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제프2022-12-07 22:56:30

세키 카즈아키의 '지옥의 화원'

영화 <지옥의 화원> 리뷰

본 글은 씨네랩을 통한 시사회 관람 후 리뷰를 요청받아 쓴 글입니다.

 

포스터만 보고 눈을 돌리는 영화들이 있다. <외계+>도 포스터만 보고 보지 않으려고 했다. 워낙 제작비가 높은 한국 영화여서 어쩔 수 없이 봤지만 여하간 이런 유의 포스터들은 영화를 보지 않는다. 2시간이라는 시간은 한정적이고 난 2시간을 버리고 싶지 않다. 하지만 최근에는 영화를 고르는 기준이 낮아졌다. 아니, 변했다. 어쩔 수 없는 변화이지만 제작이 되는 영화들은 그 자체로 배울 점이 있다는 생각이다. 물론 그런 영화들 중에서도 가리기는 한다. <지옥의 화원>의 경우 시사회 관람 요청이 왔을 때 무시하려고 했지만 영화제에서 선택받은 사실과 몇몇 평들이 나쁘지 않아서 보기로 결정했다.

 

 

 

난 여자들의 액션을 좋아하지 않는다. <킬빌>이나 <원티드>같은 영화들도 있기는 하지만 여자들의 액션 자체가 믿어지지 않는다. 특히나 무기를 사용하지 않고 맨손 액션은 더더욱 믿어지지 않는다. 심지어 그녀들의 액션뿐만 아니라 그녀들의 대사 또한 믿어지지 않는다. 대표적으로는 한국 영화 <차이나타운>이 그러하다. 더 나아가서 아무런 통찰도 없이 젠더 체인지만 하는 영화들은 의미 없다고 생각하는 쪽이다. 젠더만 바꾸었을 뿐인데 신선하다거나 좋다고 하는 평은 믿지 않는다. 젠더만 바꿔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 그저 허탈한 웃음만 나올 뿐이다.

 

 

 

이렇게 서론을 적었을 때 <지옥의 화원>은 뭔가 다른 요소가 있을 거라고 기대하는 독자들이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지옥의 화원>은 젠더 체인지는 실패했고, 영화적인 완성도는 나름 선방한 쪽이다. 이 영화의 기발한 점은 여직원들의 세계다. 시치미 뚝 떼고 진행하는 여직원들의 세계는 우리가 질리도록 많이 본 고등학생들의 일진 세계다. 고등학생들의 일진 영화는 영화 자체가 그들의 세계라면 <지옥의 화원>은 여직원들의 세계는 영화 속에서 분리된 세계다. 그러니까 영화 속 안에 여직원들의 세계와 그 밖의 세계가 따로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여직원들의 세계에는 남성들이 존재할 수 없다. 혹은 들러리로 존재한다. 그렇기에 이 영화 엔딩에 불만을 가진 관객들이 많았던 것이다. 그러나 이 세계 설정은 감독의 한계다. 그리고 이 한계는 부수적인 문제다. 이 영화의 가장 큰 문제는 나오코의 액션이 믿어지지 않는다는 것에 있다. 고정관념의 한계일 수도 있으나 <아저씨>의 원빈은 믿어진다. <킬빌>의 우마 서먼도 믿어진다. 그러나 나오코의 액션은 믿어지지 않는다. 그건 아마도 나가노 메이의 가녀린 신체에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우리가 애니메이션 <드래곤볼>의 손오공은 믿지 않는가. 여기에는 고정관념이 작동하는 것이 분명하지만 여하간 믿어지지 않는다. 그건 몹씬에서 보이는 엑스트라마저도 허공에 발길질하는 것부터 시작해서 여배우들의 움직임이 허술한 탓일 수도 있다. 이 불신을 잠재우는 것은 자기 반영적 요소와 편집, 그리고 캐릭터다.

 

 

 

영화의 초반부에서 놀랐던 것은 영화의 관심이 액션보다는 나오코의 일반인 세계에 있다는 것이다. 여자들의 액션이 이루어질 때면 항상 컷투로 화면이 바뀐다. 그런 뒤에 싸움의 결과가 보인다. 이런 방식으로 싸움이 편집되고 우리는 싸움을 보지 못한다. 여기에 나오코의 내레이션이 더해진다. 란이 등장할 때와 나오코가 납치될 때, 그리고 납치되었을 때 그녀의 내레이션은 이 영화의 중심 뼈대에 붙어있다. 주인공과 조연. 이 영화의 캐릭터와 중심 뼈대는 주인공과 조연에 있다. 클리셰를 깔아놓고 클리셰를 비트는 방식의 내레이션으로 영화는 자기 반영적 요소를 내비친다. 이 패러디에는 컨벤션과 클리셰가 골고루 섞이면서 나오코의 비밀이 드러난다. 이 순간 우리는 그동안 많이 봐왔던 컨벤션이지만 다시 한번 웅장함을 느끼게 된다. 그와 동시에 논리적으로 이 설정이 납득되지 않아서 당황하기도 한다. 그러나 영화는 그전에 컨벤션이 아닌 클리세로 지겨운 대사들을 남발(란이 혼자서 나오코를 구하러 가면서 하는 말)하고 동시에 그 클리세를 패러디로 전환(란의 음료수를 언급)하며 이 영화의 톤이 오글거림과 자조섞인 웃음에 있다는 것을 통과한다. 이 통과와 나오코의 웅장함은 조연과 주인공의 대비처럼 그려진다. 웅장함의 논리적인 설정은 역시 시미치 뚝 떼고 지나간다. DNA라니.. 무슨 말도 안 되는.. 하지만 영화 자체가 그런 논리적인 것에는 관심이 없다는 건 누구나 알고 있지 않냐고 이야기하듯.

 

 

 

이 영화의 장점은 중심 뼈대가 흔들리지 않고 유지되면서 그와 같은 DNA를 가진 설정들이 예쁘게 붙어있다는 것이다. 주인공과 조연의 관계는 결국 여직원의 세계와 일반 여직원의 세계로 나누어진다. 일반 여직원의 세계에서 동료들과 커피도 마시고 쇼핑도 하고 싶은 나오코. 여직원의 세계에서 지상 최강의 여직원이 되고 싶은 란. 둘은 서로 크로스 된다. 이 설정 자체가 영화 초반의 교차편집으로 일반 여직원의 세계와 여직원의 세계를 보여주는 것도 역시 중심 뼈대로 모인다. 우리는 주인공 나오코가 일반 여직원의 세계에서 여직원의 세계로 넘어왔을 때 자연스럽게 기대를 하게 된다. 마치 <크로우즈 제로>나 만화 <>같은 이야기에서 주인공의 숨겨진 힘이 드러날 때의 웅장함을 말이다. 이건 컨벤션이다. 하지만 다른 이야기에서는 이 컨벤션을 이용하고 끝나지만 이 영화에서는 이 컨벤션 자체가 주는 쾌감과 캐릭터가 주는 쾌감이 공존한다. 주인공은 끝내 일반 여직원의 세계에 머무르고 싶어 한다. 하지만 그녀는 일반 여직원의 세계에서는 완패한다.

 

 

 

이 패배가 이 영화가 달려온 지점이다. 관객들이 만족할 만한 것들을 다 던져줬다. 물론 그것이 훌륭하다거나 완벽하지는 않더라도 나오코의 첫 액션신이나 클라이맥스는 전부 이 장르에서 느낄 수 있는 쾌감의 최대치를 선사한다. 물론 믿기지 않는다는 문제는 위에서 언급했다. 얇디얇은 손목으로 땅바닥도 부수는 건 좀 심하지 않나.. 여하간 이런 쾌감은 오랜만에 느껴본다. 이 쾌감의 최대 장점은, 이런 쾌감의 종류는 이제 올드하다는 느낌을 동반한다는 것인데, 올드함 없이 병맛과 버무린 쾌감을 선사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난 이 영화에서 가장 좋았던 지점은 나오코의 패배다. 영화 속 주인공이 겸허하게 운명을 받아들이는 것과 동시에 그들은 이제 돌아올 수 없는 세계에 대해 아쉬움을 내뱉거나 아니면 자신의 운명을 수긍하고 긍정하는 쪽으로 영화가 달려나간다. 하지만 <지옥의 화원>은 그 운명을 겸허하게 받아들이는 것과 동시에 패배의 쓴맛을 그린다. 이 패배는 주인공이 운명을 받아들이는 쾌감과 동시에 웃음을 선사한다. 그뿐만 아니라 우리의 쓸쓸한 넘버 투 히어로 란의 행복을 빌게 만드는 엔딩이다. 그래서 난 이 엔딩을 긍정한다. 여기에 OL 물에 고춧가루를 뿌렸다거나 헤테로를 뿌렸다는 말에는 동의할 수 없다. 애초부터 이 OL 물의 주인공은 평범한 여직원을 꿈꿔왔던 것이니 말이다.

 

이런 장르의 영화는 비평이 아무 소용이 없는 종류이다. 이 병맛스러움을 긍정한다면 이 영화를 사랑스럽게 받아들일 것이고, 그렇지 못하면 그저 그런 싸구려 영화로 받아들일 것이다. 하지만 분명한 건 나 같은 사람도 이 영화의 매력을 느꼈다는 것이다. 팝콘을 먹으면서 친구들과 유쾌하게 볼 수 있는 영화다. 당신이 씨네필이어도.

 

20221207.

작성자 . 제프

출처 .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