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비2025-03-03 15:58:56
기댈 곳 없는 이들이 보여주는 인생의 한 페이지
영화 <매달리기> 리뷰
영화 소개
◇ 제목: 매달리기
◇ 개봉: 2023년
◇ 상영시간: 26분 44초
◇ 시놉시스: 만 18세. 청소년 보호시설에서 살고 있는 영선은, 조금 더 시설에 있어도 되지 않냐는 복지사의 만류에도 시설을 나가 독립하려는 중이다. 영선은 생일이면 만나는 엄마를 만난다. 엄마는 뜻밖에 임신을 했다는 사실을 알려온다.
◇ 연출 의도: 보호 종료 아동은 어린 시절 한 번 버려졌다가 성인이 되기도 전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독립을 해야 합니다. 부족하지만 독립을 해야 하는 막막한 상황에서 드는 다양한 감정들을 주인공과 엄마와의 하루, 특히 태어난 날인 생일을 함께 보내는 것을 통해 보여주고 싶었습니다.
출처: 인디그라운드
영화 리뷰
영화는 철봉에 매달린 어린 영선의 모습으로 시작된다. 힘에 부치는 듯, 엄마를 애타게 부르지만 돌아오는 답은 없다. 결국 영선은 더 이상 매달려 있지 못하고 철봉에서 떨어진다.
단순하지만 명확하게, 보호자의 부재가 어떤 의미인지 영화는 말해준다. 이처럼 사소한 일상에서의 빈자리를 보여줌으로써 영선과 같은 아이들은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야 하나?라는 물음을 던짐과 동시에, 관객은 스스로 '영선'이 되어 한순간에 몰입하게 된다.
시간이 지나 18세 생일이 된 영선은 자립을 위해 새로운 집을 찾는다. 그는 설렘이 묻어나는 얼굴로 누군가와 함께 살 수도 있다고 조심스레 말한다. 영선이 함께 살길 기대하는 '누군가'는 바로 엄마, 차경이다. 영선은 자신의 생일날 찾아온 엄마와 함께 시간을 보내며 말할 타이밍을 기다린다. 그러나 타로점에서 들은 충격적인 얘기로 인해 영선의 계획은 전부 꼬여버리고 만다.
“그럼 애가 생겼는데 버리니?”
영선의 입장에선 참으로 황당한 말이다. 눈앞에 있는 당신의 딸은 버려지지 않았나? 영선은 숨기지 않고 자신의 감정을 날것으로 드러낸다. 이에 차경은 '엄마도 그때는 어렸다'는 말로 분위기를 수습하려 한다. 딸은 일평생 엄마보다 어릴 게 분명한데도 말이다.
차경의 캐릭터는 양면적이다. 아주 나쁜 엄마도 아니고, 자식을 엄청나게 위하는 사람도 아니다. 그저 '엄마'라는 이름에 약간의 죄책감을 느끼는 인물이다. 어쩔 수 없었기에 영선을 혼자 두었지만 그렇다고 완전히 모른 척 버리고 살 수는 없는 인물. 영선은 이미 혼인신고까지 했다는 엄마에게 모진 말을 남기고 친구 미주를 찾아간다.
버려진 차에 몰래 들어가 얘기를 나누는 둘. 영선과 함께 보호 종료 아동이 된 미주는 남자친구에게 돈을 전부 줬다 말한다. 영선은 황당해하며 화를 내고 미주는 그에게 역정을 낸다.
“씨발 난 혼자라고. 난 생일이 언젠지도 모르거든? 닌 엄마라도 있지 난 아무도 없어. 답도 없는 남친 밖에 없어 근데 뭘 어떡하라고! 니가 뭘 알아? 어디에라도 매달리고 싶은 마음을 아냐고. 존나 지가 세상에서 제일 불쌍한 줄 알아.”
'어디에라도 매달리고 싶은 마음'은 이 영화의 중심이 되는 문장이다. 세 명의 등장인물(영선, 차경, 미주)은 모두 누군가에게 매달리고 싶어 한다. 사회가 요구하는 정상 가족에서 벗어난 이들은 그렇게 평생 자신을 붙잡아줄, 자신이 매달릴 수 있는 구석을 찾아 헤맨다. 언제라도 손 내밀어 준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이 최선이 아니더라도 결국은 잡을 수밖에 없다. 그들이 무언갈 선택할 수 있는 길은 과연 존재하지 않는 걸까?
사회는 이 같은 문제를 개인의 것으로 취급하려 하지만 그런 접근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들에게 필요한 건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도록 격려하는 사회적 관용이다.
각자에게 매달릴 구석이 없다면 사회가 붙잡아주면 된다. 사회는 거대하고 완벽한 구조가 아니다. 사회란 바로 옆에 있는 사람이고 또 당신이다. 그러므로 영선도, 차경도, 미주도 서로에게 '매달릴 구석'이 되어줄 수 있다. 영선과 미주의 일탈을 눈감아준 경비 아저씨처럼, 보호 종료 아동을 끝까지 생각해 주는 선생님처럼 말이다.
영화는 결국 영선이 차경의 인생을 응원하면서 끝나지만, 결코 이것이 그들의 결말이라 생각하지 않는다. 영화는 오직 한 페이지일 뿐이다. 좋은 영화는 영화가 끝나는 순간부터 다시 시작된다고 한 이동진 평론가의 말이 기억난다. 그렇다면 이 영화는 상영 순간부터 끝없이 이어지게 될 것이다. 크레딧이 올라가는 짧은 시간에 관객들이 관용의 사회로 들어오면, <매달리기>는 다시 시작된다. 영선과 차경, 그리고 미주 같은 이들이 더 이상 어딘가에 매달리지 않아도 될 때까지.
- 1
- 200
- 13.1K
- 123
- 1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