퐁주2025-07-18 12:28:08
같이 걷자 난 다 궁금해 • <태풍 클럽>
<태풍 클럽>
영화 초반부가 졸려서 난감했지만 결말부로 갈수록 엄청난 영화였다. 남학생(켄)이 자기가 다치게 한 여학생(미츠키)을 육체적으로 제압하려고 하는 롱테이크 씬이 있다. 이 씬은 두 가지의 경로로 해석해 볼 수 있다. 1)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켄이 미츠키의 상처 를 확인하려는 시도였으며, 그녀의 마음의 문을 두드리려고 한 것이다. 혹은 2) 켄이 미츠키를 강간하려고 한 것이다. 보는 내내 '강간'이라는 단어가 머릿속에 맴돌았던 것은 사실이다. 그것도 크고 두꺼운 볼드체로. 그러나 전자 쪽에 더 설득이 된다. <태풍 클럽>에는 이해하기 어려운, 그래서 시적으로까지 보이는 장면들이 있다. 리에가 자기 혼자 등교하는 남자친구를 놓치고 아무도 없(어 보이)는 집안의 이불 속으로 들어가 '엄마'를 외치며 꺼이꺼이 우는 장면이 그랬다. 관객이 당황스러움을 느낄 수 있을 정도로 그런 장면들을 길게 잡아준다. 상처받고 놀란 순간 여자아이는 내면으로 침잠하고, 남자아이는 바깥을 공격한다는 점을 나타내는 의도였을까 싶었다.
나는 중간에 조금 졸다가 이 롱테이크 씬부터 입을 쩍 벌리고 봤고, 졸지 않게 되었다. 어쨌거나 잊히지 않는 장면이다. 이동진은 '원시적인 에너지의 분출'이라는 표현을 썼다. 박평식은 '푸른 독을 품고 몸부림치는 날에'라고 썼고, 김철홍은 '오래오래 힘을 잃지 않을 시대의 저기압'이라고 썼다. 오진우는 '태풍으로 세계의 치부를 발가벗겨버'린다고 했다. 문제의 장면에서 내가 본 것은 미츠키와 켄 둘 다 펄떡펄떡 널뛰고 있었다는 것이다.
나에게 청소년기란 감시다. <태풍 클럽>은 방임이다. 어른들이 완전히 부재한다. 학교에 연극부실이 있는 것. 종이학을 주렁주렁 매단 줄. 드레스 코스튬. 핑크색 가발과 초록 드레스를 입은 이 아이는 <매드 맥스: 분노의 도로>의 기타맨 같다. 이야기에 딱히 영향을 안 미치는데 본인이 즐겁고 살짝 미쳐있고 아이코닉하다는 점에서. 사물함이 가리지 않은 넓은 창문과 거기를 가득 채운 초록 나무들. 각종 운동 유니폼. 수업 시간이 아닐 때도 북적북적한 체육관. 몰래 무대로 쓰는 강당. 좋아하는 친구와 함께 등교하는 것. 몰래 수영하기. 사고를 쳐서 담임 선생님이 데리러 오는 것. 그리고 많은 담배! 교실에 딸린 베란다가 있어서 키 큰 식물들과 함께 밖을 내다 보고. 거기서 비밀 얘기를 할 수 있는 것.
나는 사람들의 호들갑이 싫었다. 사람들은 아이들의 귀여운 성장 영화를 기대하고 <태풍 클럽>을 봤다가 물벼락이라도 뒤집어 쓴 것처럼 충격받는다. 아이들이란 이렇겠지, 이래야 한다는 선입견을 가지고 눈앞의 아름다움을 못 보는 것이 뭐가 자랑이라는 건가? 팬티 차림으로 빗속에서 춤을 춰 본 적 있어? 그러고 싶다고 생각이나 해 본 적 있어? 없으니까 그런 식으로밖에 생각 못하겠지!
인물 중심의 영화는 아닌 것 같다. 이 영화의 주인공은 태풍이다. 눈에 보이는 푸릇푸릇한 것들(나뭇잎, 비, 태풍)은 아름다운데 시원하지 않고 찝찝한 느낌이 든다. 그건 내가 감시에 익숙한 사람이어서 그런 것 같다. (라고 근거를 들었는데 왜 이렇게 썼는지 잘 모르겠다)
조용하다가 가끔 물이 풍덩거리는 수영장에서의 제일 첫 장면을 보면, 이 영화가 날것이고 정제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여학생들의 일관된 흰 속옷만은 정제된 것 같다만...) 이런 영화도 있어야 되지 않나? 리에가 엄마를 부르면서 우는 것. 병적으로 같은 말을 반복하는 것. 친구를 다치게 하는 것. 감정을 다루는 데 굉장히 미숙한 것. 상처주는 것. 아무렇지 않은 척 연기하는 것. 자살 시도를 하는 것. 이렇게 불쑥불쑥 튀어나오는 것들이, 있어야 하지 않나? 있을 만하지 않나? 소마이 신지의 다른 영화가 강력하게 궁금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