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onymoushilarious2022-06-27 12:00:22
브로커가 어느가족보다 나은가
영화 브로커 리뷰
간만에 엄마를 끌고, 영화를 보러 갔다. 주로 혼자 보러 가는 편이지만 유명한 영화제에서 상을 탔다는 이유로 이 영화를 보러가자고 끌고갈 명분이 생겼다고 생각했었던 것 같다. 이 글은 가족을 끌고 봐야할 만큼 이 영화가 상업적인 영화인지에 대해 고찰하며, 영화제에서 상을 타는 영화가 상업적인지에 대해서 다시 제고해보고자 쓰는 글이다. 이 영화의 네이버 평점이 낮던데, 나는 이 영화의 평점이 낮은 이유에 대해 나름대로의 이유를 찾다 보니, 쓰게 된 글이랄까.
1.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정체성
이 영화는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일관적인 정체성에 대해서는 알 수 있는 영화였다고 생각한다. 전작인 "어느 가족"에서도 가족이 된 이유가 각자 달랐지만 핏줄보다 더 가까운 가족이 되었다는 점에서는 이 영화 브로커와 정서적 맥을 같이 한다. 가족보다 못한 사이가 있는 만큼 가족만큼 가까운 남도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다. 하지만 이 영화는 전작인 어느 가족보다는 좀 못한 것 같다.
나는 어느 가족을 볼 때는 이 사람들이 진정 가족이었을지 의심하고, 또 의심하다가 마지막 아이의 나지막한 외침으로 이들은 서로를 가족으로 인정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그 나지막한 음성은 그 어떤 대사보다도 그들의 끈끈함을 강조하는 데에 부족함이 없었다.
하지만 이번 영화는 대놓고 남으로 뭉쳐 가족이 되어가는 사람들의 관계를 노골적으로 보여준다. 그들은 아이를 팔아넘기기 위한 경제적 이유로 뭉쳐다니지만 사실은 그들은 그 누구보다도 서로를 의지하고 있었다는 것을 대사 하나하나, 눈빛 하나하나로 알 수 있다. 하지만 오히려 그런 직접적 표현이 전작의 비해 진부하다고 느끼게 했던 것은 아닐까 생각해보게 된다.
두 작품 모두 외로운 개인들의 집단화를 통해 새로운 형태의 가족이 생길 수도 있음을 묘사하지만 가족애에 대한 표현의 차이가 이렇게 영화의 매력을 반감시킬 수도, 배가 시킬 수도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두 영화들은 비교할 만하다고 생각한다. 두 영화는 비슷한 듯 하면서 다르기 때문이다.
2. 가족이라는 단어가 가진 복잡성
그리고 어느 가족에서는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없는 형태의 가족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아이에게 도둑질을 가르쳐서라도 돈을 모아야 한다. 그리고 브로커 속 소영이 자신이 낳은 아이를 팔아넘기려는 이유는 그녀가 살인자이기에 멀쩡한 가족을 이루어줄 수 없기 때문에 어둠의 경로를 통해서라도 멀쩡한 형태의 가족을 만들어주려고 한다. 이 두 영화 속에서 이야기하는 테마는 비슷하다.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없는 가족의 형태에대한 고찰이 바로 그것이다.
소영이 국가 기관의 도움을 받지 않고, 브로커들과 함께 움직이며, 자신이 낳은 아이를 팔아넘기려고 하는 상대 가족들은 국가의 법이 합당한 가족이라고 인정하지 않거나 아이를 합법적으로 입양할 수 없는 사람들이다. 법의 테두리는 생각보다 많이 보수적이라서 가족이라는 단어가 성립되려면 혈육이라는 개념이 개입하여야 한다. 그리고 합당한 형태의 결혼이어야 하고, 아이를 입양하는 데에 있어 외적인 자격 조건이 완벽하여야 혈육이 아닌 다른 아이를 입양해 키울 수 있음을 '인증'할 수 있다는 뜻일 것이다. 하지만 그런 형태의 법적인 해석은 가끔 "정인이 사건"과 같은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아이를 입양하기에 외적 조건이 완벽하지만 자신이 입양했다는 사실을 트로피 삼아 아이를 인질 삼고 있는 가정, 아이를 입양하고 싶은 마음은 굴뚝 같지만 아이를 입양하기에는 외적인 법적 조건이 충족되지 않아 뒷돈 주고, 브로커를 이용하는 사람들, 이 둘 중 어떤 사람들이 더 나쁜 걸까. 가족이라는 단어는 무엇이기에 이리도 복잡하게 해석되어야 할까. 영화를 보면서 계속 들었던 생각이다. 가족이라는 단어가 뭐가 그렇게 특별하기에 다들 하나의 가족을 만들고 싶어 안달들이 나 있는 걸까 하는 생각 말이다. 가족이라는 단어에는 참 많은 명암이 있는 것 같다.
3. 이 영화에 평점 테러하는 사람들에게
물론, 이 영화가 감독의 이전 영화보다 조금 진부한 부분이 있다고는 생각한다. 하지만 이 영화를 영화관에서 보면서 느꼈던 특이점이 있었다. 영화관에서 예상 외로 어르신들이 정말 많이 계셨다는 점이다. 내가 간 영화관이 서울은 아니었지만 시골의 한 작은 영화관이었기에 이런 점이 두드러졌다. 이 영화는 유명 영화제에서 남우주연상 수상자를 배출한 영화이다. 이 영화를 선택하는 사람들 중 상당수는 영화의 캐스팅과 남우주연상 수상 여부에 따라 선택한 것이 아니었을까 의심하게 하는 지점이었다.
이 영화는 단연코 상업영화라고 보기는 힘들다. 상업 영화라고 하기엔 영화의 테마가 마이너하고, 어둡다. 상업 영화들은 관객이 공감하도록 적극적으로 설득하지만 이런 상업적이지 않은 영화들은 그렇지 않다. 공감을 설득하지 않고, 공감을 유발하는 상황을 그저 보여줄 뿐이다. 그래서 이 영화가 왜 상까지 받았느냐, 개연성이 너무 없어서 평점을 1점만 주는 사람들에게 혹시 이 영화의 외적인 수상 성과에 따라 영화를 선택하진 않았는지 한 번 정도는 되돌아봐야 할 것 같다.
하지만 나도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 때문에 본 것인데도 내용의 진부함, 긴장감이 있는 듯 없는 듯한 전개에 대한 비판에 대해서는 동감한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보육원에서 도망쳐 뒤늦게 합류한 발칙한 남아 캐릭터가 너무 귀여웠어서 지루한 스토리에 한줄기 빛이었다고 생각한다.
- 1
- 200
- 13.1K
- 123
- 1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