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이정원2021-07-29 03:29:20

아하! 우리 안의 특별함을 깨닫는 신호

<패터슨 리뷰>


뉴저지주 패터슨에 살고 있는 패터슨(애덤 드라이브)은 어김없이 오전 6시 눈을 뜬다. 간단하게 끼니를 해결하고 직장인 버스터미널로 향한다. 직장으로 향하는 도중엔 아침에 본 성냥갑에서 받은 영감으로 시를 구상한다. 사실 패터슨은 버스기사이자 시인이다. 하지만 주변 사람들 중에 그가 시인이라는 것을 아는 사람은 아내인 로라(골시프테 파라하니)뿐이다. 로라는 패터슨이 언젠간 위대한 시인이 될 거라 굳게 믿지만 자신을 드러내기 꺼리는 남편의 모습에 답답해한다.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해내고야 마는 로라의 성격으론 이해하기 어려웠던 모양이다. 오늘도 반려견인 마빈과 밤 산책을 마친 후 돌아온 패터슨은 다음 날을 준비하며 잠자리에 든다. 

<패터슨>은 참 굴곡이 없는 영화다. 그도 그럴 것이 패터슨이라는 평범한 개인의 하루가 7번이나 반복돼서 나열되니 굴곡이라는 것이 없는 게 당연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무미건조하기 짝이 없어 보이는 이 영화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이루어 설명하기 어려울 정도로 깊다. 짐 자무시는 같은 인물의 하루를 극한으로 파고들어 간다. 한 우물만 파는 것만큼 지겨운 것은 없고 영화에서 지겨움만큼 힘겨운 적(敵)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인고의 시간을 견뎌내면 자무시 감독이 남겨 놓은 평범한 개인의 삶에 담긴 ‘특별함’을 만날 수 있다. 

흔히 우리는 특별함이란 TV나 유튜브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이야기라고 생각하며, 정작 자신은 평범하다고 주장한다. 패터슨의 본업은 평범한(?) 버스기사다. 하지만 그의 비밀 노트엔 여느 시인들에 못지않은 아름다운 시들로 가득하다. 아내인 로라만이 패터슨의 특별함을 알고 끊임없이 격려한다. 하지만 패터슨은 아내의 칭찬이 진심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신 또한 아내의 꿈에 진심을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로라의 꿈은 일주일 동안 여러 번 바뀐다. 컵케이크 집 사장에 기타리스트, 말은 하지 않았지만 속으로 인테리어 업자까지 꿈꾸고 있을지도 모른다. 매번 바뀌는 로라의 산만한 모습에 패터슨은 언제나 의심 가득한 눈빛을 보내지만 속마음을 겉으로 드러내진 않는다. 하지만 그의 의심이 무색하게 행동의 결과를 내는 것은 언제나 로라다. 도착한 지 얼마 안 된 기타를 자유자재로 다루고 자신이 맛없어 남긴 컵케이크는 대박이 났다. 패터슨은 영화 속에서 어떤 감정도 드러내지 않지만 로라를 향한 그의 표정에서는 시기와 질투가 보인다. 

분출되지 못하는 패터슨의 감정은 반려견 마빈을 통해 드러난다. 패터슨과 마빈은 사이가 안 좋다. 산책을 가도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는 것은 기본이고 집 안에선 자리를 놓고 보이지 않는 수많은 갈등이 펼쳐진다. 이는 이성과 본능의 충돌을 패터슨과 마빈의 모습으로 시각화한 것이다. 양분된 패터슨의 본질을 드러내는 상징적인 장면은 세탁소에서 노래 연습을 하는 래퍼를 만났을 때다. 노랫소리를 따라간 세탁소에서 패터슨은 문 뒤에 숨어 조용히 노래를 듣지만 마빈은 래퍼 앞에서 대놓고 자신을 드러낸다. 장소에 상관없이 자신을 당당히 드러내는 래퍼를 향한 두 캐릭터의 상반된 태도를 통해 이성과 본능을 재치 있게 표현하고 있다.
 
이를 놓고 보면 마빈이 패터슨의 비밀 노트를 찢어버린 것은 어느 정도 그의 의지가 반영됐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실 패터슨은 복사본을 원하지 않았다. “번역본을 만드는 것은 우비를 입고 샤워를 하는 기분”이라고 말한 일본 시인의 말에 공감하는 패터슨의 모습으로 사실을 엿볼 수 있다. 패터슨은 스스로 시인보다는 버스기사라고 생각한다. 버스기사는 시인이 될 수 없다고 믿은 것이다. 하지만 일본 시인과의 대화를 통해 위대한 예술가들은 현재 기억되는 것과 다른 과거를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일본 시인이 반복하는 ‘아하!’는 평범함에 빠져 확신을 갖지 못하던 패터슨에게 자신이 지닌 특별함을 상기시켜주는 신호인 것이다. 

이 글을 읽은 여러분도 한 번쯤은 자신을 평범하다고 소개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중국집에서 짜장면으로 통일하지 않고 홀로 짬뽕을 시키는 것조차 튀는 행동으로 간주되는 한국 사회에서는 당연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평범함이 지나치면 참된 자신의 모습은 점점 잊혀지기 마련이다. 스스로 평범함의 늪에 빠져 자신을 잃어가는 모든 이들에게 짐 자무시 감독은 <패터슨>으로 꺼지지 않는 열정이 있다면 누구나 특별하다는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

작성자 . 이정원

출처 . https://brunch.co.kr/@nukcha45/23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