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두미2021-08-01 23:05:33
노년의 동성애에 대하여, 영화 <우리, 둘>
동성애에 대한 이해는 확장되어야 한다
제작 : 프랑스·룩셈부르크·벨기에, 드라마·멜로
감독 : 필리포 메네게티 │ 출연 : 바바라 수코바(니나), 마틴 슈발리에(마도)
러닝타임 : 95분 │ 등급 : 12세 관람가
다양성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 영화
최근에 영화 <갈매기>를 보고 마음이 많이 아팠었다. 젊은 여성이 아닌 중년의 여성이 성폭력을 당했을 때, 세상이 그들에게 어떤 시선을 보내는지에 대해 여실히 느꼈기 때문이다. 여성의 목소리가 점점 커지는 사회인데도 여전히 소외되는 계층이 있다는 건 관객인 내가 느껴야 하는 부끄러움이기도 했다.
같은 맥락으로 노년의 레즈비언 커플을 보여준 영화 <우리, 둘>에서도 비슷한 감정을 느꼈다. 오랜 세월 동안 차별과 맞서 온 동성애 속에서도 특별히 ‘노년’이라는 연령층이 갖는 소외감을 마주해서다. 세상은 점점 개개인의 성적 지향을 존중하는 쪽으로 나아가고 있지만, 여기서도 여전히 중년 이상의 문턱을 넘지 못하는 기분이었다. 이 영화 속 레즈비언 커플의 연령대가 ‘할머니’라는 점은 그래서 특별하고도 상징적이었다.
복도를 마주 보고 이웃집 사이로 지내는 ‘마도’와 ‘니나’는 20년째 몰래 사랑을 이어오는 레즈비언 커플이다. 그들이 걸어온 시대는 물론 지금처럼 동성애가 존중받는 시대는 아니었을 것이다. 심지어 마도는 남성과 결혼을 하여 자식과 손자까지 두었다. 그렇게 자신의 성적 지향과 반대되는 선택을 하고, 오랜 세월 동성연애를 숨기며 살아온 그녀들이지만, 그럼에도 마도와 니나에게는 꿈이 있었다. 자식들에게 커밍아웃을 하고 로마에서 함께 여생을 보내는 것.
하지만 마도는 쉽게 자식들에게 이를 말하지 못하고, 차일피일 미루는 과정에서 니나는 상처를 받는다. 결국 둘의 갈등이 심화되던 어느 날 마도가 뇌졸중으로 쓰러지면서, 둘의 관계는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전개되는데.
니나는 쓰러져 언어기능이 마비된 마도가 걱정돼 죽겠다. 하지만 니나를 그저 엄마의 이웃집 절친한 친구분 정도로 아는 마도의 가족들 앞에 니나는 나설 수가 없다. 그저 기웃거리는 것쯤으로 마도를 확인해야 했던 니나는, 결국 감정을 주체하지 못하고 마도의 집에 몰래 들어갔다가 마도의 딸 ‘앤’에게 들키고 만다.
‘내 자식은 안돼’와 ‘내 부모는 안돼’의 차이점
수많은 동성애 커플들이 커밍아웃의 기로에서 오랜 고민을 한다고 들었다. 주로 청년층의 동성애 커플이 주인공인 이야기에서는 ‘부모의 반대’가 가장 큰 갈등 요소로 작용한다. 그렇다면 더 이상 부모와 대치하지 않아도 되는 중년 또는 노년층의 동성애 커플은 어떨까. 그들도 마찬가지로 이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다는 것을, 영화는 딸 ‘앤’의 격렬한 반대를 통해 보여준다.
엄마의 동성애를 받아들일 수 없었던 앤은 니나를 차단하고, 잠금장치를 바꾸고, 엄마를 병원에 가둠으로써 엄마의 동성애를 끝내 거부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런 앤의 모습은 자식의 동성애를 반대하는 부모의 그것과 다르지 않아 보였다. 더 나아가 동성애를 이해한다고 하면서도 그게 내 가족의 일은 아니길 바라는 사회 전체의 모순을 닮아있기도 했다. “내 자식은 안돼”였던 대사가 “내 부모는 안돼”로 변형됐을 뿐이랄까.
노년의 동성커플이 직면해야 하는 위기는, 젊은 층의 동성커플이 겪는 위기와 같은 선상에 높여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이토록 더욱 깊은 편견과 맞서 싸워야 하는 일이다. 성적 지향에 대한 일차적 존중은 물론이고, 자식들이 느낄 상처와 창피함과도 맞서 싸워야 하며, “다 늙어서 무슨 존중을 바라느냐”는 노인 자체에 대한 폭력적 시선도 감내해야만 하는 문제니까.
해피엔딩으로 만드는 건 우리의 몫
영화는 해피엔딩으로 끝나지 않는다. 니나는 병원에서 마도를 빼내 자신의 집에 데려오고, 둘만이 추억하는 노래에 맞춰 블루스를 춘다. 밖에선 엄마를 되찾아가려는 딸 앤이 문을 쿵쿵 두들기고 있다. 미래는 불투명하고, 가장 가까운 사람으로부터도 존중받을 수 없었던 두 노년의 여성은, 말없이 끌어안고 끝나가는 영화의 화면을 가득 채운다. 슬픔으로, 서로에 대한 사랑으로, 침묵으로. 그들이 할 수 있는 것은 그것 뿐이기에.
성적 지향에 대한 우리의 다양성은 점차 확대되어가고 있고, 젊은 동성애자의 사랑에 대한 존중은 이제 하나의 교양이며 덕목이 된 지 오래다. 그러나 그 시선의 바깥에 젊지 않은 동성애자의 사랑이 남아있다. 마도와 니나 같은 연인들. 살 날보다 살아온 날이 더 많고, 대부분의 삶을 가족에 대한 의무와 희생으로 지내왔던 숨은 동성 연인들 말이다. 거의 모든 영화와 드라마가 ‘젊은 동성애’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동안 가려져있었던 연인들에 대해, 이제 따뜻한 시선을 건네야 할 때가 아닌가 싶다.
니나와 마도는 어떻게 되었을까? 앤은 결국 엄마의 사랑을 받아들였을까? 이 질문은 단순히 영화에 대한 감상을 떠나, 우리 사회가 해결해야 할 또 다른 차별에 대한 감상이기도 하다. 그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우선, 우리 주변에 더 많은 니나와 마도가 있다는 것을 인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1
- 200
- 13.1K
- 123
- 1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