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담작가2022-10-18 21:30:44

가가 가가?(그 외계인이 너가 말한 그 외계인이니?)

넷플릭스 오리지널 [글리치] 리뷰

줄거리

서른 살의 홍지효는 남들처럼 평범하게 살려고 노력하지만, 사실 외계인을 본다. 자신에게만 보이는 외계인이 스스로 만들어낸 환상이라고 애써 달래가며 살아가지만 도무지 평범하게 살 자신이 없다. 결국 지효는 동거를 앞둔 남자친구 '시국'에게 이별을 통보한다.

그런데 이별을 고한 다음 날부터, 시국이 연락 두절이 되어 보이지 않는다. 지효는 시국의 마지막 위치를 추적해 한강 공원에 찾아가고, 그곳에서 외계인과 함께 우주선이 남긴 듯한 문양을 발견하게 된다. 자꾸만 주변에서 지지직거리는 전자기기들. 혹시 외계인이 납치해간 것은 아닐까?

지효는 큰마음 먹고 외계인을 연구하는 덕후 같은 모임에 나가게 되고, 그곳에서 의외의 인물을 만나게 된다.

 

감상 포인트

1. 1화에서 3화까지는 전개 속도가 그리 빠르지 않아서 어떤 사람에게는 살짝 답답할 수도 있다.

2. 연기 구멍 없이 배우들 모두 연기력이 훌륭해서 소재에 비해 오글거리는 느낌 없이 볼 수 있다.

3. 장르가 단순 SF, 미스터리 라고 하기엔 여러 가지가 혼합된 형태다. 

 

감상평

마지막 회차까지 보고 나서 바로 든 생각은, "왜?"라는 물음이었다.

보통 이런 미스터리물은 '왜?'라는 질문으로 시작해서 결말 부분에서는 그 궁금증이 해소되어야 하는데, 이 드라마는 많은 것이 축약된 듯한 느낌이었다. 게다가 인물의 개인적인 성장이나 인물 간의 갈등 해소 부분에서도 만족스럽지 않은 것들이 많았다. 각각의 소재를 얼기설기 꿰맨 듯한 느낌을 받았다고 할까.

 

*여기서부터는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청첩장 돌리니까 되게 어른 같다."

"지효 씨도 어른이야."

지효는 누구보다 평범하게 살고자 노력했다. 모든 것이 적당한 때에 적당하게 이루어지는 듯했고, 무사히 정착되는 듯했다. 하지만 그것을 방해라도 하듯 야구 모자를 쓴 외계인은 지효의 삶에 깊이 침투해버리고 만다. 이윽고 지효는 자신이 여태껏 잘 싸매고 포장해온 것들이 일체 거짓임을 인정한다. 그리곤 진짜 자신의 모습이 무엇인지 고민하기에 이른다. 거기에서부터 지효의 성장은 시작된다.

시국이 자발적으로 떠난 것임을 증명하는 증거들이 넘쳐나는데도 지효는 의심을 거두지 않는다. 일순간 평범하기를 포기한 지효는 몸을 사리기보단 점점 온몸으로 문제에 직접 부딪히며 대책 없는 싸움을 이어간다. 그러는 도중에 점차 지효의 내면은 단단하게 굳어간다.

 

지효가 자신이 쌓아온 모든 삶의 기반을 포기하면서까지 그토록 뛰어다녔던 것은, 내면의 결핍을 해소하기 위함이었다. 진짜 내가 누구인지, 나는 어떻게 살고 싶은지. 이러한 모든 질문들을 뒤로 미뤘던 지난날들에 대한 자기반성이자 해답을 찾고자 하는 몸부림인 것이다.

 

결핍을 채우고자 하는 인물은 비단 지효뿐만이 아니다.

사실 드라마 [글리치]에 등장하는 모든 인물은 각자 이루지 못한 성장을 위해 움직인다.


시국도, 보라와 외계인 모임 사람들도, 지효의 부모도, 영기와 김직진도, 심지어는 호산나를 믿는 신도들도. 내면에 채워지지 않은 각자의 이상향을 위해 움직이는 것이다. 그것이 진실한 자신의 모습이든, 독립하고자 하는 의지이든, 부모와 자식에 대한 애정이든, 친구에 대한 우정이든, 삶에 대한 위로이든.

 

  

 

보라는 자신이 찾아 헤매던 것의 답을 찾고자 한다. 자신이 틀리지 않았음을 증명함으로써 남들과는 다른 삶의 방식을 인정받고 싶어 하는 것이다. 어쩌면 드라마 [글리치] 내에서 가장 확고한 답변을 얻어낸 것은 보라일지도 모르겠다. 보라는 이제 새로운 미지의 존재를 탐구한다. 그런 면에서 앞으로의 이야기가 계속될 인물은 보라이기도 하다.

 

 

 

마지막에 시국에게 지효와 같은 외계인이 보이는 것은 아마 그들이 같은 형태의 결핍을 가지고 있던 인물이기 때문이라 해석된다. 두 사람은 서로를 통해 안정되고 성숙한 어른이 되려고 했지만 결국은 헤어지고 만다. 스스로 어른이 되지 않고 타인에게 의존한 채로 어른의 형태만을 띠는 것은 의미 없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지효의 부모에 대해 '빈 둥지 증후군'이라는 단어가 언급되었던 것도 같은 맥락이라 할 수 있겠다. 자식에게 자신을 투영해 성공한 자식 즉, 성공한 자신을 만들고 싶었던 지효의 부모는 자식에게서 독립하여 스스로의 삶을 개척해나가고자 한다.

 

 

우리들 모두가 내면에 성장하지 못한 자아를 하나씩 품고 살아간다. 드라마 [글리치]는 그 자아가 가진 불만을 해소해나가는 일련의 과정들이 우리의 삶을 가치있게 만든다고 이야기하고 싶었던 '것 같다'.

 

여기서 '것 같다'라고 말하는 이유는, 외계인이 등장하는 장면에서 이미 드라마가 메시지를 상실해버렸기 때문이다.


작품 속에서 내면의 성장을 갈구하던 인물에게 외부의 존재가 실제로 존재했음을 밝혀버리는 것이야말로 그동안 쌓아온 탑을 무너뜨리는 행위라고 생각한다. 결국 그들은 스스로 자신을 일으켜 세운 것이 아닌, 외부의 힘을 통해 영원히 자립할 수 없는 존재로 전락해버리는 것이다.

 

 

 

그래서 마지막 결말에 더욱이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대체 왜 인물들이 스스로 성장하게 내버려 두지 않았는가. 그 지점에서 실망한 사람들이 많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현실에서 우리는 외부의 도움을 통해 자아를 실현하기도 하지만, 그것은 도움일 뿐이다.

 

결국 내면의 자아가 성장하느냐 마느냐는 자기 자신에게 달려있다는 것을, 우리는 반드시 기억해야 한다.



*모든 사진 출처 : IMDB* 

작성자 . 담작가

출처 . https://blog.naver.com/shn0135/222903929190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