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wr2024-06-10 08:07:01
인플루언서는 유명세의 주인일 수 없다
영화 〈드림 시나리오〉 리뷰
*영화의 스포일러를 포함한 글입니다.
‘무색무취’의 여성이 우연히 SNS에서 관심을 끈 후 여기서 느낀 쾌락을 극단적으로 추구하는 과정을 그린 〈해시태그 시그네〉는 무척 인상적인 영화다. 이 영화는 SNS 관심경제 시대에 ‘관종’이 어떻게 탄생하는지를 짚는다. SNS 팔로워, 조회수, ‘좋아요’ 등의 숫자가 개인의 매력과 동일하게 여겨지는 사회에서 이들 숫자는 자연히 자존감으로 이어진다. 자존감의 사전 정의가 ‘스스로 품위를 지키고 자기를 존중하는 마음’이라는 점을 상기하면 기이한 일이지만, 어쨌든 우리는 남들의 인정에서 스스로를 존중하는 마음을 길어올 수밖에 없는 사회를 살고 있다. 그러나 매력 자본을 갖지 못한 사람은 이 경쟁에서 뒤처지기 쉽다. 관종은 바로 여기서 등장한다. 그의 자극적인 행위가 매력 자본의 공백을 메우는 것이다.
〈해시태그 시그네〉에서 관종 탄생의 일그러진 메커니즘을 보여준 크리스토퍼 보글리 감독이 〈드림 시나리오〉로 돌아왔다. 영화는 이번에도 우리 시대에 ‘유명세’라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시니컬하게 질문한다. 폴은 따분한 남자다. 그뿐 아니라 소심하고 평범한 남자다. 늘 우유부단하고 의기소침한 목소리와 말투다. 눈을 부릅뜨고 찾아봐도 매력을 발견하기가 영 쉽지 않다. 그런 그가 하루아침에 화제의 중심에 선다. 동시다발적으로, 불특정 다수의 꿈속에 폴이 나타났다는 증언이 잇따른 것이다. 인기 없는 진화생물학 교수인 그의 강의실에 학생들이 가득 찬다. 인터뷰 요청이 쇄도한다. 늘 자신에게 시큰둥하던 두 딸도 친구들에게 아빠 이야기를 하고 다니고 아내도 남편의 유명세를 계기로 직장에서 원하던 프로젝트에 들어간다. 늘 끼고 싶어 했던 사교 모임에도 초청받는다. 유명 음료 회사의 광고 제안, 버락 오바마 딸과의 만남 등이 추진된다.
그리고 이 모든 게 또다시 하루아침에 뒤바뀐다. 폴이 사람들의 꿈속에 처음 등장했을 때 그는 방관자였다. 딸이 하늘로 붕 떠올라도, 누군가가 괴물에게 잡아먹혀도, 교통사고로 길가에 쓰러진 사람을 봤을 때도 폴은 태연자약한 표정으로 멀뚱히 그들을 바라볼 뿐이었다. 즉, 첫 번째 꿈에서 폴은 선한 남자는 아니었을지언정 무해한 남자였다. 사람들이 기꺼이, 적당히 웃으며 이야기할 수 있는 그런 인물 말이다.
폴이 모두의 꿈에 두 번째 등장했을 때, 그는 더 이상 무해한 남자가 아니었다. 해로운 남자였다. 그것도 압도적으로. 제자의 꿈에 나타나 강간하려 들고, 또 다른 학생의 꿈에서는 둔기로 그를 내리친다. 첫 번째 꿈에서 그랬듯 이번에도 증언이 쏟아진다. 다만 그 내용은 천양지차다. 사람들은 꿈속 트라우마로 폴의 얼굴을 쳐다보는 것조차 힘들어한다. 학교는 폴의 등장으로 ‘피해를 당한’ 학생들을 위한 심리상담을 제공한다. 두 딸과 아내는 학교와 직장에서 곤란을 겪는다. 폴이 기대하던 유명인과의 만남은 취소되고 취소 문화를 조롱‧비난하는 극우 방송인의 섭외만 줄 잇는다.
유명세의 본질이 이렇다. 긍정적일 때든, 부정적일 때든 폴은 단 한 번도 유명세의 주인인 적이 없었다. 그는 내내 어느 날 갑자기 찾아온 유명세의 수동적 객체였다. 그의 유명세에 자신의 의지가 개입될 여지는 없었다. 첫 번째 꿈 이후, 폴은 이 기회에 전공 관련 책을 집필해 동료에 대한 열등감을 떨쳐내려 한다. 하지만 매니지먼트 회사는 시큰둥하다. 사람들이 그에게 원하는 것은 진화생물학 책이 아니기 때문이다. 폴은 그저 이해할 수 없는 신기하고 재밌는 일로 소비되는 일에 기꺼이 ‘동의’할 때만 유명세를 유지할 수 있다. 그가 ‘흉악범’이 된 후에도 마찬가지다. 영화의 마지막, 폴은 원하는 대로 책을 내긴 하지만 그의 책은 진지한 학문적 연구가 아닌 기괴한 사연의 남자가 쓴 책으로만 여겨진다. 폴도 마지못해 이를 수용한다. 이제는 유명세가 자신의 것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하게 깨달았기 때문이다. 그는 대중들이 그를 기억하고 소비하는 동안 그들의 요구에 맞춰 자기 욕망을 숨기고 대중이 원하는 것을 제공해야 한다는 사실을 안다. 아주 가끔, 그 사이로 자기 욕망을 약간이나마 드러내고 만족하는 것이 최선임이라는 점 또한.
〈해시태그 시그네〉가 유명세를 갈구하는 우리의 욕망을 대변한다면, 〈드림 시나리오〉는 시그네가 삶이 파괴되는 일도 불사하고 갈구한 유명세의 본질이 텅 비어 있다는 점을 들춘다. 그리고 바로 그 텅 비어 있음으로 인해 유명세는 다시금 욕망의 대상이 된다. 내가 그 빈 곳을 채울 수 있다는 착각 혹은 잠시나마 그 공간에 안착해 유명세의 달콤함을 맛보겠다는 전략적 접근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어찌 됐든 우리가 유명세의 주인일 수 없다는 점은 마찬가지다. 그저 잠식되거나 편승할 수 있을 뿐.
- 1
- 200
- 13.1K
- 123
- 1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