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이정2022-10-10 17:22:44
[BIFF 데일리] 익명의 목격자 되기
영화 <미얀마 다이어리> 리뷰
감독] The Myanmar Film Collective 미얀마 영화 집단
프로그램 노트] 2021년 미얀마의 군부 쿠데타 이후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시민들은 문자 그대로 생명의 위험을 느끼고 있다. 또한 살아남았다 하더라도 안전과 자유를 찾아 반강제적으로 집을 떠나야 하는 처지에 놓인 시민들이 무려 20만 명에 달한다. <미얀마 다이어리>는 정부의 폭력을 고발하는 동시에 더 나은 미래를 도모하는 행동들을 작은 카메라로 담은 작품이다. 공권력의 무자비한 인권 침해, 거리로 나선 용감한 시민들의 모습 등 카메라가 기록한 내용만큼이나 눈 여겨 봐야 할 것은 끝까지 익명으로 남아야 했던 감독과 스탭들의 존재로서, 관객은 영화를 보는 내내 자기 이름조차 밝힐 수 없는 이들의 상황을 안타까워할 수밖에 없다. 언젠가 <미얀마 다이어리>의 엔딩크레딧이 다시 만들어지는 날이 오기를 바란다. (김보년)
* * *
2012년에 나온 김소연 시인의 산문집을 2022년에 읽으면서 밑줄을 긋는다. 책이 출간되던 즈음 아웅 산 수 치는 가택 연금에서 벗어나 국회 보궐선거에 당선되고, 강산이 두 번쯤 바뀔 시간이 지난 후에야 노벨평화상 수락 연설을 할 수 있었다. 그리고 2022년 지금, 군부는 쿠데타 이후로 그의 구금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계속해서 그에게 형량을 추가하고 있다.
처음에는 미얀마 소식이 들려올 때마다 긴장이 되었다. 몇 년 전 홍콩에서 있었던 일처럼, 사람들이 조용히 사라지고 끌려가는 것이 두려웠다. 안전모를 쓰고 거리로 나서는 사람들의 용기를 카메라 너머로 보면서, 안전한 관객석에 앉아서도 조마조마한 불안을 가득 느꼈다. 왜 그들의 모습은 늘 닮아있을까. 안전모와 마스크 뒤에 가려진 얼굴은 보이지 않는다. 바닥에 남은 핏자국, 그를 둘러싼 꽃 몇 송이도 달라지지 않는다. 분명 1980년의 광주를 비롯한 언젠가의 한국에서도 비슷한 모양이었을 것이다.
카메라, 무기가 되다
얼굴과 이름을 가린 거리 위의 시민들처럼, 영화인들 또한 익명성 안에서 작업을 했다. 이 영화는 쿠데타 이후 영화인들이 목도하고 사유한 것들의 조각 모음이다. 핸드폰으로 찍은 급박한 순간의 풋티지 영상부터, 짧은 이야기, 은유적인 장면까지 다양하게 들어 있다. 각자 다른 상황에서 다른 색채로 담긴 여러 사람의 작업물이지만, 동일한 제작 의도가 모든 영상을 뚜렷하게 관통하고 있다. 이들은 미얀마의 상황을 유혈 사태나 내전으로 부르기보다 혁명과 투쟁으로 부르고자 하고, 이 영상을 찍을 때보다도 더욱 어려워진 (그러나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국제사회의 시선이 점차 닿지 않는) 상황에 국제적인 관심과 지지를 호소하고자 한다.
중간중간 은유적으로 극화된 장면들이 있기는 하나, 이것이 다큐멘터리임을 생각할수록 정신이 아득해진다. 영상 속 시민들은 거리에서 누군가 총에 맞는 순간을 목격하거나, 자신을 붙잡으러 온 경찰이 총을 쏘는 소리를 듣거나, 가족을 붙잡으러 온 경찰을 맞닥뜨린다. 어린아이조차 분명하게 알고 있다. 체포의 사유도 밝히지 않고, 영장을 제시하지도 않으며, 미란다의 원칙을 말해주는 법도 없는 이 경찰들이 온 이상 가족을 다시 보기 어려울 수도 있다는 걸.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기에 이들은 말하고 외치고 기록한다. 아이들은 엉엉 울면서도 엄마를 끌고 가지 말라고 또박또박 말하고, 총소리를 듣는 시민은 내 발로 나갈 테니까 제발 쏘지 말라고, 지금 방송으로 송출되고 있다고 외치고, 눈물을 참는 딸들이 아버지의 체포 사유를 밝히라고 요청하면서도 핸드폰 카메라를 꼭 쥐고 있다.
영상 속 군경들이 촬영을 꺼리는 점에서 알 수 있듯, 카메라는 무기가 되었다. 돌과 총에 맞서는 무기가. 귀신을 쫓는다는 관습의 발현이자 시위의 상징과도 같았던 냄비 두드리는 소리와 함께, 카메라는 시위의 도구가 되었다. 경고 알림음인 동시에, 총소리에 맞서는 소리다.
너희는 모두 박제되었다
카메라를 쥔 이들은 여전히 익명성 안에 있지만, 카메라에 담긴 이들은 모두 이렇게 영구히 박제되었다. 무장 군경이 아무리 철모를 눌러쓰고 촬영하지 말라고 협박을 하더라도, 사복으로 자기를 감추고 쇠막대로 시위대를 마구 때려도, 순간들은 모두 카메라로 영구히 남아 이렇게 멀리 다른 나라 극장에서까지 상영된다.
그러나 카메라가 무기로서 기능할 수 있는 것은 목격자의 존재가 보장될 때다. 카메라로 담은 결과물을 보는 이들의 눈이 있을 때. 그들의 눈이 눈총으로 기능할 수 있을 때. 여기서 '본다'는 행위는 단순히 이 영상물이 관객의 망막에 맺히는 것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영상 속 너희는 모두 박제되었으며 이 기록물은 언젠가 역사가 될 것이다, 생각하며 목격하는 자들의 존재가 카메라를 무기로 만든다.
이를 알기에 미얀마 영화 집단은 엔딩 크레딧 없는 영화를 만들었다. 제작에 참여한 이들의 이름을 하나씩 톺아보는 다른 영화들과 달리, 이 영화는 시민들의 이름과 함께 제작자의 이름도 익명성 안에 담아 결을 같이 했다. 그 점이 마음 한 구석을 착잡하게 하면서도, 관객 각자의 존재를 호명하는 듯한 울림을 주었다. 이 영상에 박제된 모든 것들을 함께 목격한 사람들. 그렇게 시민과 제작자, 관객까지 모두 '익명의 목격자'라는 카테고리로 하나로 묶인다. 만석에 가까운 관객석의 존재가 위로가 되었다.
위험해지는 희망
더 이상 '왜'를 묻거나 대의를 외치기에는 너무 잔혹한 폭력에 감싸여 있는 사람들에게는 선택지가 많지 않다. 희망과 절망이 랜턴처럼 손쉽게 따각따각 켜지고 꺼지는 거라면 얼마나 좋을까. 그럴 수 없어서 영화 속에는 다양한 희망과 절망의 은유가 등장한다. 빛과 벽 사이 그림자로 새를 날려 보기도 하고, 차마 새기지 못한 나비 무늬 문신 이야기를 하기도 하며, 반지 낀 두 사람의 손만으로 관계와 상황을 보여주기도 한다.
냄비를 두드리고 치마를 걸어놓던 초기에 비하면, 시민들의 저항은 확실히 '위험'해졌다. 이들은 더 이상 시위로만 맞설 수 없어 정글에 들어가 총탄을 쏘는 훈련을 하기도 하고, 망명하기도 하고, 그 모든 순간이 이 영화에도 담겨 있다.
시민이 무기를 들게 한 것은, '위험'한 존재로 만든 것은 무엇이었나. 불특정 다수의 시민을 적으로 돌리는 건 얼마나 미련한 행위이며, 그 결과는 얼마나 처절한가. 누군가의 욕심을 채우기 위해 시민들이 거리로 나서고 피를 흘리고 끌려가고, 무너지는 삶의 자리들을 염려하고 갈등을 빚는 것. 누구도 서로의 머릿속을 지배할 수 없는, 단지 영향만 줄 수 있는 인간이라는 존재들이 하기에는 너무 너절한 행위가 아닌가?
70분의 짧은 영상물 속에서도 시시각각 변해온, 그리고 지금은 더 나빠졌다는 상황 속에서 변하지 않은 것은 하나뿐이다. 이들의 같이 있음. 누군가의 부재(不在)에서 맡아지는 서늘한 폭력의 냄새에 맞서, 나란히 함께 존재하는 것.
전혀 다른 상황에서 나온 문장이다. (희망버스는 한진중공업 정리해고에 맞선 움직임이었으며, 김소연 시인의 글 또한 해당 주제에 대한 것이었다.) 그런데도 마음이 가 닿았다. 인간의 희망과 절망이 엎치락뒤치락하는 순간, 상황은 매우 다를 수 있어도 그 상황에 맞서는 인간의 마음은 비슷한 결을 보이기 때문일 것이다. 랜턴처럼 손쉽게 끄고 켤 수 없는 희망과 절망 앞에서, 이유가 변하고 상황이 변하고 마음도 뭉그러지는 앞에서, 하필 같이 앉아버린 관객석에서 빌어 본다. 익명 안에 가려진 모두의 안전과 무운을. 언젠가 다시 들려올 소식을.
[제27회 부산국제영화제 <미얀마 다이어리> 상영 일정표]
10월 08일 11:30 CGV센텀시티 7관
10월 11일 18:30 CGV센텀시티 1관
10월 12일 10:30 영화의전당 소극장
- 1
- 200
- 13.1K
- 123
- 1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