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자까2023-09-06 23:41:53
나이 듦과 돌봄, 상실과 사랑
영화 <어느 멋진 아침>
매료될 수밖에 없는 낯선 언어의 음률, 따뜻함과 차가움이 공존하는 감성, 무심하면서도 함축적인 메시지. '프랑스 영화' 하면 떠오르는 생각의 조각들입니다. 동시에 프랑스 영화의 고유한 느낌이 그대로 담긴 ‘이 작품’을 가장 잘 설명하는 묘사이기도 하죠. 특별한 스펙터클 없이 프렌치의 일상을 가만히 지켜보는 것만으로 여러 가지 메시지와 생각할 거리를 던져주는 영화, <어느 멋진 아침>입니다.
※ 씨네랩으로부터 초청받은 <어느 멋진 아침> 시사회를 통해 영화를 감상했습니다. <어느 멋진 아침>은 2023년 9월 6일 국내 개봉 예정작입니다.
어느 멋진 아침
One Fine Morning
<어느 멋진 아침>은 건강이 악화된 아버지 '게오르그'와 사춘기가 시작된 딸 '린'을 보살피는, 딸이자 엄마인 '산드라'의 이야기입니다. 아버지 ‘게오르그'는 1년 전만 해도 아무렇지 않게 일할만큼 건강했으나, 지금은 혼자서 제대로 걷지도 못할 정도로 건강 상태가 좋지 않습니다. 프리랜서 통역가인 '산드라'는 일하다가도 틈틈이 시간을 내서 아버지를 챙기고 있죠. 요양원을 알아보고, 아버지의 집을 정리하고, 병문안을 가고... 예전과 다른 아버지를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벅차지만, 보호자로서 해결해야 하는 일들은 끊이지 않고 이어집니다. 그러던 중 오랜 친구 '클레망'이 새로운 사랑으로 그의 일상에 스며듭니다.
⊙ ⊙ ⊙
'산드라' 역을 맡은 배우 레아 세이두는 이번에도 캐릭터에 서사를 부여하는 짙은 눈빛으로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입니다. 그의 존재가 뇌리에 박혔던 건 <미션 임파서블: 고스트 프로토콜(2011)>과 <가장 따뜻한 색, 블루(2013)>에서였는데요. 그때만 해도 설익은 청년의 풋풋한 느낌이 강했으나, 그는 어느새 아이 엄마의 역할을 자연스럽게 소화할 만큼 성숙해졌습니다. (그새 실제로 아이를 낳기도 했죠.) 아래에서 이야기하겠지만 이 작품이 나이 듦에 관한 생각거리를 던져주는 영화라서 그런지, 저도 모르게 자꾸만 그의 예전과 지금 모습을 번갈아 떠올리게 되더군요. 오랜 시간이 지난 건 아니더라도 그때나 지금이나 레아 세이두는 참 변함없이 멋진 배우입니다.
이 작품은 삶을 구성하는 면면을 직구처럼 정직하게 묘사합니다. 그중에서도 영화가 가장 집중하는 삶의 측면은 바로 나이 듦과 돌봄입니다. 미아 한센-러브 감독은 자전적 경험을 토대로 병든 아버지 '게오르그'와 딸 '산드라'의 이야기를 만들었습니다. 그래서인지 부모의 나이 듦을 지켜보는 자식의 고통이 담담하면서도 더 아리게 다가오죠.
영화를 보면서 최근 인상 깊게 읽은 이석원 작가의 책 『2인조』의 한 구절이 떠올랐습니다.
내가 알던 엄마가 아닌 것만 같은 기분에 더럭 겁이 나고 슬퍼지기도 하는 순간들. 결국 그런 날들이 하나둘 늘어가는 것을 감당해야 하는 것이 자식의 삶이기에, 팔순이 넘은 부모와 보내는 하루하루는 나의, 아니 모든 자식들의 마지막 화양연화다. (이석원, 『2인조』)
<어느 멋진 아침>은 바로 이러한 모습을 그리고 있습니다. "내가 알던 엄마가 아닌 것만 같은" 순간들을 감당하는 "자식의 삶"을 말이죠. '산드라'는 병든 아버지를 볼 때마다 괴로워합니다. 기억 속 아버지와 눈앞의 초라한 아버지는 어쩐지 같은 사람 같지가 않습니다. 병에 갇혀 끝없이 가라앉는 아버지보다 서재에 켜켜이 꽂혀있는 아버지의 책들이 오히려 진짜 아버지 같다고 느끼죠. 아직 아버지의 대소변을 직접 봐줄 자신도 없는데, 그 맘도 모르고 아버지의 병세는 빠르게 악화됩니다.
돌봄은 명백하게 주체와 객체가 나뉘는 행위입니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당사자의 주체성이 등한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영화를 보다 보면 나이 듦의 당사자이자 돌봄의 객체인 '게오르그'의 입장에서도 생각해보게 합니다. 요양원으로의 이송 절차를 진행하기 위해 '게오르그‘에게 이송에 동의하느냐고 반복적으로 질문하던 담당관과 이게 ’동의‘가 맞느냐고 투덜거리던 '게오르그'의 모습이 저는 좀처럼 잊히지 않습니다.
영화의 제목인 '어느 멋진 아침'은 '게오르그'가 쓰려던 자서전의 이름입니다. 인간의 지혜를 연구하는 철학자였던 그는 뇌의 기능이 망가지는 병에 걸리자, 자서전에 자신의 상태를 "뜻밖의 신체 상태에 갇힌 죄수"라고 적었습니다. 나이 듦에 적응해야 하는 것은 돌봄의 주체인 자식들뿐만이 아닙니다. 돌봄의 객체인 부모 스스로도 자신의 상태 변화에 적응해야 하죠. 병든 몸에 가둬진 부모의 영혼을 보듬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나이 듦의 당사자를 돌봄의 객체에서 행위의 주체로 다시 전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를 고민해 보게 되는 지점입니다.
⊙ ⊙ ⊙
이 영화는 이러한 소재를 통해 삶을 구성하는 상실과 사랑에 관해서도 말합니다. '게오르그'는 자기 자신의 상실을 겪고 있고, '산드라'는 아버지의 상실을 겪고 있습니다. ‘산드라’는 한편으로 '클레망'과의 관계에서 상실을 경험하기도 합니다. ‘산드라'는 상실했고, 상실하는 중이며, 앞으로도 그의 삶에 상실은 계속될 겁니다. 그러나 생각해 보면, 필히 무언가 얻은 적이 있어야만 잃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니 앞의 말은 이렇게도 쓸 수 있죠. '산드라'는 사랑했고, 사랑하는 중이며, 앞으로도 그의 삶에 사랑은 계속될 거라고요.
삶은 흐릅니다. 때로는 잔잔하게 흐르고, 때로는 요동치듯 흐릅니다. <어느 멋진 아침>은 그런 ‘산드라’의 삶을 묵묵히 지켜보는 영화입니다. 돌이켜 생각해 볼 때, 어느 하루를 콕 집어 "참 멋진 아침이었다."라고 말할 만한 날은 흔치 않습니다. 아주 먼 훗날, 상실과 사랑이 혼재했던 지난 삶을 되돌아보면서야 비로소 "어느 멋진 아침들이었지."하고 말할 수 있는 법이죠.
Summary
여덟 살 난 딸, 투병 중인 아버지와 파리의 매일을 살아가고 있는 산드라는 어느 날 오랜 친구 클레망을 만나 새로운 사랑을 시작한다. 일과 가족, 사랑 사이에서 삶은 계속되고 때로는 눈물이 왈칵 쏟아지려 하지만 아침은 여느 때와 같이 찬란하게 찾아온다. (출처: 씨네21)
Cast
감독: 미아 한센-러브
출연: 레아 세이두, 멜빌 푸포, 파스칼 그레고리 외
- 1
- 200
- 13.1K
- 123
- 1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