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rewr2023-10-23 07:38:27

예술이 된 두 번의 도둑질

〈킴스 비디오〉

7★/10★

 

  두 번의 도둑질이 있었다. 그리고 이들은 예술이 되었다. 영화 〈킴스 비디오〉 이야기다. 킴스 비디오는 1980년대 뉴욕 이스트빌리지에서 운영되었던 비디오 대여점의 이름이다. 한창일 때는 회원 수가 25만 명에 달했고, 7개의 지점이 있었으며, 그중 한 지점의 소장 비디오 숫자는 5만 5천 점이나 됐다. 5만 5천이라는 숫자는 여느 대여점이나 가지고 있던 비디오로 채워진 것이 아니다. 킴스 비디오의 컬렉션은 특별했다. 직원을 전 세계 영화제에 파견해 정식으로 유통되지 않는 영화를 수집해왔기 때문이다. 즉, 그 어떤 비디오 대여점도 킴스 비디오의 소장품을 갖고 있지 못했다. 때문에 킴스 비디오는 영화광들의 성지였다. 그리고 동시에 경찰의 표적이었다. 저작권 계약 없이 불법으로 비디오를 대여했기에 경찰이 수시로 드나들었다. FBI가 찾아온 적도 있다. 여기까지가 첫 번째 도둑질에 관한 이야기다.      

 

  킴스 비디오는 어느 날 소리소문없이 문을 닫았다. 직원조차 폐업 사실을 몰랐다. 문제는 소장품이었다. 사장인 김용만 씨는 이들을 이탈리아의 살레미로 보냈다. 수년이 흘렀다. 킴스 비디오가 있던 곳을 지나는 뉴욕 시민 중 몇몇은 그 자리에 비디오 대여점이 있었다는 사실조차 모른다. 〈킴스 비디오〉의 두 감독은 결심한다. 킴스 비디오의 소장품이 현재 어떻게 보관되고 있는지, 그리고 김용만 씨는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지를 추적하기로. 여기서부터 두 번째 도둑질에 관한 이야기가 시작된다.     

 

 

  김용만 씨는 살레미를 예술 도시로 조성하겠다는 제안을 듣고 소장품을 이탈리아로 보냈다. 그러나 시장이 바뀌고 마피아가 깊숙이 연루된 복잡한 지역 정치 상황 속에서 처음의 사업 계획은 뒷전으로 밀렸다. 수만 점의 비디오는 열악한 환경에 그대로 방치됐다. 이에 두 감독은 두 번째 도둑질을 계획한다. 엉망으로 보관된 소장품을 다시 뉴욕으로 가져올 계획을 세우는 것이다. 일부 소장품을 미국으로 반출한 이들은 김용만 씨를 찾아 자신들의 계획을 알리고, 결과적으로는 살레미 당국 역시 여기에 동참하기로 하면서 영화는 해피엔딩으로 마무리된다. 김용만 씨에게 자신들이 한 일을 설명하며 설렘과 두려움, 긴장이 가득한 목소리로 카메라 뒤에서 헐떡대는 감독의 목소리가 인상적이다. ‘비디오/영화가 원해서 이 일을 벌였다’라는 감독의 변명에는 진정성이 있다. 심지어 두 감독이 비디오를 빼돌리는 과정마저 영화적이다. 두 감독은 영화적 환영에 사로잡혀, 그러니까 ‘예술’을 근거로 두 번째 도둑질을 벌였다.     

 

  이처럼 〈킴스 비디오〉에서 도둑질과 예술의 경계는 흐려지고 포개진다. 김용만 씨와 두 감독은 ‘모든 창작은 이전 창작물에 빚지고 있다’는 일반적인 수준에서가 아닌, 실제 범죄를 통해 예술을 구축했다. 〈킴스 비디오〉의 잘못을 고발하겠다는 게 아니다. 결국 중요한 건 예술과 법이 서로 다른 차원에서 작동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술과 법에는 각각의 논리와 체계가 있다. 그리고 이 둘은 종종 충돌한다. 〈킴스 비디오〉가 보여주듯, 때때로 우리는 이 충돌에서 슬쩍 예술의 손을 들어줘야만 한다. 예술은 법의 세계를 담아낼 수 있지만, 법은 예술의 세계를 담아내지 못한다.     

 

 

  영화는 예술에 관한 또 다른 질문으로 나아가기도 한다. 수많은 영화를 스트리밍으로 감상할 수 있는 시대에, 왜 두 감독은 킴스 비디오의 컬렉션을 다시 뉴욕으로 가져와 그것에 공적 가치를 부여하려는 것일까? 소장품의 가치가 단지 희소성에만 있을까? 김용만 씨는 살레미에서 자신의 컬렉션이 방치된 상황을 접하고는 “슬프지만 그들은 자신이 뭘 가졌는지 모른다”고 말한다. 이는 두 감독 역시 공유하는 생각이다. 〈킴스 비디오〉가 던지는 질문은 여기에 있다. 무엇이 예술인가, 예술은 무엇을 해왔고 앞으로 해나갈 것인가, 우리가 지키고 보존해야 하는 예술은 무엇인가.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은 다양할 것이다. 누군가는 그들의 열정에 박수를 보내며 그들이 옹호하고자 하는 것에 큰 가치를 부여하겠지만, 누군가는 스트리밍의 시대에 그런 소장품은 보관소 자리를 그럴듯하게 차지하는 것 그 이상의 가치를 가질 수 없다고 단정할 것이다. 어찌 됐든 영화의 경계와 정의가 근본적으로 재구성되는 시대에, 〈킴스 비디오〉는 영화와 예술이 무엇인지에 대한 자신의 답을 내놨다. 그것도 꽤 매력적으로.

작성자 . rewr

출처 . https://brunch.co.kr/@cyomsc1/332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