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스샤2022-09-16 13:00:48

영화 '기생충' 다르게 보기

이것은 빈부격차 이야기가 아니다

 

  

이것은 파이프(로 보이는 물체아래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라고 써놓음으로써 많은 사람을 당황하게 만든 <이미지의 반역(배반)>이라는 그림이다정말 그럴까이 그림을 그린 르네 마그리트의 사유를 차용해 물질적 속성을 따지자면이 이미지는 '그림'이라기보다는 <이미지의 반역(배반)>이라는 '그림'을 스캔한 '컴퓨터 파일'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림을 그리는 철학자르네 마그리트는 언어와 대상대상과 대상을 재현한 이미지언어와 이미지의 연결은 자의적이므로 얼마든지 단절되거나 자유롭게 재구성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어떤 대상이 통념상 있음 직한 공간을 벗어난 생경한 장소에 위치하고현실에서라면 한 프레임 안에 있는 것이 불가능한 대상들이 공존하는 그의 그림들은 나태한 사고를 깨부순다생각의 한계를 무너뜨린 르네 마그리트의 초현실주의 회화는 당대를 뒤흔들었고후대의 다양한 예술가에게 영감을 불어넣었다.

 

 

블랙코미디스릴러가족 드라마 등 하나의 영화 안에서 함께 존재하기 어려운 다양한 장르적 요소가 뒤섞여 장르를 규정하기 힘든 영화 <기생충>을 본 후현실의 경계를 파괴하는 파격적 미학을 선보인 르네 마그리트의 <이미지의 반역(배반)>이 떠올랐다르네 마그리트가 회화 예술의 관습을 격파했듯이 봉준호 감독은 영화 장르의 틀을 붕괴시켰고언뜻 누가 보아도 빈부격차가 핵심인 것 같은 <기생충>에 빈부격차 자체보다 더 중요한 메시지가 있기 때문이다.

 

 

 

이 영화에는 가정 형편이 극단적으로 차이나는 두 가족이 등장한다두 가족은 사는 곳이 정반대다잇따른 자영업 실패로 궁지에 몰린 기택(송강호가족은 누추한 반지하집에 살고성공한 IT기업 CEO인 박사장(이선균가족은 유명 건축가가 설계한 대저택에 산다햇빛이 잘 들어올 리 없는 기택의 반지하집은 대낮에도 어둑하고채광이 끝내주는 박사장의 대저택은 실내에 있어도 비타민D를 합성할 수 있을 만큼 자연광이 풍부하게 들어온다기택 가족은 고기는커녕 한끼 제대로 챙겨 먹기도 힘들지만박사장의 부인 연교(조여정)는 짜장 라면에 한우 채끝살을 넣어 먹는다박사장 집에 사는 강아지들이 기택 가족보다 영양 상태가 훨씬 더 좋으리라는 것은 자명하다.

 

 

 

이 두 가족 간의 극심한 격차는 영화 플롯의 변곡점이 되는 비 오는 밤 시퀀스에서 극적으로 표현된다집으로 돌아가기 위해 쏟아지는 비를 맞으며 하염없이 계단을 내려가고 또 내려가는 기택 가족을 보고 있노라면 자연스레 수직적 계급 사다리가 연상된다가난한 자는 달동네처럼 높이 올라가야 하거나반지하처럼 깊이 내려가야만 하는 곳에서 자신의 거처를 마련할 수 있다물론 부자도 지대가 높은 곳에 사는 경우가 있다하지만 부자는 가난한 사람처럼 좁은 계단을 걸어 올라가지 않고기사가 운전하는 고급 승용차에 앉아 잘 닦인 도로를 따라 집에 도착한다.

 

 

 

이처럼 빈부격차를 확실하게 드러내는 설정과 상징이 영화를 가득 채우고 있는데, <기생충>이 진짜 말하고자 하는 것이 빈부격차가 아니라는 생각이 떠오른 이유는 무엇일까? <기생충>에는 부자와 빈자가 함께 등장하는 영화라면 으레 기대할만한 부자에 대한 부정적 묘사가 없다영어를 섞어서 말하는 박사장의 부인 연교와 기택에게서 불쾌한 냄새가 난다고 말하는 박사장이 재수없을 수는 있다하지만 그들은 경제적 계급 격차를 다룬 여느 영화나 드라마에 등장하는 부자들처럼 불법적인 수단을 동원해 부를 일군 사람들이 아니다어처구니없는 이유로 누군가에게 폭언이나 폭력을 행사하지 않는다자신들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에게 정당한 돈을 지급하고속마음은 다를지 몰라도 최소한 겉으로는 예우한다기택의 부인 충숙(장혜진)이 술에 취해 박사장 가족의 인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돈이 다리미야돈이 주름살을 쫘악펴줘.”라고 말하는 것은 일리가 있다. <기생충>은 빈부격차의 현상’ 자체는 실감 나게 보여주지만빈부격차를 타파하고 경제적으로 더 평등한 사회를 이뤄야 한다고 주장하는 영화는 아니다.

 

 

 

돈을 매개로 엮인 박사장 가족과 기택 가족의 관계는 빈부격차를 문제시하기보다 빈자와 부자 간의 상호의존성에 주목하게 만든다박사장 가족은 굳이 자신들이 직접 하지 않아도 될 출퇴근 운전집안일자녀 교육을 자신들보다 더 잘 처리해주는 사람에게 기꺼이 대가를 지불한다박사장 가족에게 귀찮고 시간 낭비에 불과한 일들을 대신해주는 기택 가족은 요긴한 존재다한편박사장의 주머니에서 나오는 임금은 기택 가족이 당장 먹고살기 위해 없어서는 안 될 돈이다박사장 가족과 기택 가족은 서로가 서로를 필요로 하는 관계다.

 

 

 

이렇게 본다면영화의 제목인 '기생충'의 의미가 조금 다르게 다가온다과연 박사장의 재력에 의지한 기택 가족만 누군가에게 기생한 것일까부자의 일상을 누리기 위해 허드렛일을 대신해줄 누군가가 꼭 필요한 박사장 가족도 기택 가족에게 기생한 것인지도 모른다가난한 사람 중에 부자가 되고 싶지 않았던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다기택 가족의 사업이 잘 풀렸다면기택 가족이 누군가를 고용해 잡일을 맡겼을지 모를 일이다이처럼 <기생충>은 부자가 되고 싶다는 욕망을 달성하는 데 성공한 사람과 실패한 사람의 차이를 극명하게 보여줄 따름이다강한 신분 상승 욕망을 지닌 기택의 아들 기우(최우식)가 자신의 계획대로 부자가 된다면 어떤 일들이 벌어질까기우는 박사장만큼 주름지지 않은 부자로 살 수 있을까혹시 나쁜 인간이 되지는 않을까자본주의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 내면의 꿈틀거리는 욕망과 콤플렉스를 잘 살펴보라고 영화 <기생충>은 우리 앞에 거울을 들이민다.

 

 

<끝> 

 

 

작성자 . 스샤

출처 . https://brunch.co.kr/@starshines/46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