쓰고 단두대에서 처형된 헨리 8세의 두 번째 부인. 다이애나는 품위 있게 목숨을 내어놓을 수도 없는 운명이기에 계단 위에서 갈등한다. 그러나 깨닫는다. 그를 둘러싼 시제는 과거일지라도, 자신이 살고 있는 세상은 16세기가 아니라는 것을. 그는 계단을 내려온다. 그리고 매기에게서 사랑스러운 고백을, 치유의 말을 듣는다. "전하께 필요한 건 사랑이에요." 



다이애나 스펜서가 도달했어야 하는 시공간은 아마 허상이 존재하지 않는 실재의 세계였을 것이다. 타인에게 비치는 모습으로 남아야 한다는 의무감 없는 세계. 자신이 개척할 수 있는 미래에 대한 자유가 존재하는 장소. 인간이 한 명의 독단자로서 숨 쉴 수 있는 곳. 사랑에 단서를 붙이는 결혼식이 없는, 그런 곳.




출처: 네이버 영화 포토


두 시간이 끝나갈 즈음, 다이애나는 자신의 옷을 허수아비에게 입히고 이름을 묻는 익명의 직원에게 스펜서라고 답함으로써 자신의 길을 선택한다. 그곳에서조차 다이애나라는 이름을 말할 수 없었던 까닭은 10년 전 왕실에 편입된 이의 아름다움만을 간직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럼에도 '다이애나' 대신 '스펜서'를 입에 담는 다이애나가 안타깝게 느껴지지 않는 이유는 그가 결혼으로 잃었던 성/가문/시간을 깨웠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다. 우리가 가십으로 소비하는 환상 이면엔 조개가 자신을 지키기 위해 생성한 진주조차 부수고 삼키려는 개인 또한 있다. 그렇다면 우리가 보았던 것은 무엇이며, 복원해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파블로 라라인은 영화를 통해 답한다. 





* 참고: 네이버 캐스트 '다이애나 스펜서',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59014&docId=3567750&categoryId=59014

★★★★

작성자 . Heather

출처 . https://brunch.co.kr/@hyeon4510471/69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