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rewr2023-04-03 07:54:50

다시 ‘평범한 감정’을 느끼고 있습니다

〈장기자랑〉 리뷰

6★/10★

 

 

 

  우리는 일상에서 여러 감정을 느낀다. 슬픈 일이 있다가도 곧 기분이 좋아지고, 화르륵 화가 솟아올랐다가도 언제 그랬냐는 듯 웃음 짓기도 한다. 특정 감정을 유발하는 사건이 또 다른 사건으로 대체되기 때문이다. 우리가 사람이나 대상을 만날 때마다 직전의 마주침이 야기하는 감정이 금세 또 다른 감정으로 대체되는 것이다. 그러나 일상의 모든 사건을 마비시키는 압도적인 감정에 사로잡힌 상태라면, 새로운 만남이 만들어내는 감정이 이전 만남이 남긴 감정을 대체하지 못한다. 극도로 화가 나 있는데 평소에 좋아하는 초콜릿을 한 입 먹는다고 감정이 좋아지지는 않는 것과 마찬가지다.     

 

 

 

  2014년 4월 16일, 진도 앞바다에서 세월호가 가라앉은 후 자식을 잃은 엄마들은 슬픔에 압도되어 내내 그 순간에 머무를 수밖에 없었다. 직장에서, 가정에서 그들은 내내 자식을 잃은 커다란 슬픔에 사로잡힌 상태였다. 자식을 잃은 슬픔은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곧잘 잊히고는 했던 그간의 아픔과는 차원이 다른 강력한 감정이었다. 누군가는 칩거했고, 누군가는 우울에 빠졌으며, 누군가는 슬픔을 분노로 전환하고자 했다.     

 

 

 

 

 

 

 

  4‧16 가족극단 ‘노란리본’의 출발은 단출했다. 희생자 어머니를 위한 커피 수업을 하다가 다음은 어떤 활동을 해보면 좋겠느냐는 논의 과정에서 연극이 하나의 안으로 나왔다. 그러나 여러 가능성 중 하나였던 연극이 전달 과정에서 엄마들의 적극적 요청으로 왜곡(?)되는 해프닝이 생겼고, 그렇게 극단이 꾸려졌다.     

 

 

 

  연출자는 제일 먼저 코미디 대본을 읽게 했다. 아이를 잃은 엄마들이 평소라면 생각조차 하지 않았을 일이지만, ‘연극’이라는 예술의 형식이 적당한 빌미가 되어주었다. 연기는 ‘타자 되기’의 행위다. 평소의 내가 도저히 하지 않을 법한, 생각지도 않은 일과 감정이 내 것인 양 굴어야 한다. 이는 슬픔밖에 느끼지 못한 엄마들이 다른 감정을 ‘느끼는’ 계기가 되어준다. 이후 노란리본은 본격적으로 창작극 〈장기자랑〉 연습에 돌입한다. 수학여행을 가기 직전 고등학생들이 장기자랑을 준비하는 내용으로, 세월호를 타기 전 아이들이 느꼈을 법한 기대와 설렘이 중요하게 다뤄지는 작품이었다. 엄마들은 연극을 준비하며 다시 한번 아이들을 떠올린다. 그러나 이번에는 슬픔이 회상을 독점하지 않는다. 수학여행 공연을 위해 친구에게 옷을 빌린 아이가, 랩을 좋아하던 아이가, 모델을 꿈꾸던 아이가, 만화 〈원피스〉를 좋아하던 아이가 수학여행 직전에 느꼈을 법한 기분 좋은 설렘이 엄마에게 전해지고, 이는 곧 연기를 통해 엄마의 감정이 ‘된다’. 엄마들이 슬픔이 아닌 다른 감정을 느끼기 시작한다.     

 

 

 

 

 

 

 

  놀라운 일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엄마들은 누가 어떤 역할을 맡을지를 두고 은연중에 경쟁한다. 질투도 느끼고 실제 다툼까지 발생한다. 실제로 몇몇은 극단을 떠나기도 했다. 더 비중이 큰 역할을 연기하고 싶다는 욕망은 연기할 때와 마찬가지로 엄마들에게 그들이 잃어버린 일상적 감정을 되돌려줬다. ‘경찰청창살~’을 연신 반복하며 발음 연습을 하는 한 엄마/배우의 모습에서 이제 더는 슬픔만이 엄마 감정의 모든 것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당연하게도 이런 변화는 굉장히 더디다. 기존의 압도적 슬픔과 섬세히 관계를 맺을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혹시 코미디 톤으로 고등학생 연기를 하는 자신을 보며, 먼저 간 자식이 ‘우리 엄마는 내가 떠났는데도 저렇게 밝네’라고 생각할까 걱정이 되기도 한다는 한 엄마의 말에서 이를 알 수 있다. 이들에게 슬픔은 다른 감정으로 대체해야 할 감정이 아니라 근간으로 삼아 다채롭게 펼쳐내야 할 무언가다.     

 

 

 

  가장 큰 도전은 단원고에서의 공연이었다. 엄마들도 무대 위에서 무너질까 걱정이고, 연극을 관람할 학생들의 마음 역시 굉장히 세밀하게 신경 써야만 한다. 우여곡절 끝에 공연을 마치고 서로를 포근히 안아주는 장면에서, 우리는 슬픔을 품고 앞으로 나아가는 법, 즉 슬픔을 더 나은 사회를 위한 연대의 토대로 만드는 법을 가늠해볼 수 있다. 자신을 잠식한 슬픔을 잊지 않으면서도 이를 다른 ‘평범한’ 감정과 조율해나가는 노란리본의 여정을 담은 영화 〈장기자랑〉은 세월호 유가족의 치유뿐 아니라 문화예술의 힘을 보여준다는 점에서도 넉넉한 감동을 선사한다.

 

 

 

*영화 매체 〈씨네랩〉에 초청받은 시사회에 참석한 후 작성한 글입니다.

작성자 . rewr

출처 . https://brunch.co.kr/@cyomsc1/262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