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YEON 승연2025-03-21 23:28:14

지키는 사람들이 있어 끊어질 듯 이어지는 여성국극

오직 사랑과 열정만으로 꺼져가는 불씨를 살리는 사람들의 이야기

- 다큐멘터리 영화 <여성국극 끊어질 듯 이어지고 사라질 듯 영원하다> 리뷰

 

 

작은 캐리어를 끌고 일본에 도착한 두 여성은 다카라즈카시의 한 대극장으로 향한다. 모두 여성 배우로 이루어져있는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공연을 보기 위해서이다. 2층까지 있는 극장에는 공연을 보러 온 이들로 가득하다. 공연이 끝난 후, 두 사람은 빠져나가는 인파 사이에서 여러 감정이 교차하는 표정으로 한참동안 자리를 떠나지 못한다. 서러움과 부러움이 뒤섞인 대화를 나누는 두 여성. 그들은 여성국극 3세대 배우 박수빈과 황지영이다.

 



 

 

 

얼마 전 방영된 드라마 <정년이> 를 통해서 여성국극의 존재를 알게 되었다. 다르게 말하면 그 이전까지는 여성국극이라는 것의 존재조차 몰랐다는 말이다. 여성국극 안의 모든 배역은 여성 배우가 맡는다. 춘향이도, 이몽룡도, 변사또와 방자도 모두 여성이 노래하고 연기한다. 여성국극의 전성기 시절, 남자 캐릭터를 연기하는 남역배우들의 인기는 지금 아이돌을 그것을 방불케했다.

한때 시대를 풍미했던 여성국극이라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은 듯 하다. 여성국극을 위한 제대로 된 무대는 찾아보기 힘들다. 다큐멘터리 속에서 박수빈과 황지영 배우가 열명 남짓도 안되는 사람들 앞에서 최선을 다해 공연하는 모습을 보면 어딘가 짠하고 안타갑게 느껴진다. 공연을 끝내고는 캠핑카를 끌고 이동하며 무대에 대한 고민와 평가를 나눈다. 그들의 일상은 여성국극이 전부인 듯 보인다.

 

 

 

 

 

박수빈과 황지영은 여성국극을 통해 만났다. 함께 노래를 배우며 자란 그들의 스승은 여성국극의 전성기 시절 한획을 그었던 인간문화재 조영숙 선생. 그는 1939년생이지만 여전히 현역으로 공연을 한다. 상투를 틀고 남자 한복을 입고, 인간문화재라고 불리는 만큼의 소리를 내는 조영숙 선생님의 모습은 머릿속에 강렬히 각인되었다. 여성국극을 사랑하는 스승과 그 스승의 마음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해 여성국극을 지키려는 제자들. 세 사람의 모습은 스승과 제자를 넘어서 가족의 모습과 닮아있다. 스승님이 돌아가시기 전까지 멱살 잡고 끌고 가보자던 제자들은 그렇게 소원하던 대극장 공연을 기획해보기로 한다. 당신들이 사랑하는 스승님, 그리고 여성국극을 이끌었던 선배님들과 함께. 과연 두 사람은 공연을 성공적으로 끝낼 수 있을 것인가.

 

 

 

 

 

이 영화의 매력적인 부분을 세 가지로 정리한다면 첫 번째, 여성국극 그 자체이다. 낯설지만 매력적인 문화인 여성국극. 국악을 베이스로 노래를 하는 최초의 뮤지컬, 여성국극이라는 문화를 알고 배움이 흥미롭다. 드라마 <정년이>의 실제 모델이라고 불리는 배우들의 면밀한 이야기와 예술과 상업 사이의 현실을 보여주는 것 또한 그렇다.

두 번째는 고군분투하는 젊은 여성국극 배우 박수빈과 황지영 모습이다. 박수빈은 자신과 여성국극이 닮아있다고 말한다. 끊임없이 증명하는 삶을 살아왔다는 말에 보이지 않는 시간들이 다가온다. 그렇지만 때로는 쓴소리로 때로는 목표를 위해 자존심을 내려놓는 모습으로 꿈을 향해 달려가는 모습은 관객들에게 귀감을 준다.

 

 

 

 

그리고 세 번째, 조영숙 선생과 두 제자들의 관계성이다. 이들의 모습은 영화에 숨을 불어넣는 듯하다. 이들을 통해 단순한 이야기가 입체적이고 특별하게 바뀐다. 스승님을 위해 힘들어도 포기하지 않는 제자들이라니. 실제로 영화의 연출을 맡은 유수연 감독의 인터뷰에 따르면 처음에는 조영숙 선생의 다큐멘터리를 제작하려했는데, 조 선생을 만나러 갈 때마다 수빈과 지영이 함께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영화의 방향이 바뀌게 된 것 이라고. 개인적으로는 이들의 관계가 몹시 소중하고 사랑스럽게 느껴졌다. 나중에는 조영숙 선생님이 등장하기만 해도 흐뭇한 미소를 짓게 되었다.

영화의 촬영 배경은 2023년. 드라마 <정년이>의 영향으로 여성국극에 대한 관심도가 올라가기 이전이다. 지금 이들의 모습은 어떨까? 감독의 인터뷰에 따르면 100번 이상의 인터뷰를 했다고 한다. 기분 좋은 소식이다. 국악을 토대로 한 우리 문화인만큼, 끊어질 듯 이어지고 사라질 듯 영원할 여성국극을 응원하게 되는 영화였다.

 

*씨네랩 크리에이터로서 시사회에 초청받아 관람하였습니다.

 

작성자 . YEON 승연

출처 .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