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오늘도 혼자 카페에 왔다. 이게 불만이란 건 아니다. 바로 옆자리에 여자분 둘이 앉아서 도란도란 대화를 나누고 있다. 에어팟을 끼고 있어서 뭐라고 들리지는 않는다. 오. 한 분은 그냥 반팔을 입었다. 벌써 반팔을 입나? 싶다가도 4월 말의 제주는 또 반팔을 입어야 시원하니 충분히 그럴 만하다. 옆옆자리에도 여자분 둘이 앉았다. 바로 옆자리의 여자분들과는 다르게 큰 목소리가 에어팟을 뚫고 들어온다. 무슨 이야기를 하는지 까르르 웃고 있다. 빤히 쳐다보며 무슨 이야기를 하는지 볼 필요는 없을 테니 그냥 내 모니터에만 집중했다.
모니터에 집중하니 왠지 생각 안 나는 글도 쓸 수 있을 것 같다. 갑자기 아무 말 대잔치로 내용을 줄줄줄 쓸 수 있을 것 같다. 별다른 것 없이 힙한 카페에서 친구들과 대화하는 사람들만 봤는데 갑자기 할 말이 생긴다. 그러니까, 왜 영화를 보기 시작했더라? 나도 저 사람들처럼 되고 싶어서 그랬던 것 같다. 사람이 인간적으로 할 이야기 정도는 있어야지. 2022년의 지금 생각해보면 '대체 이놈은 뭐하는 놈일까'싶었을 때, 난 사람들과 하고 싶은 말이 없었다. 그래서 실없는 이야기만 하곤 했다. 그래서 영화 한창 좋아할 때 그냥 사람들이랑 다양한 대화를 해보고 싶어 덕질(?)을 시작했던 것 같다. 처음 본 <박하사탕>이나 <문라이트> 같은 영화들이 가벼운 작품이 아니기도 하고 그때 썼던 글도 그런 느낌들이지만 그런 건 아무래도 지금의 나에게 중요하지 않다. 원래 사람 살면서 가볍게 재미있는 이야기 할 수 있는 게 부담 없고 뒷맛도 깔끔하다. 또 그런 이유로 내가 그냥 순수 재미로 가득한 영화들에 어느 정도 호감이 가는지도 모르겠다. 이거야 말로 오히려 영화 보는 이유지! 재밌으면 좋은 영화다!
도망치듯 빠져나와
주인공 다비는 마약중독자다. 치료 센터에서 마약중독 해소 프로그램을 수강하고 있다. 다비는 어딘가 불안해 보인다. 그렇게 불안한 하루를 보내고 있는 어느 날 가족에게 전화가 온다. 어머니가 편찮으시다는 전화였다. 휴대전화를 사용할 수 없는 센터. 어찌어찌 전화기를 소유하고 있는 사람을 통해 가족과 연락하고 이내 집으로 갈 채비를 마친다. 차를 타서 집으로 향한다. 그러나, 역시 삶은 원하는 걸 한 번에 가져다주지 않는다. 한 번에 쭉쭉 향하면 좋았을 걸 밖에는 폭설이 내렸다. 어쩔 수 없이 어느 산장에 도착하게 된다. 산장에는 중년의 남, 녀 둘과 어쩐지 주위 산만해 보이는 남자 하나, 또 건장한 남자가 있다. 다들 목적지가 있지만 날씨가 이런 탓에 갈 곳이 없는 처지가 되어버렸다. 산장 속 일행들은 게임을 하기로 한다. 카드 게임이었다. 그런데, 그냥 모르고 지나치면 좋았을 사실을 알아버렸다. 산장 밖에 덩그러니 주차돼있는 차를 지켜보니 웬 아이가 납치되어 있었다. 아이는 어떤 병의 영향으로 긴 시간 동안 약을 먹지 않으면 죽게 된다. 밖에는 폭설이 몰아치고 무기도 없으며 경찰도 오기 어려운 이 상태. 주인공 다비는 아이를 구하기 위해 산장에서 온갖 노력을 기한다. 아이를 구하고 산장에서 탈출하는 것이 영화의 소재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국밥 같은 서스펜스
1) 폐쇄된 공간 2) 날씨 안 좋음 3) 통신까지 안됨 4) 뭔가 불안해 보이는 인물. 이 네 가지가 이 극에 설정된 배경이다. 이런 영화 찾아보면 많을 것이다. <올드>도 살짝 비슷한 느낌이고 <23 아이덴티티> 역시 그랬다. 이런 긴장감 사실 익숙하다. 특히 눈 오는 산장이라는 공간적 배경은 사골보다 더 상위 개념을 갖고 와야 할 정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화의 긴장감은 좋았다. 이 이유로 흑막의 정체를 들고 싶다. 왠지 다른 스릴러물과는 다른 템포였다. '범인이 누구냐?'를 통해 주는 영화적 재미를 포기하고 후반부의 빠른 템포를 선택했는데 선택지를 잘 고른 느낌이다. 공간적 배경이 많이 익숙함에도, 또 이런 장르영화가 가져다주는 비꼼과 조소가 식상함에도 극을 끝까지 볼 수 있었던 건 갈등 구조를 다른 템포로 비틀었기 때문이었다.
또 인물 설정도 괜찮았다. 어느 정도 예상이 가는 구석이 있던 것도 맞지만 절묘하게 클리셰를 비틀었다. 이 역시 흑막의 정체에서 알 수 있다. 여기서 무슨 코멘트를 하면 그냥 대놓고 결과를 말해주는 셈이라 쓸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극을 보다 보면 '어 좀 의외다' 싶은 부분이 있다. 이 외에도 인물의 처지 변화도 신선했다. 악의 평범성을 보여주는 연출이었다.
미국 독립영화가 이런 느낌일까
저번 주에 <태어나길 잘했어>를 극장에서 보고 왔다. 우리나라 독립영화를 보다 보면 새로운 배우를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재미있다. 나름 한국영화 팬이라고 생각했는데 홍상표 배우 빼고는 다 초면인 분들이었다. 뭐 이건 <꿈의 제인>을 보고 구교환, 이주영, 이민지 배우를 처음 알게 됐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이 영화 역시 좀 생소한 배우들이 나왔다. 이런 신선함은 영화의 장점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난 가끔 할리우드에도 나오는 배우들이 나오는 것 같다는 식상함을 느끼곤 한다. 황정민. 정우성, 이정재, 이병헌, 최민식, 송강호 배우 연기 잘하는 거 아는데 너무 자주 보는 느낌이었다. 이런 맥락이 해외에도 적용되는 셈이다. 정신병 걸린 천재 베네딕트 컴버배치, 능력 있는 섹시가이 다니엘 크레이그, 기상천외한 세상 속에서도 꿋꿋한 에밀리 블런트, 속에 쌓인 거 많은 제시 플레먼스, 시간 여행하는 레이철 맥아담스, 말 많은 라이언 레이놀즈까지 할리우드도 은근 섭외 클리셰 있다. 뭐 이 배우들이 그만큼 스타성이 있으니까 중용받는 것이지만 한 편으로는 인물만 봐도 어느 정도 예상을 하곤 한다. 이 영화는 신선한 얼굴을 보여주며 보다 더 다른 방식의 이야기 전개에 힘을 부여한다.
OTT의 장점이 이런 거지 뭐
<오징어 게임>이 인기를 끌었을 때가 생각난다. 난 솔직히 그게 그렇게 인기를 끌 거라고 생각 못했다. 재미는 있었지만 각본의 구멍이 좀 많았다고 느껴졌기 때문이다. 그런데 엄청 대박이 터졌다. 이 덕에 배우들이 엄청나게 유명세를 탔다. 특히 새벽 역을 맡았던 정호연 배우는 알폰소 쿠아론의 신작에 캐스팅됐다고 한다. 원래 배우로서의 필모그래피가 그렇게 많지 않았음에도 완전 대박이 난 것이다. 난 이런 게 넷플릭스의 순기능이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각 나라의 오리지널 콘텐츠로 무난하게 재미있는 작품도 수익내기가 쉬워지는 느낌? 만약 넷플릭스 배급이 아니라 JTBC에서 방영됐다면 이만큼 국제적인 인기를 끌 수 있었을까? 그냥 우리나라 드라마 1로 끝나지 않았을까?
<시>나 <밀양>, <기생충>과 <마더>같이 예술적으로도 탁월한 영화가 그냥 인기 많은 작품보다 해외에서 잘 될 가능성이 높다는 건 그렇게 불합리한 추론이 아니다. 예를 들어 <신과 함께> 같은 경우 외국 관객들이 이해 아예 못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있다. 반면에 <마더> 같은 경우 어머니의 모성애라는 소재와 서스펜스를 전개하는 방식은 나라 구분 없이 탁월하기 때문에 인기가 많을 수도 있다. 이는 곧 우리가 다른 나라의 영화를 볼 때 예술성이 기가 막히게 탁월하지 않은 것들을 보기 어렵다는 뜻도 된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이번 아카데미에서 여우주연상을 받은 <타미 페이의 눈>도 극장에서 볼 수 없었던 작품 아닌가? 어쩌면 우리나라 관객들은 미국인들에 비해 모순적인 출발점을 가지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수입된 작품만 보기에는 선택지가 좁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런 문화 격차(?)가 OTT가 등장하니 어느 정도는 해소되는 듯하다. 영화 그냥 재밌으니까 보는 거다. 인문학적 소양이나 사람의 깊이가 필요한 영화들도 분명히 의미는 있지만 어떤 이들은 그냥 뇌 비우고 시간 죽이고 싶어서 영화를 보기도 한다. 이 디즈니 플러스에 이런 미국 독립영화가 들어오니 우리나라 스릴러물을 보는 것 이외의 선택지가 더 생겼으니 이는 분명히 이 플랫폼이 갖는 이점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제는 수입사에 기대지 않아도 될 것 같다.
그런데 인간적으로 디즈니 플러스 홍보팀 일 진짜 못한다. <출구는 없다> 뿐만 아니라 <조조 래빗>같이 좋은 영화 많은데 이걸 유저들이 일일이 다 찾아서 봐야 한다는 게 참..;
스릴러물의 제1덕목은 뭐다?
너지? 4885. <추격자>는 탄탄한 서스펜스를 유지하는 영화다. 영화 초반부부터 지영민이 나쁜 놈인 거 다 알고 시작하는데도 두 시간 동안 눈을 뗼 수가 없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다른 스릴러물과는 다른 차이점이 보이긴 해도 영화 자체적인 구실을 나름 다 하는 셈이다. 이 영화가 <추격자> 만큼의 창의성이 있어 보이지는 않지만 일단 그냥 재미있다. 긴장감이 넘친다. 후반부 폭주하는 전개가 좋다. 뭐 그럼 된 거 아니겠어? 이 영화는 스릴러 영화고, 장르의 값을 한다! 가끔은 어떤 영화의 해설보다 그냥 재미있는 영상물이 당길 때가 있기 마련이다. <문나이트> 한번 보기에 돈이 아까운 분들에게 이 영화 추천드린다. 주말에 연인, 친구들과 재미있게 볼 수 있을 것이다!
#디즈니플러스영화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