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rewr2023-03-19 15:32:09

‘필연적인 갈등’을 존엄한 것으로 만들려면

〈이니셰린의 밴시〉 리뷰

8★/10★

 

 

 

영화의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1923년 아일랜드의 한적한 섬마을 이니셰린*. 파우릭과 콜름은 온 마을 사람이 다 아는 절친한 친구 사이다. 그들은 오랫동안 매일 같은 시간에 펍으로 향해 밤늦도록 대화를 나눠왔다. 둘이 함께하지 않으면 마을 사람들이 자연스레 다른 사람은 어디 갔느냐고 묻을 정도다. 어느 날과 다름없는 평범한 오후였던 그날처럼 말이다.

 

  파우릭은 조금 당황한 상태다. 콜름과 함께 펍에 가기 위해 그의 집을 방문했는데, 콜름은 그를 철저히 무시한 채 아는 척도 하지 않는다. 조금 의아하고 걱정스럽지만 파우릭은 우선 홀로 펍에 간다. 콜름에게 무슨 일이 있는 거라면, 그가 곧 올라와 모든 이야기를 들려주리라 믿기 때문이다. 하지만 콜름은 파우릭의 기대에 부응하지 않는다. 파우릭에게 눈길조차 주지 않는다. 사람들은 수군거리기 시작하고, 파우릭은 혹시 자신이 콜름에게 실수한 일이 없는지 곱씹어본다. 술에 취해 기억하지 못하는 걸까 봐 주변 사람에게도 이유를 묻는다. 하지만 둘 사이가 지금까지와 다를 것이 하나도 없다는 결론에 이른다. 이제는 콜름에게 직접 이유를 물어야만 한다.

 

 

 

 

 

 

 

  “그냥 이제 자네가 싫어졌어.” 황당한 대답이 돌아온다. 그토록 오랜 시간을 가장 절친한 친구로 지냈는데, 별다른 일이 있었던 것도 아닌데, 그저 싫어졌다는 이유로 자신을 이토록 모질게 대하는 콜름을 파우릭은 이해하지 못한다. 이대로 물러 설 순 없다. 최소한 제대로 된 이유라도 알아야 수긍하든 싸우든 할 게 아닌가? 파우릭이 계속 캐묻자 콜름이 답한다. 콜름은 지금껏 파우릭과 나눈 대화가 지독히 지루하고 무의미했다고, 그 멍청한 대화에 질려버렸다고, 이것이 너와의 관계를 단절하는 이유라고 선언한다. 기껏해야 10여 년을 더 살 텐데, 남은 생을 그토록 하찮은 일에 쓸 수는 없다는 것이다. 대신 사색과 작곡에 몰두하며 지금까지의 ‘낭비’를 보상받겠다고도 덧붙인다.

 

 

 

  파우릭은 큰 혼란에 빠진다. 그는 자타공인 마을에서 가장 ‘착한’** 사람이다. 아무도 이를 부정하지 않는다. 파우릭은 여기에 어느 정도 자긍심을 갖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콜름의 충격적인 선언은 지금껏 파우릭의 삶을 지탱해온 가치를 송두리째 뒤흔든다. ‘착함’이 ‘멍청함’의 다른 이름에 불과한 것은 아니었을까 하는 의심이 생겨났기 때문이다. 때문에 ‘착한’ 네가 참으라는 가족과 마을 사람들의 위로도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오히려 파우릭의 혼란을 더욱 부추길 뿐이다.

 

 

 

  그러나 파우릭은 콜름과의 우정을 이대로 포기할 수 없다. 어쨌든 그들은 지금껏 (늘 그랬던 것은 아니더라도) 즐거운 시간을 보내왔다. 설령 지금까지의 우정에 불만이 있다면 둘 모두가 만족할 만한 새로운 방식으로 우정을 쌓아가면 된다. 그래서 여러 방식을 동원해 콜름의 마음을 돌리고자 한다. 그러나 콜름의 결단은 파우릭의 상상 이상으로 단단하다. 콜름은 결연한 표정으로 파우릭이 자신을 귀찮게 할 때마다 자신의 손가락을 자르겠다고 말한다. 허울 좋은 협박이 아니다. 그는 실제로 자기 손가락을 잘라 파우릭 집 앞에 던져 놓는다.

 

파우릭의 혼란은 점점 더 커져만 간다. 늘 그의 곁을 지키던 여동생 시오반이 본토에서 도서관 사서 자리를 제안받아 마을을 떠나고***, 상심한 파우릭을 달래주던 소년은 실족사(혹은 학대하는 아버지를 피해 자살)하며, 파우릭이 사랑하는 당나귀 제니마저 콜름이 던져 놓은 손가락을 먹다가 죽어버렸기 때문이다. 소중한 모든 것을 잃은 파우릭은 ‘각성’한다. 자신의 ‘착함’을 버리고 콜름에게 그가 치러 마땅한 대가를 돌려주고자 결심하는 것이다.

 

 

 

 

 

 

 

  영화의 종반부는 초지일관 단호한 콜름과 그를 향한 서슬 퍼른 복수심에 불타는 파우릭의 대결로 치닫는다. 콜름과 파우릭의 대치는 두 개인의 갈등인 동시에 내전 중이던 아일랜드의 은유이기도 하다. 당시 아일랜드는 영국의 자치권 부여 제안을 두고 급진파와 온건파가 나뉘어 전쟁 중이었다. 즉 급진파와 온건파는 어떤 것이 진정 아일랜드를 위한 길인지를 두고 다투었다. 섬마을인 이니셰린은 상대적으로 내전에 큰 영향을 받지는 않는다. 하지만 파우릭과 콜름의 갈등과 본토에서 울리는 포성이 교차하며 등장하는 장면에서 확인할 수 있듯, 두 사건은 완전히 떨어져 있지 않다. 본토의 내전이 무엇이 아일랜드를 위한 정답인지를 두고 벌이는 싸움이라면, 파우릭과 콜름의 갈등은 무엇이 좋은 삶‧우정인지를 묻는 두 개인의 치열한 고민의 결과다.

 

 

 

  파우릭과 콜름의 갈등(그리고 무엇이 나라‧공동체를 위한 길인지에 관한 다툼)은 누군가와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 모든 존재가 필연적으로 마주하는 일이다. 〈이니셰린의 밴시〉는 이 일상적인 문제를 충격적이면서도 탄탄한 알레고리로 쌓아 올린다. 그러나 영화는 마냥 비관하지만은 않는다. 파우릭과 콜름은 갈등이 극에 달하는 순간에도 분명 서로를 존중한다. 콜름은 파우릭을 무시하는 경찰을 때려눕히고, 파우릭은 극단적인 복수의 순간에도 콜름의 반려견을 배려한다(심지어 콜름은 파우릭의 복수가 ‘마땅하다’고 여겨 이를 순순히 수용한다). 그러는 동안 본토의 포성도 조금은 잦아든다.

 

 

 

 

 

 

  때문에 〈이니셰린의 밴시〉의 메시지는 다음과 같다고 말할 수 있다. ‘인간관계든 국가‧공동체 간이든 갈등이 필연적이라면, 우리는 그 갈등을 존엄한 것으로 만들어야 한다.’ 친구와 우정을 끊고 싶어도, 그가 존엄한 존재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방법론에 차이가 있더라도, 급진파와 온건파는 모두 아일랜드를 사랑한다. 이를 분명히 한다면 우리는 절대적 고독과 압도적 혼란 속에서도 살아가기를 멈추지 않을 수 있다. 극단적 파괴와 복수를 다루는 영화 〈이니셰린의 밴시〉가 묘한 희망을 풍기는 건 이 때문이다.

 

 

 

*‘이니셰린’은 ‘아일랜드의 섬’이란 뜻으로 허구의 지명이다.

 

 

 

**원어는 ‘nice’다. 영화 자막은 이를 ‘다정함’으로 번역했지만 ‘착함’으로 해석하는 게 더 자연스러울 듯싶다.

 

 

 

***책을 많이 읽어 똑똑한 시오반은 파우릭이 지루하다고 생각하는 콜름과 마찬가지로 식자층이다. 하지만 그녀는 마을에서 콜름처럼 대우받지 못한다. 오히려 결혼하지 않은 여성이라는 이유로 모욕당한다. 시오반은 콜름처럼 파우릭을 버리는 대신 오빠의 장점을 북돋아주기도 한다. 영화의 메시지와 인물 간 갈등과는 별개로, 콜름과 시오반을 각각 젠더화된 지식인의 표상으로 독해할 수 있는 것이다.

작성자 . rewr

출처 . https://brunch.co.kr/@cyomsc1/258/write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