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담작가2022-07-08 12:40:28

사회가 젊은이를 몰아세우는 법

넷플릭스 [추즈 오어 다이(choose or die)] 리뷰

야간 청소부 일을 하며 엄마를 돌보는 취준생 케일라.

게임을 좋아하는 친구 아이작의 집에 처박혀있던 '커서(curser)'라는 80년대 비디오게임을 찾게 된다.

아직 이 게임의 상금을 받은 사람이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두 친구는 함께 게임을 해보기로 하는데...

Choose or Die?

 

 

감상 포인트

  1. 선택지가 나올 때의 긴박감이 보는 사람마저도 초조하게 함

  2. 자꾸만 주인공에게 고나리질 하게 되는 몰입감

  3. 공포 영화라기보단 오컬트+스릴러에 가까움


감상평

볼 거 없나, 하고 뒤지다가 우연히 찾은 공포영화.

넷플릭스에서 '스릴러'라고 분류를 하고 있는데 귀신이 나오는 공포물이라기보단 정말 긴박함을 조성하는 스릴러에 훨씬 가깝다는 생각이다. 뒤로 갈수록 오컬트적인 성향이 두드러지는데, 그런 부분이 드러나기 전까지는 주인공이 게임을 플레이하며 겪는 일들에 완전 몰입할 수 있게 긴박감을 조성한다.

사실 허무하게 끝났다는 감도 없잖아 있다. 하지만 가볍게 즐기는 팝콘무비라고 생각하면 꽤 괜찮았다고 본다.

*여기서부터는 스포일러를 포함합니다*

케일라의 상황은 암담하다. 어린 동생은 자신의 부주의로 죽었고, 동생의 죽음에 충격을 받은 엄마는 약에 취해 집주인에게 휘둘리는 상황. 벗어나려고 발버둥쳐봐도 취업은 되지 않고, 자신이 할 수 있는 거라곤 야간 청소부 일밖에 없다. 자신이 속마음을 털어놓을 수 있는 건, 히키코모리처럼 집에 처박혀 있는 괴짜 친구 아이작 뿐.

하지만 케일라는 시궁창 같은 현실 속에서도 자신의 신념과 가치를 잃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함께 청소하는 임신한 직원에게 상사가 심한 말을 하면 나서서 변호하고, 약에 취해서 헤롱거리는 엄마에게 짜증 한 번 내지 않고, 취업이 되지 않아도 틈틈이 친구의 게임 프로그래밍을 손봐주는 등. 그녀는 남들이라면 신경쓰지 않는 일에도 신경쓰고 짜증낼 법한 일에도 자신의 역할을 다하려고 노력한다. 어찌보면 답답한 면모도 있다.

커서라는 게임은 이러한 케일라의 가려운 부분들을 자꾸만 긁으며 그녀를 부추킨다.

 

"여기서 벗어나고 싶지?

다 짓밟고 너 혼자 살아남으면 되잖아!"

 

첫 번째 저주 대상은 밤새 일을 하는 카페 종업원이다. 종업원 역시 케일라처럼 불안정한 고동 형태를 취하고 있다. 영화 시작 부분에서 케일라가 임신한 직원을 위해 한 마디 했던 걸 생각해보면, 종업원도 케일라와 크게 다른 처지가 아니다. 그런 종업원을 공격하도록 프로그래밍 된 게임은, 항상 남들만 챙기는 케일라에게 '네 밥그릇 뺏기지 말고 짓밟고 일어서라'는 말을 하는 것 같다.

두 번째 저주 대상은 엄마다. 케일라의 엄마는 아들 리키를 잃은 슬픔에 빠져있다. 그는 벽에 사는 쥐들이 굶주렸다고 말한다. 어쩌면 그건 이 집에서 아무리 노력해도 채워지지 않는 공허함일지도 모른다. 게임은 케일라에게 엄마를 공허함과 굶주림 속에 던져버리라고 말한다. 아무 도움도 되지 않는 엄마를 버리면 훨씬 편할 거라는 유혹을 제시하는 것이다.

마지막 저주 대상은 아이작이다. 게임은 영리하게도 케일라가 리키와 아이작 중에서 한 명을 선택하도록 유도한다. 동생을 죽였다는 죄책감 때문에 괴로워하는 케일라에게 현실을 잊고 도피하라고 말하는 것이다. 하지만 케일라는 아이작을 포기하지 않는다. 이 때 빨간문과 파란문은 영화 #매트릭스 의 빨간약과 파란약을 생각나게 한다.

 

"때로는 저주가 선물일 수도 있다."

케일라 대사 중

 

이 끔찍한 '커서'라는 게임은 이 게임의 플레이어가 상대방에게 저주를 내리면 혜택을 얻는다는 설정이다.

마지막 게임에서 살아남은 케일라는 이 게임을 최초로 개발한 '벡'에게 전화를 받는다. 그가 케일라에게 다음엔 누가 괴로울지를 묻자, 케일라는 "괴로워도 싼 인간들만요."하고 대답한다. 결국 이 잔인한 게임에 동참하게 된 것이다. 그녀는 줄곧 지켜오던 자신의 신념을 깨버린다. 이 저주로 인해 자신도 혜택을 얻었기 때문이다.

 

 

오컬트와 스릴러의 탈을 썼지만,

젊은이들이 사회에서 자신을 잃고 변질되어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영화라는 생각이 든다.

 

작성자 . 담작가

출처 . https://blog.naver.com/shn0135/222804410320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