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am your bunny2022-03-30 10:40:03
서툴지만 그만큼 절실했던 우리들의 이야기 <우리들>
어느 여름날에 이루어진 선과 지아, 그리고 우리들의 이야기
초등학생 시절의 나에게 ‘친구’란 어떤 존재였을까? 어린 시절, 내게 ‘친구’는 때로는 부모님보다도 더 소중하다고 느껴질만큼 내 삶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존재였다. 지금은 꽤 많은 시간이 흘러 어렴풋한 기억만 남았지만, 친구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꽤나 치열하게 살아왔던 내 모습만큼은 자주 떠오르곤 한다. 어쩌면 성인이 되어버린 지금보다도 더 예민하고, 위태롭고, 흔들리기 쉬웠던 시기였기에 그 친구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내내 전전긍긍하곤 했다. 이러한 기억들의 색깔은 내가 커가면서 점점 흐릿해졌지만, 이 영화를 본 순간 다시금 선명한 원색으로 돌아왔다.
<우리들>은 ‘선(최수인)’과 ‘지아(설혜인)’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친구 사이의 이야기를 담은 영화이다. 초등학교 여름방학을 맞이하고, 항상 혼자이던 선에게 ‘전학생 지아’라는 새 친구가 생긴다. 둘은 금방 친해져서 여기저기 같이 돌아다니고, 서로의 집에도 놀러가며 행복한 여름의 시간들을 보낸다. 하지만 여름방학이 끝난 뒤, 선은 지아에게 밝게 인사하지만 지아는 그런 선의 인사를 받아주지 않는다. 방학 동안 학원을 다니면서 지아는 새 친구 ‘보라(이서연)’를 사귀었다. 보라와 보라의 친구들은 타인의 말을 자신들의 의도대로 오해해서 듣고, 만만하다고 생각되는 친구에게 함부로 말하곤 하는 아이들이었다. 그렇게 지아는 보라와 어울리며 선과 멀어진다. 하지만 이 관계도 그리 오래가지는 못했다. 보라와 보라 친구들의 다음 괴롭힘 ‘타겟’은 지아였다. 무리에서 ‘낙오’된 지아는 선을 화나게 하는 행동을 하였고, 결국 감정이 쌓이고 쌓인 지아와 선은 몸싸움까지 벌인다.
피구
이 영화는 피구 경기로 시작해서 피구 경기로 끝난다. 영화의 첫 장면은 피구 경기를 위해 각자의 팀을 뽑는 상황 속에서의 선의 모습이다. 선은 자신이 뽑히길 기대하는 눈빛으로 팀원을 뽑는 두 아이를 계속 번갈아 쳐다본다. 다른 친구들이 뽑히는 것을 보고 부러워하고, 자신이 마지막까지 뽑히지 않는 것에 대해 아쉬워하고, 입술을 뜯으며 초조해하면서 선은 조용히 기다린다. 그런 선을 향해 반 아이들은 아무렇지도 않게 ‘이선 못한단 말이야’라는 말을 꺼내곤 한다. 아이들은 나쁜 의도로 말한 게 아니라고 해도 초등학생의 아이에게 이 말은 마음 한 구석에 꽤 오래 남는 상처가 될 수도 있다. 어린 시절의 ‘우리들’은 지금보다 더 예민하곤 했다. 이런 말 하나에도 금방 위축되곤 했다. 그렇게 피구 경기가 진행되던 중, 선은 갑자기 상대편으로부터 ‘금을 밟았다’는 오해를 받게 된다. 선은 금을 밟지 않았다고 주장해보지만 ‘너 아웃이야’, ‘빨리 나가’라는 등쌀을 견뎌내기는 어려웠다. 실제로 선이 금을 밟았는지는 모른다. 하지만 반에서 외톨이인 선의 상황과 선을 대하는 반 아이들의 반응을 통해 이러한 말과 행동들은 선을 향한 심술에서 비롯된 것임을 짐작해볼 수 있다.
두 번째로 나오는 피구 경기는 지아가 전학 오고 선과 멀어진 이후에 이루어진 경기이다. 지아는 상대편인 선을 주저없이 공으로 맞춘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보라는 피구를 잘하는 지아를 의식하고 경계하기 시작한다.
영화는 세 번째 피구 경기를 보여주며 끝이 난다. 지아와 보라가 멀어지고, 지아와 선의 관계가 틀어진 이후 이루어진 경기이다. 첫 번째 피구 경기에서 아무도 자신의 팀에 데려가려고 하지 않던 선의 상황이 이제는 지아에게 일어난다. 결국 맨 마지막으로 뽑힌 지아는 앞선 선의 상황과 똑같이 ‘금을 밟았다’는 오해를 받게 된다. 지아는 금을 밟지 않았다고 주장해보지만, 주변 아이들은 지아를 둘러싸며 빨리 나가라고 재촉한다. 이런 지아를 향해 선은 ‘한지아 금 안 밟았어. 내가 봤어.’라는 말을 꺼낸다. 그리고 지아와 선은 조금은 조심스럽게, 그렇지만 용기를 내서 서로를 바라본다. 날이 서 있는 눈빛이 아닌 조금은 누그러진 눈빛으로.
‘피구’는 우리들 모두 학창시절 체육시간에 빠짐없이 해 본 경기이다. 반 친구들이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스포츠 경기이지만, 돌이켜 생각해보면 꽤 폭력적인 경기였다. 팀을 정할 때에는 자연스레 반 아이들과 어울리지 못하거나 체력이 조금 약한 친구가 남게 된다. 마지막까지 남게 된 그 심정은 생각보다 더 속상하다. 경기를 진행할 때에도 선과 지아가 처한 상황과 유사하게 대뜸 금을 밟았다는 오해를 받게 되는 일도 종종 일어나곤 한다. 이렇게 ‘개인적인 감정’에서 비롯된 행동들은 선과 지아의 상황에 처한 아이들에게 상처가 된다. 이렇듯 피구는 몇몇 아이들에게 마음의 상처를 남기곤 하는 폭력적인 경기였다.
김밥
자신의 집에 놀러온 지아를 위해 선은 지아가 좋아하는 오이김밥을 만들어 달라고 엄마를 재촉한다. 서로에게 장난도 치고, 다정해보이는 이들의 모습을 우연히 지아가 목격한다. 지아의 부모님은 이혼했고, 엄마는 떠났다. 그래서 지아는 엄마를 보고 싶어도 당장 볼 수가 없는 상황이다. 선과 선의 엄마의 모습을 보고 약간 심술이 난 지아는 선이 권하는 오이김밥을 거절하고 옆에 있던 과자를 먹는다. 평소와 조금 다른 지아의 모습을 눈치챈 선은 더 이상 김밥을 권유하지 않는다. 어린 시절에도 우리들은 자신을 대하는 친구의 미묘한 변화를 종종 쉽게 눈치채곤 했다. 어쩌면 성인이 된 지금보다도 더 쉽게 그런 상황들을 눈치챘고, 그래서 더 걱정하곤 했다.
한편, 방학이 끝나고 더 이상 자신과 놀지 않는 지아에게 선은 섣불리 다가가지 못한다. 이후 소풍날, 선은 혼자 있는 지아에게 다가가 엄마가 싸 주신 김밥을 함께 먹자고 한다. 김밥을 먹는 지아를 보며 선은 조금은 안심한다. 자신과 함께 놀지 않던 지아가 자신이 건넨 김밥을 먹는 모습을 본 지아는 약간의 희망도 얻었을 것이다. 우리가 다시 예전처럼 함께 여기저기 놀러가며 친하게 지낼 수 있다는 희망. 그 시절의 예민했던 우리들은 이런 사소한 친구의 변화에 또 금세 행복해지곤 했다. 하지만 선의 의도와는 다르게 날선 말이 오가고, 결국 흥분한 지아는 선에게 ‘그러니까 네가 친구가 없는 거야’라는 말을 남기고 떠난다. 그리고 동시에 선이 가져온 김밥은 바닥에 떨어진다. 흙으로 더럽혀진 김밥처럼 친구관계를 다시 회복하고 싶었던 선의 마음도 상처를 입게 된다.
"그럼 언제 놀아?"
선의 동생 ‘윤(강민준)’은 친구 윤호와 놀다가 자주 맞곤 했다. 선은 이런 동생을 보며 답답하다는 듯이 너에게 상처를 주고 장난도 심하게 하는 친구랑 왜 계속 같이 노는 것이냐고 질문한다. 선은 동생에게 ‘윤호가 너를 때린만큼 너도 똑같이 때려야 바보가 아니다’라는 말을 한다. 이를 들은 윤은 다음과 같이 대답한다.
“그럼 언제 놀아?
연호가 때리고, 나도 때리고, 또 연호가 때리고. 그럼 언제 놀아?
나 그냥 놀고 싶은데.”
이 상황이 선의 상황과 똑같다고 생각했다. 선은 지아에게서 모진 말도 들었고, 지아에 대한 사실을 반 친구들 앞에서 말함으로써 의도치 않게 지아에게 상처를 입히기도 했고, 친구라고 생각한 지아가 자신의 곁을 떠나 다시 홀로 지내기도 했지만 여전히 지아를 신경 쓰고 있다. 지아가 자꾸 눈에 밟히고, 지아에 대한 말들이 함부로 오고 가는 것을 싫어한다. 왜냐하면 지아는 자신의 친구이기에. 내가 좋아하는, 그리고 함께 많은 추억을 쌓은 나의 친구이니까. 지아와 계속 갈등하던 선은 그냥 친구와 놀고 싶다는 동생의 말을 들은 뒤, 피구 경기에서 곤란한 상황에 처한 지아를 도와준다. 먼저 화해의 손을 내민 것이다.
봉숭아물과 매니큐어
여름방학 중에 선은 지아에게 봉숭아물을 들여준다. 봉숭아를 빻아서 손톱에 하나하나 올리고, 비닐로 묶은 뒤 물드는 동안 기다리면서 도란도란 얘기를 나눈다. 진하게 물든 손톱의 봉숭아물처럼 둘의 관계도 오래오래 지속될 줄 알았다. 하지만 방학이 끝난 뒤 보라와 친해진 지아는 그 손톱 위에 보라의 매니큐어를 칠한다. 그렇게 선과의 추억이 담긴 봉숭아물은 매니큐어로 인해 가려졌다. 여름방학 동안 보냈던 선과의 추억들도, ‘선’이라는 소중한 친구도 잠시 잊혀졌다.
이후 학원에서 울고 있는 보라에게 손수건을 건넨 선은 보라의 매니큐어를 받게 된다. 선의 손톱에 남아 있던 봉숭아물도 보라의 매니큐어로 인해 가려졌다. 선도 지아가 미웠다. 친구인 자신과 함께 어울리지 않으려는 지아가 미웠다.
그리고 영화의 끝부분, 피구 경기를 하며 난감한 상황에 처한 지아를 도와준 선의 손톱에는 어느덧 매니큐어가 모두 없어지고, 끝에 봉숭아물만 조금 남아 있다. 손톱 끝에 아주 조그맣게 남겨진 봉숭아물처럼 선과 지아의 관계는 거의 끝에 다다른 상태였다. 누군가의 선택으로 인해 이 관계가 회복될 수도, 혹은 영영 틀어질 수도 있는 상태였다. 이때, 선이 지아를 도움으로써 먼저 용기를 내서 손을 내밀었다. 이제는 지아가 이 용기에 화답해줄 차례다. 선이 먼저 지아의 손톱에 예쁜 빛깔을 선물해준 것처럼, 지아가 선의 손톱을 예쁘게 물들여주면 된다. 서로에게 남긴 상처를 또다른 소중한 추억으로 그렇게 뒤덮으면 된다.
우리들
영화 속 대부분의 장면에서 선의 눈빛은 마구 요동치고 있다. 친구들의 눈치를 살피고, 어정쩡하게 웃어보이고, 혹시 자신에게 화난 게 있는 거냐며 조심스레 물어보는 동안 계속 그 눈빛은 흔들리고 있다. 반면 방학 동안 지아를 바라보는 눈빛은 참 밝고 맑다. 오랜만에 생긴 자신의 친구가 그저 좋다. 지아의 눈빛은 보라를 만나기 전과 후가 확연히 대비된다. 방학 동안은 선을 다정하게 바라보지만, 보라와 어울리면서부터는 선을 쌀쌀맞게 바라보곤 한다. 보라의 눈빛은 항상 무언가를 꿰뚫어보는 것 같다. 동시에 가장 종잡을 수 없는 눈빛이다. 지아와 친해졌을 때는 마냥 다정하다가도 피구를 잘하는 지아를 바라볼 때와 자신을 제치고 1등을 했다는 지아를 바라볼 때는 또 한없이 날카롭다. 이 영화는 이렇게 배우들의 눈빛을 따라가다보면 그 감정선을 매우 섬세하게 느낄 수 있는 작품이다.
처음에는 나는 ‘선’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영화를 보며 마주한 지아와 보라의 몇몇 모습들을 통해 나는 선이었고, 지아였고, 보라였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어쩌면 어른들의 세계보다 더 예민하고 급격하게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때로는 친구들의 눈치를 보며 말과 행동 하나하나에 조심스러워했고, 때로는 새로 사귄 친구가 더 좋다는 이유로 불과 어제까지 친하게 지내던 다른 친구와 거리를 두기도 했고, 때로는 살아남기 위해 영악해지기도 했다. 영화를 보며 이런 과거의 내가 계속 생각났고, 잠시는 잊고 지내던 선과 지아, 보라의 모습을 띈 몇몇 친구들의 얼굴도 떠올랐다. 그리고 동시에 조금은 부끄러워졌고, 슬퍼졌다.
선과 지아, 보라를 마냥 질책하지 못하는 이유는 그들의 말과 행동에서 나, 그리고 ‘우리들’의 모습이 보였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 당시에는 그게 최선의 선택이었을 것이다. 그때는 그랬다. 그때는 그게 우리들의 모든 세상이었다. 녹록하지 않은 세상에서 살아가기 위한 서툰 우리들의 최선의 선택이었다. 누군가는 선이었고, 누군가는 지아였고, 또 누군가는 선과 지아의 모습을 모두 가지고 있었고, 또 다른 누군가는 나처럼 선과 지아, 보라의 모습을 모두 가지고 있었다. 이렇게 ‘우리들’은 선이었고, 지아였고, 보라였다. 이 영화는 서툴지만 절실했던 ‘우리들’의 이야기를 건네는 작품이다. 그리고 선, 지아, 보라의 이야기를 먼저 건넴으로써 자연스레 관객들이 어린 시절의 자신들을 기억해내고, 잠시 넣어두었던 이야기를 꺼내게 만드는 그런 작품이다.
영화의 시작부터 왈칵 눈물을 쏟을 뻔했다. 그리고 영화가 러닝타임 내내 나의 마음 한 구석에 항상 남아있던 어릴 적 기억을 계속 쿡쿡 쑤셨고, 자칫 방심하면 그 기억을 금방이라도 끄집어낼 것 같아서, 그럼 바로 눈물이 터져버릴 것 같아서 조심하고 또 조심했다. 하지만 영화가 끝난 뒤 ‘우리들’이라는 영화의 제목을 다시 마주했을 때 한꺼번에 몰아치는 감정은 주체할 수 없었다. 온 마음을 다 주고, 그로 인해 상처받아도 다시 또 내 마음을 주곤 했던 어린 시절의 나와 너, 우리들이 생각났다. 이 영화를 보고 서툴고 간절했던 그 시간들을 보낸, 어쩌면 힘겹게 버텨냈던 우리들에게 그저 수고했다고 말해주고 싶다. 그리고 조금은 아픈 기억들이 떠오른 이들은 꼭 안아주고 싶다.
- 1
- 200
- 13.1K
- 123
- 1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