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kitkatniss 2025-05-08 17:25:24

<트와일라잇: 시리즈> 의 컬트적 매력은 어디에서 나오는가?

영원한 사랑이라는 비밀스런 환상

  2000년대 초반 청소년기를 보낸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는 두 시리즈가 있다. 바로 ‘트와일라잇’과 ‘해리 포터’ 시리즈. 이들은 창작물을 넘어 세대가 공유하는 거대한 문화적 현상으로 자리잡았다. 그때는 열광했으며 지금은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소설과 그 영화본. <트와일라잇> 시리즈는 <해리 포터> 시리즈에 비해 조금 더 컬트적 성격이 강하며, 성장보다는 로맨스에 초점을 맞추었다. 필자는 항상 해리포터의 편이었다. 어릴 적에도 트와일라잇 시리즈는 소설은 첫번째 권, 영화는 첫번째와 마지막 편 밖에 본 적이 없다. 그렇게 근 20년이 지난 2025년, 필자의 모 영상 앱 알고리즘에 자꾸 <트와일라잇> 시리즈의 클립이 뜨기 시작했다. 댓글은 정확히 반으로 나뉘었다. 영화의 과장된 연출이나 서사를 비웃고 ‘밈’화 시키는 댓글 반, 여전히 시리즈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댓글 반. 클립과 댓글을 자꾸 보다보니 관심이 생겼다. 생각없이 재미있게 볼 수 있는 콘텐츠가 필요하기도 했다. 필자의 오랜 친구가 어릴 적 트와일라잇에 미쳐 있었던 기억도 새록새록 살아났다. 

 

 

 

 

  도대체 사람들은 왜 18살짜리 여자애와 뱀파이어, 늑대인간의 삼각관계에 열광하는가? 도대체 그 매력이 무엇인가? 20년 늦게 내 또래가 공유한 컬트적 문화현상에 뛰어들어 보기로 하였다.

 

연휴를 맞아 이틀만에 5편의 영화를 다 봤다. 그런데…이거…재밌잖아?

 

   그렇다. 재미있었다. 생각보다 더 재미있었다. 너 없으면 차라리 죽겠다며 러브 이즈 올을 외쳐대는 주인공의 나이가 한명은 18살, 한명은 16살..(한명은 109살…) 이라는 점이 생각날 때마다 조금 웃기긴 했으나 그건 나이가 들며 시니컬 해진 나의 영혼을 탓하자. 에이, 저런 게 어디 있어. 쟤는 쟤가 왜 저렇게까지 좋다는건데? 얘야, 인생 길다-남자 따라 뱀파이어가 되겠다는 게 말이 되니? 근데 너네 입시 준비는 안 하니? 같은 생각을 하면서도 ‘영원한 사랑’ 을 이루어 내고야 마는 주인공을 보면 묘하게 구미가 당긴다.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사람들이 <트와일라잇> 시리즈에 열광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이 극단의 낭만성에서 나온다. 시리즈의 서사는 어디 하나 샐 구석이 없는 해피 엔딩을 보여주고, 서사의 설정은 현실이 가져오는 그 모든 찝찝함을 해소하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존재하는 듯 하다. 뱀파이어가 되는 순간 자신이 가질 수 있는 가장 아름다운 외모를 갖게 되며, 뱀파이어는 햇살에 나갈 수 있되 햇살 아래서는 다이아몬드처럼 아름답게 빛난다. 남자주인공과 그의 가족 뱀파이어들은 인간이 아닌 동물의 피만 마시는 소위 ‘채식주의자’들이다. 에드워드와 벨라 사이에서 낳은 딸은 7년만에 25살의 모습으로 자라 불멸의 존재가 되기에 육아로 신혼이 망가지는 일은 없다. 주인공이 자식을 먼저 보내고 영생을 살 필요도 없다. 또, 벨라를 짝사랑하다 외롭게 남겨질 뻔한 친구이자 벨라의 세컨드(?) 제이콥은 벨라의 딸의 운명적 보호자가 됨으로서 그들 곁에 남는다. 

 

  '사랑하는 상대의 죽음’ 이외에는 도무지 진지하게 불행이 끼어들 틈이 없는 설정이다. 이런 촘촘한 설정이 세계관 전반에 걸쳐 나타난다. 혹자는 인위적이라 비판할 수 있겠지만, 시리즈가 <트와일라잇 공식 설정집> 이라는 책 본권과 비슷한 두께의 단행본이 있을 만큼 자세한 세계관과 캐릭터 설정을 바탕으로 했음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내용의 호불호가 어떻든, <트와일라잇> 시리즈는 소비자들이 시리즈의 서사에 깊이 파고들 만한 풍부한 콘텐츠를 바탕으로 2000년대의 인디- 컬트 문화로 재탄생한 것이다.  

 

 

 

 

 시리즈의 설정 중 가장 핵심 명제는 '뱀파이어의 사랑은 영원하다’ 이다. 뱀파이어는 자신의 운명의 짝을 만나면 웬만해서는 영원히 그 사람(?)을 사랑하고, 한 사람이 죽으면 대부분 따라 죽거나 미쳐버린다는 설정이다. 한 사람을 영원히 사랑하며 사는 불멸의 삶이라니, 이 얼마나 어처구니없이 낭만적인 세계관이란 말인가. 이처럼, <트와일라잇>의 서사는 ‘낭만적인 영원함’을 바탕으로 수렴한다. 영화의 아주 훌륭한 사운드트랙 역시 이 테마를 중심으로 영화를 장식한다. 영국 락밴드 뮤즈의 디스코그라피 중 가장 로맨틱한 <Neutron Star Collision> 은 “우리의 사랑은 영원하며, 누구 하나가 죽는다면 우리는 함께 죽을 것(Our love would be forever, And if we die, We die together)” 이라 노래하며, 크리스티나 페리의 엔딩곡 <Thousand Year> 은 천년간 당신을 사랑해왔으며, 앞으로도 천년 동안 당신을 사랑하리라 속삭이며 시리즈의 막을 닫는다. ‘Happily ever after’ 의 조건을 완벽히 충족하고, 영원이라는 가능성만을 남겨둔 채로 영화가 끝날 때 많은 사람들이 남몰래 카타르시스를 느꼈으리라 믿는다. 누구나 한번은 영원히 변치 않는 운명적 사랑, 같은 해피 엔딩을 꿈꿔본 적이 있기 때문이다. 

 

 

 

  칼럼의 주제와는 별개의 이야기이지만, 영화의 전반적인 연출과 색감, 촬영 또한 받는 비판에 비해 훌륭하다. 뱀파이어라는 초자연적 존재를 관객이 간접 체험하게 만들기 위하여 특수 촬영 효과와 카메라의 무브먼트(eg. 뱀파이어의 POV샷일 때는 꼭 whip pan을 쓴다) 를 자주 이용하는데, 효과적일 뿐더러 많은 고민의 흔적이 느껴진다. 온전한 판타지의 영역을 현실의 감각으로 들여오기 위하여 쓴 연출이 대부분 훌륭하다. 인물의 불친절한 감정선을 카메라로 표현하여 관객의 몰입을 돕는 연출 또한 제 역할을 하고 있다. 개인적으로 첫 번째 편의 색감을 그대로 유지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호기심이 있지만..감독이 하차한 관계로 <뉴문> 부터는 <트와일라잇> 특유의 푸른 색감이 없다.

작성자 . kitkatniss

출처 .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