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Anonymoushilarious2023-04-26 12:54:26

모두의 삶이 한 편의 영화다

영화 '파벨만스' 리뷰

어느 날, 단란한 한 가족이 화목하게 영화관으로 들어간다. 부모는 아직 미취학 아동인 아이에게 영화라는 환상의 세계를 경험해 주고자 하는 것이다. 하지만 그 날, 아이는 기차와 자동차의 충돌 장면을 너무 인상깊게 보고야 만다. 그 장면이 공포가 될 때까지 계속해서 곱씹는다. 아이에게 영화가 준 첫인상은 공포였다.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에게 영화는 어느 순간 즐거움을 넘어 취미가 되었고, 더 이후에는 단순한 취미가 아닌 꿈이 되었다. 그렇게 그가 어른이 되어가는 과정 속에서 "영화"라는 매체는 점점 그에게 크게 자리잡아 간다. 이 영화는 훗날 유명한 영화 감독이 될 것이 자명해 보이는 한 남자의 유년 시절을 엿보게 만드는 영화다. 마치 거장 영화 감독의 내밀한 과거를 훔쳐 보고 있는 느낌이랄까.

1. 예술이라는 알 수 없는 세계에 사는 사람들

 

샘의 인생에서 슬픔과 기쁨을 모두 함께 한 게 바로 영화다. 그의 삶 속의 장면들을 모아 그만의 영화를 만들어냈기 때문에 일련의 가공이 들어갔다 할지언정 그의 영화는 곧 그의 삶이나 다름없었다. 그의 엄마에게서 이상한 낌새를 눈치채고, 속으로 삭이고 있을 때에도, 사귀던 여자에게서 매정한 말을 듣고, 이별을 통보받았을 때도 그는 항상 그가 연출한 영화와 함께 했다. 그의 상황이 최악을 달리고 있을 때에도 그의 영화는 언제나 사람들을 위로하거나 즐겁게 했지만 정작 그의 삶은 그가 만든 영화와 판이하게 달랐다. 영화가 상영되는 와중에 관객이 된 사람들과 샘의 표정에서 이 간극을 느낄 수 있다. 그에게 예술이란 삶의 한 부분이 되었지만 그가 점점 예술의 세계 속으로 빠져들어갈 수록 그의 현실은 점점 불안정해진다. 예술을 하겠다는 말은 안정과는 거리가 먼 삶을 선택하겠다는 뜻을 내포한다. 그의 인생에 산재되어 있는 불안정은 결국 그의 영화 속의 소재로 승화되어 결국 작품이 될 것이다. 샘의 큰할아버지가 했던 말씀처럼, 예술은 마음을 찢어내면서 자신을 갈아넣어야 비로소 완성할 수 있는 대서사시인 것이다.

 

여행이 안정적인 삶에 염증을 느낀 사람들이 일시적으로 쾌락을 느끼기 위한 방편이라고 한다면, 예술인들은 매일 같이 이런 여행을 하고 있는 사람들이라고 이해하면 될까. 매일 같이 불안정 속에서 해매이는 그들은 매일 같이 쾌락을 동반한 불안을 느끼기에 심리적 안정을 위해서는 정신과를, 더한 쾌락을 주기 위해 그들이 마약을 선택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하니 예술가적 기질을 가진 사람들을 조금은 이해하게 되었다. 그리고 나는 예술가들을 동경하지만 내가 그들이 될 수는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되면서 내 자신을 한 번 더 이해하게 되었다. 한 때 나는 내 자신이 꽤나 기질적으로 특이하다고 생각해 예술가를 꿈꿔 본 적도 있었지만 현재의 나는 생각보다 평범하고, 안정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나는 매일 같이 불안정 속에 나를 던지고 싶어하지 않는 사람이다. 오히려 안정적인 삶에 지쳐 잠시 쾌락을 위해 여행을 떠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만족스럽다. 내 마음과 내 소소한 일상을 망가뜨려 가면서까지 예술을 할 생각을 없다. 그만큼 나에겐 현실이 가장 중요하다. 마치 샘의 아버지처럼 말이다.


2. 모두가 주인공인 샘의 영화들

 

샘은 가족들을 수시로 찍으며 홈비디오 형식의 영화를 만들어낸다. 그리고 학창 시절 내내 많은 친구들을 자신의 영화에 동참시킨다. 애리조나에서의 친구들과 함께 전쟁 영화도 찍어보고, 인종 차별로 괴롭히던 캘리포니아의 일진들도 그의 영화에 출연한다. 심지어 한 일진은 자신을 영웅화시켰다고 화를 내고 끝내 울기도 한다. 이 사건은 시절이 시절인 만큼 그 때의 관객들은 영화 속 인물과 배우를 분리시켜 생각하지 못하던 시대임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그만큼 샘에게 영화는 '각색된 우리들의 삶'이다.

 

 

현실을 기반으로 하지만 약간의 과장이나 관점 체인지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영화는 완벽하게 우리의 삶을 묘사하진 않는다. 그렇다고 해서 영화는 우리들의 꾸며넣은 가짜의 삶이냐라고 한다면 그것도 아니라고 하겠다. 영화는 진짜와 각색 그 사이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사람들을 감동시키거나 경악시킬 중간 지점을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본다. 샘은 자신의 영화 속에 등장하는 사람들의 현실적 팩트를 다 살리진 않았지만 오히려 각색한 덕에 감정적 전달을 확실히 했다고 생각한다. 결국 스필버그는 영화는 대단한 것이 아니라 우리의 삶 하나하나가 결국은 영화와 다를 바가 없다는 것을 말하고 싶었던 것은 아닐까. 극장에서 보는 그 영화는 우리네의 삶을 그저 살짝 각색해 다시 선보였을 뿐이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서 말이다.


3. 꿈이 있는 모든 사람들의 삶은 빛난다.

 

이 영화는 꿈을 가진 모든 이들이라면 공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샘은 영화감독이 되는 것이 꿈이고, 샘의 아버지는 내 가족이 안온하게 사는 것이 꿈인 것처럼 각자의 꿈의 크기와 온도는 다르다. 심지어 샘을 괴롭히던 일진도 꿈이 있었던듯하다. 아마도 운동선수가 되고 싶었던 것 같다. 그렇게 꿈이 있는 모든 사람의 삶은 빛난다. 피아니스트가 꿈이었지만 아내로 살아가고 있는 샘의 엄마는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사는 것이 꿈이다. 가족을 떠나 살긴 했지만 그녀가 온전하게 주도적인 삶을 선택했다는 점에서 그녀의 이혼은 어쩌면 그녀에겐 꿈에 한발짝 더 다가선 것인지도 모른다. 물론 그렇게 감정에 매몰되어 사는 삶이 완전히 이해되진 않지만 무엇인가 자기주도적으로 살고자 한 선택했다는 점이 인상적이었다.

 "내 삶은 온전히 내 것이야"

영화는 스티븐 스필버그의  감독의 자전적 이야기이긴 하지만 그의 인생을 그저 지켜보는 것보단 관객에게 주체적으로 살아가라고 독려하는 감독의 메시지가 너무 좋았다. 성공한 한 남자의 우당탕탕 우여곡절을 지켜보며 내가 너무 조급해하고 있음을 되새기게 되었다. 나도 꿈이 있으니 언젠가 어떻게든 빛날 수 있겠지. 그 꿈을 놓지만 않는다면, 꿈이 상상하는대로 이루어지지 않아도 근접하게 살아낼 수 있지 않을까. 내 잊었던 꿈을 되새길 수 있어서 거장 영화감독의 삶을 엿보며 잠시 행복했다.

4.총평

영화가 잔잔한듯 있을 건 다 있다,  내용에서 기가막힌 반전은 없지만 모든 장면하나하나 심혈을 기울여 찍었다는 것이 느껴진다. 인물을 담는 구도, 심리묘사 시 얼굴을 클로즈업하는 방법까지, 다음에 관람할 땐 카메라 구도를 유심히 볼 것 같다. 아, 가장 웃겼던 대사는 일진이 자신이 울었던 걸 발설하면 죽는다고 하니, 말은  안하겠지만 영화로라는 만들수도 있을 거라는 대사였다. 이 대사로 이 장면은 실제 사건일 거라는 생각과 동시에 결국 영화가 되었으니 그 일진의 실존 인물은 이 장면이 얼마나 웃길까.

작성자 . Anonymoushilarious

출처 . https://brunch.co.kr/@lanayoo911/118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