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가을. 회사에서 일하다 엄마의 연락을 받았다. 외할머니가 돌아가셨다. 주섬주섬 상황을 알리고, 며칠 자리를 비울 준비를 했다. 장례식 기간 특별 휴가, 장례식이 끝나면 부모님 댁으로 같이 가기 위해 하루 연차를 더… 자리 비우는 동안 일은 이렇게 저렇게 대신 부탁드려요.
침착하게 처리하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화장실 칸에 들어가 아주 잠깐이나마 혼자가 된 순간 목에서 울음이 솟구쳤다. 어떤 울음은 구토처럼, 도저히 참을 수 없는 것이구나. 아직은 안 돼, 아직 울면 안 돼, 스스로를 다독이면서 울음을 다시 집어넣고 장례식장으로 갔다. 핸드폰으로 각종 예매와 약속을 취소하면서.
그때 취소한 예매 내역에 <쁘띠 마망>이 있었다. 좋아하는 감독의 신작을 두근두근 기다리고 있었지만, 개봉하고 한참이 지나 보게 되었다. 공교롭게도 극장엔 나뿐이었고, 더욱 공교롭게도 영화의 주인공 '넬리'가 처한 상황이 나와 거의 비슷했다. 비로소 울음을 참지 않아도 되는 순간이었다.
영화는 주인공 넬리의 할머니가 돌아가신 직후의 상황에서 시작한다. 넬리는 할머니가 계셨던 병원의 노인들을 하나하나 마주하며 성실하게 인사를 하고 병원을 떠난다. 넬리의 엄마 마리옹은 유품을 정리하기 위해, 넬리를 데리고 할머니의 시골집으로 향한다.
넬리는 인사성이 밝다. 할머니가 계셨던 병원을 떠나면서 한 사람 한 사람과 눈 맞추어 인사하는 모양새로 보아, 일상적인 인사를 제법 성실하게 채워온 것 같다. 넬리는 사려 깊은 아이처럼 보인다. 운전하는 엄마의 입에 과자를 넣어준 후 주스 빨대도 물려줄 만큼.
그럼에도 넬리는 결정적인 작별 인사를 건네지 못했다. 결정적인 순간의 마지막 배려를 할 수 없었다. 매일 최선을 다해도 모든 순간을 다 거머쥘 수는 없다. 사실 마지막 인사를 잘하는 사람은 드물 것이다. 마지막은 늘 처음일 수밖에 없으므로. 그때가 마지막이었다는 것도 뒤늦게야 알게 되므로. 이별은 예고하고 찾아오지 않으니까.
우리는 이별 후에야 그 평범했던 행위들, 무심코 지나치는 게 당연했던 모든 순간을 안타까워한다. “마지막일 줄 알았다면 그러지 않았을 텐데…”로 남는 후회의 문장들. 인사를 할걸. 화를 내지 말걸. 손을 잡아줄걸. 전화를 할걸. 가슴 치게 만드는 것들은 언제나 작고 사소한 일들이다. 빈 병실에서 창밖을 멀거니 바라보고 있는, 어머니를 막 떠나보낸 마리옹의 마음도 비슷하지 않았을까.
넬리의 마음이 만들어낸 환영인지, 숲의 마법인지… 이유를 알 수 없지만 아무튼, 시간 속에서 한 채의 집을 두 채로 이어 붙여, 못다 한 작별의 시간을 갖는다. 이 시간은 기적, 어쩌면 꿈, 염원이다. 넬리와 ‘쁘띠’ 마리옹의 만남이 어떻게 가능했는지 영화는 구태여 설명하지 않는다. 기적이란 원래 그렇게 설명할 수 없이 일어나는 거니까.
기적과 이별의 공통점이 있다면 그것이리라. 예고 없이, 설명할 수도 없이 찾아온다는 것. 그 뒤에 붙는 모든 해석은 다 어떻게든 수용해 보려는 노력의 일환이라는 것. 실은 그저 닥쳐온 일을 받아들이는 것밖에 할 수 없다는 것.
이 기적은 모든 순간 위로가 된다. 훗날 자신에게 탄생을 줄 이의 생일을 친구로서 같이 축하하며 노래를 부르고 케이크 촛불을 부는 것도. 숲속의 집을 같이 지어 올리고, 보트의 노를 같이 저어 가고, 소꿉놀이 같은 연극을 같이 하고, 앞으로 자신을 먹일 어떤 이와 함께 핫케이크를 만드는 일도.
정작 현실에서 못다 하고 왔던 인사는 이곳에서도 스치듯 건네게 된다. 그렇지만 괜찮다. 지금이 마지막 순간이라고 인지한 채로 마지막을 맞이하는 순간 깨닫게 될 테니까. 사실 “마지막인 줄 알았다면…” 뒤에 붙는 ‘~했을 텐데’의 말은 큰 의미가 없었다는 걸. 다시 돌아가도 우리는 케이크 촛불을 불고, 같이 집을 짓고, 같이 보트의 노를 젓고, 그렇게 일상적 행위들로 시간을 살뜰히 채울 것이다.
그러니까 “마지막인 줄 알았다면 그렇지 않았을 텐데…” 그 말 뒤에 붙는 모든 말들은 사실 어떤 행위에 대한 후회가 아니다. 좀 더 같이 있고 싶었다는, 지금이 마지막이 아니길 바랐다는 솔직한 마음이다.
너무 가까워서 불러보지 못한 이름들이 있다. 엄마의 이름처럼. 이 영화는 시간을 이어 붙이는 마법으로 그 이름들을 조명한다. 할머니는 넬리의 이름에서 증조할머니를 떠올리고, 넬리는 엄마의 이름을 마리옹이라고 불러 본다. 이름을 불러보는 것만으로도 위로가 될 수 있구나. 아주 오랫동안 불러보지 못한 이름을 떠올리는 것만으로도.
미래와 과거는 그렇게 다정하게 조우한다. 미래가 과거를 닮는 것 같지만 과거도 미래를 닮는다. 이 영화 이후 “안녕 Au revoir”라는 인사는 한층 더 따스하게 기억될 것이다.
영화를 보는 내내 신석정의 시 <푸른 침실>을 떠올렸다. 실제로 영화 속 침실들이 죄 푸른색이기도 했고. 두 아이, 미래와 과거가 함께 있는 모습이 꼭 항해처럼 보이기도 했다.
일림아
너와 나는 푸른 침실의 배를 잡아타고
또
어디로 출발을 약속하여야겠느냐?
( <푸른 침실> 부분)
시인이 딸의 이름을 부르며 쓴 시와 함께, 이 영화가 반짝반짝 부려 놓은 마법을 끌어안고, 나 또한 어떤 작별을 되새김질했다.
가끔 삶의 어딘가, 균질하던 순간이 툭 깨지고 그 자리에 마음이 툭 걸리는 순간이 있다. 니트의 올이 어딘가에 훅 걸려 풀어지는 것처럼. 가까운 이의 죽음도 분명 그런 순간일 것이다. 아무리 잘한 사람이라도 후회가 남는, 그런 순간.
그렇게 멈춘 자리에서 새로운 이야기를 써 내려갈 수 있다면 좋을 것이다. 이야기를 통해 다시 이별의 자리에 돌아가, 나의 모든 순간을 되새김질하여 소화하고 내일로 갈 수 있다면.
어느 정도 자전적이라는 이 영화를 보며, 셀린 시아마의 마법을, 또 그 영화에서 새로운 시선을 발견하게 될 수많은 이들을 생각한다.
이별 후 눈물 혹은 한숨으로 잠 못 이루는 어떤 이의 베갯잇에 이야기 하나를 고이 수놓아줄 수 있다면. 이 영화를 종이배처럼 접어 푸른 항해를 내보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