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이정2022-03-22 21:46:48
질곡을 깨는 얼굴들
영화 <전장의 피아니스트> 리뷰 (2020, 지미 카이루즈 감독)
하루에도 수많은 사람들의 생각이, 말이, 글이, 작품이, 나타나고
사라지는 세계를 산다. 어제의 유행가는 언제부턴가 들리지 않는다. 시대를
풍미하며 많은 공감을 사던 장르 하나가 통째로 사라지기도 한다. 누군가가 했다는 말은 바람 속에서 이리저리
조각나고 찢겨 날아다니다 잊힌다.
그러므로 이 세계에서 우리에게 전해지는 모든 이야기들은, 특히나 시간과
공간을 훌쩍 뛰어넘어 지금 여기의 내게까지 와 닿은 이야기들은, 여상해 보여도 사실 엄청난 질곡을 깨뜨리고
다가온 것이다. 한 이야기와의 만남을 기적으로까지 우러러볼 순 없더라도, 소중한 경험임은 분명하다. 심지어 그 이야기가 내 마음에 깊이 와
박혔다면, 그렇다면 그건 기적이라 불러도 되지 않을까.
이 영화는 그래서 내게 기적이었다. 질곡의 땅에서 태어나, 밤에서 낮으로 또 아침에서 저녁으로 전해지다가, 오래 전의 음악을
덧입고 찾아온. 오월의 전주에서 이 영화를 만났다. ‘영화는
계속되어야 한다Film goes on’이라는 주제가 곳곳에 단단한 차돌처럼 박혀 있는 영화관에서. 사람들 틈에서 박수를 치고 눈물을 훔치고, 개봉하면 꼭 동종업계
사람들과 다시 봐야지 생각했다.
영화 <전장의 피아니스트>는
시리아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더 정확히는 종교 극단주의자 그룹, 흔히
IS로 불리는 ‘다에시’가
시리아 일대를 장악하고 있는 모습을 배경으로 한다. 한때는 평화롭고 풍요로웠을 도시는 딱딱한 공포의
압력으로 덮여 있다. 언제 총성으로 깨질 지 모르는 고요한 오후 햇살 아래서, 슈만의 <트로이메라이>를
연주하는 카림의 모습으로 영화는 시작한다. 트로이메라이. 환상, 꿈이라는 뜻의 단어는 슈만의 <어린이 정경> 7번째 곡이다. 슈만이 유년 시절을 회상하며 만들었다는, 부드럽고 아름다운 곡을 총성이 찢는다. 사람들이 숨어 지내는 곳, 굳어 있는 도시에서 유일하게 서로의 쉴 곳이 되어주는 은신처 같은 곳도, 안전하지는
않다.
그래도 거기서 사람들은 각자의 일을 한다. 카림은 피아노를 치고, 카림의 사촌은 언젠가 이 전쟁이 끝났을 때를 기다리며 로스쿨에 가고 싶다는 일념으로 토플 공부를 한다. 삼백 년 전에도 같은 모양새였을 것 같은 얼굴로 물담배를 피우는 사람도, 아이를
돌보는 사람도, 체스를 두는 노인들도 있다.
물론 이곳이 진짜 무릉도원은 아니기에, 이 모든 건 잠시뿐이다. 생존이 보장되지 않는 사회에서 사람들은 압제에 맞서 싸울 준비를 한다. 예술까지는
언감생심 꿈도 꿀 수 없는 사회에서, 싸움보다 예술이 하고 싶은 카림은 시리아를 떠날 계획을 세운다. 연주만으로도 눈엣가시가 되는, 어머니의 유품 피아노를 팔아 그 돈으로
유럽에 가겠다는 것이다.
영화의 스토리라인은 카림의 발을 따라 간다. 함께 숨어 지내는 사람들도
마뜩찮아 하는 피아노를, 다에시의 일원들이 마음에 들어 할 리 없다.
수시로 급습 나오는 다에시 대원들은 결국 피아노를 부수고, 카림은 자신의 현재이자 미래가
모두 걸린 피아노를 수리하기 위해 똑 같은 피아노가 있다는 곳으로 무작정 길을 나선다. 피아노는 고사하고
그 집이 남아있을 지조차 보장이 없는, 민간인을 가리지 않고 폭격이 수시로 이루어지는 도시로.
카림의 여정을 따라 수많은 인물들이 스쳐간다. 아버지가 다에시 대원들에게
끌려갔지만, 그래서 아마 돌아올 수 없겠지만, 어른들의 돌봄
아래서 자라나는 꼬마 지아드, 공개 처형 당하는 동성애자, 폭격으로
이미 텅 비어버린 도시에서 만난, IS에 맞서 싸우는 여성 부대원, 경계
어린 눈빛으로 그러나 친절을 베푸는 이웃… 10년도 훌쩍 넘어선 내전에서 수없이 비춰지던 얼굴들이, 그렇게 지나간다. 때로는 이름을 남기고, 가끔은 이야기를 남기고, 심지어 어떤 경우엔 이름조차 남기지 못한
채로.
한 명의 얼굴이라도 더 담고 싶어 애쓴 흔적이 역력하다. 이 점이
누군가에게는 너무 길고 인위적으로 느껴질 수도 있을 것 같다. 그러나 내게는 목소리를 낼 수 없는 자들의
목소리를 한 줄기라도 더 대변하기 위한 노력으로 보였다. 질곡의 땅에서 여기까지 찾아온, 하나하나의 이야기들. “타인의 얼굴”들. 전쟁은, 분쟁은 각양각색
소극 같은 다양한 인간들의 삶을 단선적인 비극으로 가린다. 생존 외의 아무 것도 바랄 수 없는 극한으로
치달려도, 그래도 그 뒤에서 소극은 계속된다. 목숨을 걸고
피아노 부품을 구하러 폐허로 뛰어드는 카림을 손쉽게 비난할 수는 있지만, 생존 이외의 모든 것을 거세하고
살아갈 수는 없다. 삶을 이어가는 한 꿈도 이어진다.
삶이 이어지는 한 꿈을 이어간다. 광기 어린 상황에서 연필 사각이는
소리를 멈추지 않는 이. 내일이 있을 지 알 수 없는 세상에서 가게 창틀을 푸른색으로 칠하는 이. 상대의 거친 믿음을 비틀어 무기로 삼는 이. 자기들의 방식으로 희망을
말하는 것. 그것이 각자의 방식대로 이어가는 싸움이다.
아마도 실화가 아닐, 환상에 가까운 결말 또한 그래서 희망으로 읽혔다. 귓병으로 유서까지 썼던 베토벤이 다시 음악으로 마음을 굳히고 시작한, 그의
제2 황금기를 상징하는 <발트슈타인>. 온 세상이 시리아를 잊어가는 것 같지만, 그렇게 다른 무수한
전쟁들처럼 시리아 사람들의 고통도 소리 없이 잊히고 있지만, 보라, 여기서도
우리는 다시 시작하겠다는, 계속해보겠다는 결연한 마음마저 읽힌다. 그건
카림의 싸움이자, 시리아의 싸움이다.
실화를 기반으로 했다는데, 이 이야기에 묻어난 실화는 대체 몇 사람의
얼굴을 하고 있을까. 결국 살아남은 이들의 이야기만이 입에서 입으로 전해진다. 투사는 죽거나 잡히거나 도망치지만, 투사가 아닌 자들도 그렇다. 죽지도 잡히지도 않고 전쟁의 손아귀에서 도망친 자들만이, 생존하고
이야기를 이어간다. 그렇다면 우리에게 이 이야기는 반드시 필요한 이야기다.
지극히 특정한 분쟁의, 특정한 이야기임에도, 보고 있노라면 이 땅을 지나간, 지금도 사라지지 않은 무수한 전쟁들이
보편적으로 떠오른다. <1917>도, <동주>도 생각난다. 동주와 몽규 같은 이들이, 스코필드와 블레이크 같은 이들이, 어딘가에서 죽거나 잡히거나 도망치고
있는 것이다. 그러니까 살아 있는 하나하나의 얼굴들이.
<전장의 피아니스트>가
가까이에 비춰 준 “타인의 얼굴”들을 떠올린다. 시리아의 무운과 평화를 빈다. 이제는 이 문장을 그만 쓰고 싶다고
생각하면서도 계속 쓴다. 백여 년 전 독립만세를 외친 사람들은 더 이상 독립만세를 외치지 않아도 되는
세상이 오길 얼마나 바랐을 것인가. 지금도 마음 다해 하는 일이 어서 소멸되길 바라며 일하고 움직이고
꿈꾸는 모든 이들의 무운을 함께 빈다.
- 1
- 200
- 13.1K
- 123
- 1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