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rewr2021-12-11 17:39:31

제2의 전태일 혹은 제1의 신순애, 이숙희, 임미경…

영화 〈미싱타는 여자들〉 리뷰

  1977년 9월 9일. 청계피복노조는 건물 사무실에서 노동교실을 사수하기 위한 집단 농성을 벌였다. 청계피복노조는 전태일이 분신한 후 결성된 노조로 전태일의 뜻을 이어 다양한 노동환경 개선 운동과 노동자 교육을 진행하던 단체다. 이들이 농성을 벌인 이유는 건물주가 9월 10일까지 노조 사무실과 노동교실을 비우라고 통보했기 때문이었다. 계약기간이 남았음에도 퇴거 통보를 받은 건 배후가 있는 정치적 탄압이었다. 당시 위정자들에게 전태일과 그의 어머니 이소선의 이름은 노동운동‧민주화운동 세력을 상징하는 위협적인 이름이었는데, 청계피복노조가 이 둘의 이름을 전면에 내세워 피복노동자들의 권리와 이익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의욕적으로 전개해나가는 게 영 못마땅했던 것이다.

 

  〈미싱타는 여자들〉은 청계피복노조 투쟁의 중심에 있었던 활동가들이 1977년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 그들에게 노조는 무슨 의미였는지, 그날을 다시 기억한다는 것이 왜 중요한지를 질문하는 다큐멘터리 영화다.

 

 

  영화에 나오는 인물은 대부분 여성이다. 여자는 배울 필요가 없다는 편견, 찢어지게 가난해 가족의 생계에 보탬이 되어야 한다는 절박함 등 미싱을 돌리는 노동자들이 대부분 여성이었던 이유는 많다. 그녀들은 평화시장에서 일을 시작한 계기, 학생이 아닌 노동자라서 겪어야 했던 설움, 열악한 노동환경, 노조를 만나 변화한 삶, 동료들과 맺은 우애, 투쟁을 결심한 계기 등에 관해 말한다. 깔깔거리는 웃음소리, 몸이 부르르 떨리는 분노, 눈물이 날 것만 같은 슬픔을 담은 그녀들의 이야기는 그들이 전태일의 수혜자가 아닌 동지였음을 분명하게 증언한다.

 

  청계피복노조의 노동교실 사수 투쟁은 그녀들의 삶을 지키기 위한 투쟁이었다. 노조와 노동교실이 없었다면 평화시장의 노동자들은 살인적인 노동 강도, 형편없는 노동환경에 내내 시달렸을 것이고, 더 나은 미래를 상상할 수 없었을 것이다. 투쟁 과정에서 투신, 자해 등의 다소 과격한 결의가 나온 건 이 때문이다. 전태일을 계기로 빼앗긴 삶을 조금씩 되찾아오던 그녀들에게 노조를 그만두라는 건 다시 전태일 이전, 즉 지옥으로 돌아가라는 의미였던 것이다.

 

 

  하지만 과정, 맥락은 사라지고 법적 처벌과 빨갱이라는 낙인만 남았다. 재판은 주먹구구식이었다. 1962년생 노동자를 성인 교도소로 보내기 위해 1960년생이라 조작한 것은 재판이 노조 와해를 위한 요식행위에 불과했음을 보인다. 청계피복노조가 농성을 시작한 9월 9일이 북한 정권 수립 기념일인 ‘구구절’과 겹친다며 그들을 빨갱이라 부른 것도 마찬가지다. 청계피복노조의 투쟁에 정말 ‘빨갱이’가 개입했다면, 차라리 피복노동자에게 9월 10일까지 사무실을 비워달라고 통보한 건물주가 그랬다고 주장하는 게 합리적이다. 예나 지금이나 법은 약자 앞에서 더 가혹하고 우스워진다.

 

  법적 처벌과 빨갱이는 모두 핑곗거리다. 그들은 여성 노동자가 자기 목소리를 갖고, 자기 삶을 기획하는 존재로 거듭나는 게 두려웠던 것이다. ‘고도성장’을 위해서는 기계처럼 수동적으로 일하는 사람이 '모범'이기에 자유, 권리를 요구하는 자들은 눈엣가시다. 청계피복노조에 대한 탄압은 '뒷바라지하는 아내'와 '수동적 노동자' 말고는 여성에게 아무것도 허락할 수 없다는 체제‧위정자의 추악한 폭력성을 까발린다.

 

  청계피복노조의 투쟁을 이끌었던 피복노동자들은 징역을 살았다. 함께했던 친구‧동지들은 흩어졌고, 이들은 누구에게도 자신의 과거를 말하지 않았다. 세상이 자유롭고자 하는 여성 노동자를 어떻게 취급하는지를 뼈저리게 배웠기 때문이었다. 50년이 흘렀지만 그녀들은 여전히 조심스러웠다. 영화가 시작되기 전, 무대인사에 오른 피복노동자들은 기억 속에 묻어 두었던 일을 꺼내 영화 촬영에 응한 이유로 자신들의 싸움이 기록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에 공감했음을 공통적으로 꼽았다. 오랜 침묵을 거스르는 말하기의 사회적 의의를 믿은 것이다. 영화에 나타나듯, 1977년에 이어 이번에도 그녀들의 선택은 옳았다.

 

 

  동시에 이들의 말하기는 젊은 시절의 '과거의 나'에게 건네는 치유와 화해의 시도이기도 하다. 삶에 깊이 새겨졌음에도 그렇지 않은 듯, 없었던 일인 듯 살아온 시절을 건너 환한 얼굴로 과거의 나와 대면하는 그녀들의 모습은 감동을 자아낸다. “그분들이 전태일이었어요”라는 한 남성 동료의 말처럼, 청계천피복노조의 여성 노동자들이 이제는 웃는 얼굴로 당당히 과거를 회상하고 적극적으로 이야기하기를 계속해 나갔으면 좋겠다. 그들이 제2의 전태일을 넘어 제1의 신순애, 이숙희, 임미경…으로 거듭날 때 한국의 노동운동사는 더 풍부해질 것이고, 소리 내지 못했던 더 많은 삶에 다시 목소리를 부여할 것이며, 흩어진 동료들의 삶을 더 크게 모아낼 수 있을 것이다. 미싱타는 여자들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 뜨거운 응원과 연대의 박수를 보낸다.

 

 

*영화 전문 웹진 〈씨네랩〉에 초청받은 시사회에 참석한 후 작성한 글입니다.

작성자 . rewr

출처 . https://brunch.co.kr/@cyomsc1/132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