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올리비아2023-12-12 12:21:23

'나의 올드 오크' - 배타와 연대

대립과 화해 그 너머 희망

시리아 난민

 

'나, 다니엘 블레이크'로 제69회 칸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켄 로치 감독이 90세 때 촬영한 작품이다. 그의 마지막 작품이라지만, 다른 작품으로 이어지길 바라는 마음이다.

 

영화는 나 다니엘 블레이크처럼 사회 문제를 직접적으로 터치한다. 난민을 바라보는 불편한 시선과 비록 선진국이지만 대도시에서는 그들을 원치 않는다는 것.

 

최근 모 영화배우가 우리나라 사람들도 그들처럼 난민이 될 수도 있으니 그들을 돕는 건 당연한 일이라 말했지만, 현실 가운데 얼마나 많은 이들이 그 말을 수용할지는 아직 물음표이다.

 

1951년 난민협약과 1967년 난민의정서는 근대 난민보호의 초석으로, 이에 포함된 난민관련 법률적 원칙들은 난민의 처우를 규정하는 수 많은 다른 국제법과 지역법, 국내법과 관행의 뿌리가 되고 있다. 1951년 난민협약에 포함된 가장 중요한 원칙 중 하나는 난민이 "생명이나 자유가 위협받을 수 있는 지역으로" 추방 혹은 송환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를 '강제소환 금지원칙'이라 부른다. 난민협약은 국가가 난민들에게 제공해야 하는 기본적인 권리에 대해서도 명시하며, 누가 난민이고, 난민이 아닌지에 대한 정의를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비호국에서 난민의 권리를 명시하였다. 신분증명서를 받을 권리, 이동의 자유, 재산 이전의 자유 등이 명시되었다.  - 출처 : 1951년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 유엔난민기구의 국제법적 기초

 

 

 

영화는 희망이 없는 영국의 폐광촌으로 들어 온 시리아 난민들과 자신의 우울을 자기보다 약한 존재에게 투영시켜 괴롭힐 만큼 삶에 의욕이 없는 자들을 비춘다.

 

네 편과 내 편을 나누며 어느 한 쪽의 편을 들 것을 종용하는 주민과 난민의 입장을 이해하고자 하는 이

 

폐광촌이 되기 전에는 의욕을 갖고 서로 연대하며 음식을 나누던 이들이 이제는 낯선 땅에서 슬픔을 맞이한 이들과 다시 연대하며 일어설 힘을 얻는다.

 

이들에게 있어 무엇인가를 이루고자하는 애씀은 늘 중도에 그만두는 허무함으로 끝나지만, 다시 한 번 희망의 끈을 잡으며 시작이란 단어를 꺼내든다.

 

영화는 난민에 대한 편견에서 시작하지만, 점차 그들을 연민과 사랑의 눈빛으로 바라보는 이들이 늘어가며 우리와 별반 다를 바없는 존재로 대우한다.

 

그리고 영화 말미에는 슬픔 가운데 있는 이를 위로하며 따듯한 환대를 보낸다.

 

 

 

 

 

 

 


 

 

작성자 . 올리비아

출처 . https://blog.naver.com/beautifulworld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