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udong2023-05-08 14:42:28

내 생각보다 더 컸던 내 맘 속 너의 자리

<클로즈> 스포일러 없는 리뷰

 

 

너는 내 세상이었어

레오와 레미는 둘도 없는 단짝친구다. 매일 붙어 다니는 레오와 레미. 넓은 세상으로 나 아길 길이 없다. 당연하지. 매일 학교 다니고 집에 오는 일상의 반복인데. 둘은 둘에게 세상을 만들어준 사람이다. 그러나 애들이 서로에게 관심이 없으면 애들아 아닐지도 모른다. 서로에게 관심이 너무 많은 아이들. 같은 반 친구들은 툭툭 한 마디씩 던진다. ‘너희 둘 사귀어?’ 발끈하는 두 사람. 동성애에 대한 시선이 이 둘을 멀어지게 한다. 

 

두 사람 사이의 관계에 흠집이 간다. 13살인 레오와 레미. 인생의 10%는 함께 쌓아온 셈이지만 사이가 깨지는 건 이렇게나 쉽다. 원래 서로의 일정이 끝날 때까지 각자를 기다렸던 레오와 레미. 레미는 어느 날 자신을 기다리지 않는 레오의 얼굴을 확인하고 서운한 감정을 토로한다. 서서히 멀어지는 두 사람. 두 사람은 다시 가까워(close) 질 수 있을까?

 

각본의 섬세함

<클로즈>는 두 아이의 관계를 소재로 한 영화다. 레오와 레미가 서로의 관계를 겪으며 감내하는 일들을 영화의 중심 서사로 삼은 것이다. 퀴어 코드가 영화의 핵심으로 들어가 있기 때문에 이야기를 묘사하는 데 있어 무조건 필요한 것이 있다. 바로 이 관계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에 대한 것이다.

 

영화를 지켜보는 시선은 두 가지가 있다. 바로 레오-레미를 영화가 어떻게 바라보는가? 와 두 주인공을 다른 인물들이 어떻게 바라보는가? 에 대한 것이다. 글쓴이는 둘 다 영화의 강점으로 뽑고 싶다. 첫째. 레오와 레미 사이에 불필요한 장면이 없다. 예를 들어 두 사람이 느닷없이 볼에 뽀뽀하는 신이 없다. 여기서 두 사람이 스킨십을 하면 영화의 핵심인 선 타기가 무너진다. 우정과 사랑 사이 자기 자신도 모르는 마음이 영화에서 제일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 미묘한 미스터리가 유지되어야 2부의 이야기전개에 감정전달이 성립한다. 이 선 타기는 단순히 스킨십을 들어가고 말고의 문제가 아니다. 영화는 절묘하게 친구사이와 사랑사이의 간극을 타는 듯 보인다. 여기서 뭐 관계에 대한 새로운 정의가 보이고 그래 보이지는 않는다. <해피 투게더>나 <우리, 둘>같이 기존에 나왔던 퀴어 로맨스의 방식이 일부 들어갔기 때문이다. 그러나 같은 레시피로 맛없게 만드는 경우는 허다하다. 이 영화가 다른 퀴어 로맨스/성장서사와는 살짝 다른 지점은 여기에서 온다. 두 사람이 사랑을 표현하는 방식과 나이에서 오는 특성은 한 세트처럼 느껴지는데, 이 부분이 관객에게 있어 강렬한 여운과 설득력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또 레오와 레미를 바라보는 시선을 어떻게 보여주는가? 도 영화에서 강점으로 뽑을 수 있다. 이런 영화를 볼 때 10대들을 대상으로 한 작품들이라 빌런 유형들이 등장하는 경우가 몇 있다. 대표적으로 <파벨만스>에서 새미를 괴롭히던 아이들이 몇 있었다. 물론 <파벨만스>에서 빌런들이 등장하는 이유는 영화의 핵심과도 닿아있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들아가야 하는 연출이다. 대신 이런 10대 성장서사에서 자극적으로 퀴어를 소비하거나 폭력적인 시선이 들어갈 법도 하다. 비단 퀴어 소재를 다루지 않았더라도 <7번 방의 선물>같이 자극적인 소재에서 최대한 인물을 깎아내리는 연출방식이 기억난다. 그런데 이 영화는 아이들이 레오와 레미에게 던지는 질문들이 센 단어가 들어가지 않더라도 센 한방을 때리는 듯하다. 진짜 이걸 염두하지 않으면 감정적으로 반응할 수 없는 것들로만 대사를 구성한 것이다. 각본 역량이 빛났다. 뭐 이외에도 인물들이 등장하고 퇴장한 다음 다시 나타나는 형태도 섬세한 터치로 구성되어 있다. 

 

무너지다

영화 자체가 소담한 작품이다. 거리 이동이 별로 없는 느낌? 뭐 13살 아이들이 주인공이다 보니 당연한 결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품의 엔딩 와서 느끼는 여운은 아주 크다고 말할 수 있다. 왜일까? 영화는 장소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에 대한 이해도가 높았다고 생각한다. 

 

영화에서 장소를 활용하는 방식이 눈에 띈다. 장소를 어떻게 활용했나? 바로 반복이다. 영화는 같은 곳에서 일어나는 두 상황을 반복해서 보여준다. 일례로 영화에 등장하는 장소들은 인물들이 '왜 그렇게까지 할 수밖에 없는가?'라는 근거가 된다. 또 이 장소는 후반부에 다시 돌아와 인물의 정서를 나타내는 도구가 된다. 스포일러가 돼서 자세히 쓸 수 없지만 영화의 두 장면에서 그렇게 엄청난 무언가가 없음에도 무너져내리는 느낌이 들었다. 만약 이 장면이 영화의 초반부에서 반복이 안 됐다? 그러면 이런 감정을 느끼지 못했을 것 같다. 사실 사랑이란 건 그런 게 아닐까. 익숙했던 것들이 색다르게 다가오는 것. 그게 당연할 거라고 생각했지만 그게 아니었던 것. 이런 사랑의 속성을 장소로 표현한 감독의 역량이 돋보이는 부분이었다. 이를 돋보이기 위해서 인물들의 리액션에 집중한 촬영 방식이 영화의 미장센이라는 측면에서도 나름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 영화는 비움과 채움의 아이러니가 느껴진다. 제목이 왜 'close'인가를 생각해 보면 되는 문제다. 영화를 다 보고 나서 왜 이 인물이 앞으로의 삶을 살 수 있을까를 생각해 본다면 작품 자체가 처연하고 외롭게 느껴지는 지점이 있다. 그러니까 그땐 왜 몰랐을까? 에 괜한 것들이 사람을 앞으로 살아가게 만든다는 아이러니를 잘 담은 작품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지만 이런 영화에도 아쉬운 지점은 있다. 잘 만든 영화고 여운도 길게 남지만 영화의 이야기 전개가 전형적인 느낌이 좀 있다. 사실 영화 보기 전에 포스터 보고 대충 예상한 바가 있다. 아. 이거 아마 섬세한 화법으로 이야기 전개할 거야. 퀴어 소재인 것 같으니 자극적이지도 않겠지. 아마 인물들 이렇게 될 듯. 촬영으로 임팩트 딱 주겠지? 정확히 그대로 흘러간다. 대신 후반부에 어떤 장소에서 벌어지는 장면들이 인상 깊긴 했지만 영화가 약간 강박적으로 짜여있다는 느낌은 아쉽다. 다르덴 형제의 영화에서도 봤었고, <콜 미 바이 유어 네임>과 <우리, 둘>의 감정선이 느껴졌던 것이다. 그래서 어떤 분에 따라서는 좀 지리하게 느껴질 수도 있을 것 같다.

작성자 . udong

출처 . https://brunch.co.kr/@ddria5978uufm/481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