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dong2024-01-10 01:41:32
영화가 가진 순기능을 보여주는 좋은 예시 하나
<노 베어스> 스포일러 없는 리뷰
노 베어스
이 영화의 주인공은 이란에 살고 있는 영화감독 파나히(자파르 파나히 본인)이다. 파나히는 열심히 살고 있다. 영화감독이 열심히 살고 있다는 건 무엇? 바로 영화를 제작하고 있다는 뜻이다. "하이, 큐!" 대사를 연이어 내뱉는 여배우(미나 카바니). 감독은 뭐가 맘에 안 들었는지 조연출에게 뭐라고 지시한다. 감독의 지시를 받는 조연출. 그러나 이 감독은 뭔가 특별하다. 바로 원격으로 촬영현장을 이끌고 있었기 때문이다. 사실 파나히는 이란 정부에 의해 출국금지 상태고, 촬영지는 이란이 아니다. 답답한 파나히. 이런 파나히에게 여러 장애물이 날아든다.
주인공은 나
이 영화의 감독 자파르 파나히는 이란의 뒤틀린 현재를 묘사하기 위해 본인을 주인공으로 내세웠다. 이 뒤틀린 이란의 현대사를 정통으로 맞는 파나히의 개인 이력을 이해해야 영화를 폭넓게 받아들일 수 있다. 필모그래피 초기 <써클>과 <오프사이드>로 베니스, 베를린 영화제에서 수상하며 국제적 인지도를 올린 파나히는 2010년 당시 당국의 반체제 인사를 지지했다는 이유로 구속됐다. 파나히는 이때 20년 간 영화 제작 금지 처분과 징역 6년 형을 선고받는다. 파나히의 복역은 오래가지 않았다. 국제사회의 지탄을 받은 이란 정부는 파나히를 가택연금 상태로 전환시킨다. 파나히는 이에 대한 맞대응으로 <이것은 영화가 아니다>라는 다큐멘터리를 제작해 베를린 영화제에 몰래 출품하는 등 영화감독 활동을 이어나갔다. 이후에 가택연금이 풀려 2015년, 2018년에 <택시>와 <3개의 얼굴들>로 베를린영화제 황금곰상, 칸 영화제 각본상을 수상했다. 하지만 이란 정부의 출국금지 판결로 인해 상을 받으러 가는 데에는 실패했다.
<노 베어스>는 정치적인 이유로 발이 묶인 파나히의 이 상황을 관객이 체감하게 만드는 구조를 택하고 있다. 이 영화는 두 가지 이야기가 결합되어 있다. 첫 번째 이야기는 파나히의 일상이다. 파나히는 현재 출국 금지 상태다. 그래서 영화를 찍기 위해 여기저기 돌아다니고 싶지만 발이 묶였다. 이 이야기를 표면적으로만 읽어도 파나히가 처해있는 문제가 무엇인지 생각하게 만든다. 하지만 이 외부의 이야기가 다루고자 했던 것은 이란 시민들의 일상이다. 한국 출생인 글쓴이가 봐도 이란에는 시민들을 억제하는 이상한 전통이 있다. <노 베어스>는 이 전통을 다루며 이란 사회가 주인공의 자유를 어떻게 억압하는지를 묘사하는데, 이를 건조하게 대하면서도 핵심을 놓치지 않는 감독의 솜씨가 돋보인다.
두 번째 이야기는 파나히가 만드는 영화다. 파나히의 영화 안에서는 커플이 등장한다. 이 커플은 터키에서 프랑스로 출국하고 싶다. 여기까지만 읽으면 그냥 일반적인 로맨스물이다. 하지만 이 영화 안의 영화는 예술과 현실을 어떻게 규정하는지에 대한 경계선이 된다. 어떻게? 바로 두 주인공 배우다. 이 두 주인공 배우를 극 중 극과 이 영화 <노 베어스>가 어떻게 대하고 있는지가 플롯 안에서 밑줄 쳐져 있다. 두 인물을 활용하는 방식이 영화의 핵심이 되는 것이다. 심지어 이 형식에 의한 주제를 강조하는 방법은 <노 베어스> 외부에도 적용되어 있다. 바로 극 중 극의 여주인공 미나 카바니다. 미나 카바니는 특정 영화에서 누드 장면을 찍고 10년 동안 이란으로 돌아가지 못했다. 이 배우의 현실 역시 이 영화가 처한 문제의식과 맞닿아 있는 것이다. 영화의 액자식 구성이 철저하게 지켜진 사례가 된 것이다.
이 두 가지 형식을 엇갈리는 이유를 후반부의 두 장면에서 읽을 수 있다. 이 두 장면에서 영화는 그동안 보여줬던 여러 이야기들을 왔다 갔다 하는 이유를 보여준다. 왜 이렇게 할까? 본질적으로 영화감독이란 이 경계를 어떻게 이야기로 관객에게 보여줄 것인지를 고민하는 직업이다. 감독의 자아를 플롯으로 보여준 것이다. 동시에 파나히가 살고 있는 현실(영화 안에서 묘사하는 것들)과 극 중 극을 어떤 식으로 대비하고 있는지도 보여주고 싶어 했다. 그런데 이 두 장면만 이를 구현했다? 그것도 아니다. 이 영화는 잔잔하면서도 서서히 이야기의 모든 순간에 대한 근거를 내세운다. 인물의 감정선이 모두 납득이 가는 것이다. 이 감정선을 모두 따라가다 보면 이 영화를 구성하고 있는 근본적인 질문에 도착하게 된다. 이는 영화감독으로서 이란사회에 살아남기 위해 어떤 태도가 필요한가?라는 질문과도 이어지는데, 엔딩에서 이를 직접적으로 묘사하는 것이 아닌 은근슬쩍 보여주는(?) 감독의 화법이 흥미로웠다.
언론을 소재로 한 영화 같기도
이 영화에 대해 생각할 때 글쓴이가 먼저 든 감상은 ‘영화감독이 기자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겠구나!’라는 점이다. 사실 그동안 영화를 봐오며 한 14만 번 정도는 느낀 생각이지만 이 <노 베어스>를 보고 더 강해졌다. 왜? 이 영화가 다루는 핵심은 두 이야기를 엇갈리며 ‘영화감독이 어떤 것을 다뤄야 하는가’라는 윤리적인 고민이기 때문이다. 이 고민은 어디에서 본 적이 있다. 바로 언론계 쪽에서 근무하는 분들이 한 번쯤 해볼 만한 고민이라고 느껴진다. 언론계 쪽에 종사하는 분이라면 주인공 파나히가 하는 고민을 따라갈 이유도 충분해 보인다. 당연히 언론사마다 다루는 소재란 것이 있어 파나히의 상황에 이입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어떤 대상을 사람들에게 보여주는 직업이라고 하는 것은 분명히 책임감이 필요하다는 점은 영화감독과 언론인 모두 다 공감할 것이다.
먼 나라 이웃나라 시네필 편
영화에 대해 생각할 때 내가 느끼는 장점 중 하나는 다양한 세상에 대해 알 수 있다는 점이다. 이것 하나만으로도 이 영화의 가치는 어마어마하다. 분명 글쓴이처럼 한국인이기 때문에 이란 사회에 생소할 관객분들 많을 것 같다. 그래서 그런지 이 영화의 배경이 되는 이란 민주화 운동에 대해 잘 몰랐다고 변명하고 싶다. 이 작품은 구조의 힘을 빌려 지금 현대의 이란이라는 나라에 대해 생각하게 만든다. <바쿠라우>나 <레미제라블>(2021) <성스러운 거미>처럼 영화가 가진 교양 함양의 힘을 믿는 분들이라면 이 <노 베어스>는 필관이다. 2024년이 되고 10일 만에 찾은 걸작이다.
- 1
- 200
- 13.1K
- 123
- 1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