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희수2025-03-17 15:28:30

영화 <숨>은 무엇을 찍고 무엇을 말하는가

<숨>(2023)

 

 

영화 <>은 네 개의 이미지가 교차되며 시작한다. 타오르는 불과 드넓은 물(바다). 이제 막 몸을 뒤집고, 걸음마를 떼고, 울타리 밖으로 나가려는 아기의 움직임과 이제는 어떠한 미동도 없이 차갑게 식은 망자의 고정된 몸. 각각 생명력과 죽음을 연상시키는 이미지를 교차하며 영화는 시작부터 삶과 죽음의 대비, 경계, 혹은 순환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이때 들리는 건 을 깊게 들이쉬고 내쉬는 소리이다. 이것은 생명력을 가득 머금은 소리 같기도 하고, 이제 막 그 호흡이 끝나가는 마지막 순간의 소리 같기도 하다. 그러니까 다시. <>은 그 시작에서 삶과 죽음 중 어느 하나가 아니라 그 사이를 기필코 감각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영화는 크게 삶과 죽음 사이 어딘가에 있는 세 인물의 이야기를 보여준다. 노인과 장례지도사, 유품정리사. 폐지 줍는 노인의 주름진 몸과 느릿한 움직임은 이제 그는 삶의 시간을 대부분 정리하고 죽음에 더 가까이 있는 존재임을 보여주는 것 같기도 하다. 하지만 노인이 생활하는 집, 그가 잠에서 깨 일어나는 모습, 얼굴을 씻고 밥을 짓고 식사를 하는 모습, 하루에 천오백 원 남짓한 돈을 벌기 위해 폐지를 줍는 모습은 그 어떤 장면보다도 의 이미지를 보여주는 장면이다. 늙고, 주름지고, 느리고 힘들어도 그는 여전히 삶을 이어가고 있고, 잠에서 일어나고 밥을 먹고 일을 하는 것은 전부 생의 유지를 위한 일이다.

 

 

 

아쉬운 것은 그 생의 유지를 위한 활동과 움직임을 보는 영화의 시선이다. <>은 유재철 장례지도사를 보여주는 장면에서 죽음앞에서는 모두가 평등하고, 부자도 가난한 자도 똑같다고 말한다. 그 장면의 앞뒤로 이 노인을 배치할 때 <>의 태도는 과연 그 내레이션과 일치하는지 묻고 싶다. 이를테면 영화의 중반부, 노인을 비추며 감독의 목소리는 이렇게 내레이션한다. 이 폐지 줍는 노인은 한때 성공한 사업가였다고. 이 내레이션은 무엇을 위한 것인가? 이것과 공명하는 건 김새별 유품정리사의 에피소드에서 나오는, 고독사한 누군가가 생전 받았던 장영실상을 발견하는 장면이다. 대단하신 분인데 왜 이렇게 좁은 방에서 사시다가 가셨을까, 하는 유품정리사의 혼잣말. 부자도 가난한 자도 죽음 앞에서는 똑같고 좁디 좁은 관에 들어가면 모두가 똑같다는 말이 무색하게 느껴지는 건 영화가 과연 그 말과 동일한 태도로 이들을 바라보고 있냐는 의문 때문이다. 좁은 관에 들어가는 건 다 똑같다는 그 말. 하지만 대통령의 염장이유재철 장례지도사가 인도하는 그 관은 수많은 언론사의 카메라가 찍는 관이다. 한때 장영실상을 받았으나 결국 좁은 집에서 고독사로 생을 마무리한 그의 죽음은 유품정리사의 말처럼 관공서 컴퓨터 안에 이름 세 글자로 남는다. 그래서 나는 모든 죽음이, 모두가 죽음 앞에서 똑같다는 영화 <>의 말에 동의하지 않는다. 그것은 문제가 아니다. 하지만 영화 <>이 자신의 태도를 일관적으로 지키지 못하는 것은 문제라고 생각한다. 이 영화는 죽음을 더 존중했어야 한다.

 

 

 

*씨네랩 콘텐츠 크리에이터로서 시사회에 다녀온 후 작성한 글입니다.

작성자 . 희수

출처 .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