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CINELAB2021-04-08 16:58:34

시간을 뛰어넘어 너에게 갈게

넷플릭스 <상견니>, <다크>

시간을 뛰어넘어 너에게 갈게

넷플릭스 <상견니>, <다크>

 

 

 

더 이상 SF는 그 이름과 달리 공고한 과학적 상상(이라 쓰고 현실에서 증명된 과학 이론에 기반한 여러 가지 변형물들)이 중요하지 않다. 고도로 발달한 미래의 기계 문명이든 우주 어딘가에 있는 가상 행성의 왕족이든 그냥 현실에 없는 것을 아무거나 상상해도 SF다. 실제로 2019년 휴고상(Hugo Award)은 2019년 팬픽션 플랫폼인 AO3을 '변형적 작품 단체'로 정의하며 최고 참고문헌 상을 수여하기도 했다.

 

그래서 <다크>나 <상견니> 같은 타임슬립 물들을 볼 때에도 세계관의 촘촘함이나 과학적 설정의 논리성 같은 것에는 크게 신경이 쓰이지 않는다. 게다가 <상견니>는 시간대의 이동보다는 영혼이 빙의한다고 해야 맞을 것 같은 설정이다. 그래도 어쨌거나 두 작품 모두 리니어 시간대의 일정 지점들로 이동하니까 타임슬립 물이라 치고 공통된 부분을 살펴보면, 두 시리즈의 주인공들 모두 크게 두 가지 목적을 띄고 타입 슬립을 하며 이야기를 전개시켜 나간다. 하나는 자신이 사랑하는 상대를 만나기 위해서, 다른 하나는 동시에 어떤 멸망(세계나 어떤 사람의)을 막기 위해서다. 처음에는 명료한 목적을 가지고 시작한 타임슬립이지만 주인공들이 놓쳤던 세부 사항이나 다른 인물들의 행동으로 인해 시간의 흐름 속 인과 관계의 흐트러지며 상황은 주인공들이 생각한 대로 흘러가지 않게 되고 이런 형식의 갈등 양상을 주제로 회차가 전개된다.

 

 

 

'어느 시점으로 돌아가 어떤 요소를 어떻게 바꿀 것인가'가 주요 얼개인 이런 장르 물든 '타임 라인 정리'나 '해석' 같은 이름으로 블로그 포스팅 혹은 트위터 타래를 만들기 좋아하는 덕후들에겐 최적의 장르다. 두 드라마의 이름으로 검색을 해 보면 내용을 순차적으로 정리해 놓은 게시물들을 많이 발견할 수 있다. 나는 장르물에 대해 크게 조예가 깊지는 않아서 내용을 따라잡는 데에 크게 중요한 부분이 아니면 굳이 분석하며 세계관의 순차성이나 인과관계에 대해 깊이 생각하며 보지는 않았기에 그에 대해 자세하게 이야기는 못 하겠다.

 

전체적인 내러티브를 보자면 <다크>는 비교적 초반에 인물과 사건들이 서로 어떻게 얽혀 있는지를 밝히고 그에 따라 인물들 각각의 서사가 전개되는 방식이다. '이 관계들이 어떻게 정리되는 걸까?'란 시즌1에서 의문을 시작하고 시즌2에서는 누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풀어 나간다. 두 주인공의 액션 아이템이 정리된 시즌3에 접어들면서, 점점 타입슬립-미션 수행-실패 이 일련의 과정이 동어 반복으로 느껴지기도 한다. <상견니>는 초반에 플롯을 밝히지 않고 미스터리를 풀어 나가며 중반부부터 인물들의 배경과 서사가 서서히 밝혀지는 형식으로 전개된다. 중반부에는 불필요한 설정, 특히 남자 빌런의 출연에 할애된 시간이 지나치게 많다 느껴지는데 한국이나 중국 드라마는 편성된 에피소드 수가 많다 보니 종종 이렇게 필요 이상의 과한 설정이 많고 쓸데없는 배경 설명에 오랜 시간을 할애하는 하는 단점이 있다. 그렇지만 장편 드라마의 특성상 어쩔 수 없는 부분들을 배제하고 본다면 두 주인공의 관계의 애절함을 보여주는 데에는 두 드라마 모두 무리가 없다.

 

 

 

사랑에는 장애물이 필요하다. 얄궂지만 순조롭기만 한 관계는 지루함이나 의심을 사게 된다.

 

요즘 들어 드라마들을 보며 느끼는 것인데, 생각해 보면 옛날에는(옛날이라 봤자 한 10년 정도 전이지만) 비현실적 세계관 설정이 없이 등장인물들의 관계성이 그 자체로 엄청나게 자극적이었다. <파리의 연인>이나 <내 이름은 김삼순> 드라마들을 되돌아보면 여자 주인공의 신데렐라 서사를 포함해 지금 다시 나온다면 사람들에게 절대 군말 없이 받아들여질 수 없는 설정이 많다. 2020년에는 아무리 잘생긴 남자라 하더라도 무례하고 돈밖에 모르는 남자에게 따뜻한 마음을 일깨워 주는 가난하지만 밝은 여자 주인공에게 몰입하고 싶은 여성은 별로 없을 것이다.

 

계급을 제외하고 사랑에 눈이 먼 두 젊은이를 떼놓을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장벽은 '죽음'이다. 사실 이것도 옛날 드라마에서는 많이 쓰인 소재긴 하다. 남자 주인공이나 여자 주인공이 백혈병이나 희귀 암 같은 불치병에 걸려 죽게 된 내용의 드라마와 영화를, 95년 이후로만 나열해도 아마 몇십 개가 나올 것이다. 당대의 센세이셔널한 인기 가수였던 조성모를 필두로 한 발라드 가수들의 뮤직 비디오에는 꼭 누군가가 총에 맞거나 차에 치이거나 하는 이유로 죽고 슬퍼하는 연인의 눈물이 클로즈업되곤 하는 레퍼토리도 있었고 말이다.

 

<다크>와 <상견니>에서도 결국 죽음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타임슬립을 하는 것도 있는데, 연인의 상실에 대처하는 전제 자체가 이런 과거의 신파극들과는 완전히 다르다. 그리움에 못 이겨 연인을 찾아간다는 식의 신파가 아니라, 알고 보니 연인이 서로 이어질 수 없었던 이유가 어떤 타임라인 혹은 인과관계의 균열에서 비롯된 것이었고 그 균열을 바로 잡으면 연인을 되찾을 수 있다는 식의 문제 해결적 플롯이다.

 

하지만 갈등이 고조되고 관계의 애절함이 극대화되려면 시공간을 넘나드는 두 사람이 쉽게 만나선 안 된다. 엄청나게 많은 엇갈림과 자신들이 초래한 서사의 균열을 겪어내야만 한다. 앞서 말한 분량을 채워내야 하는 장편 시리즈들의 고충을 현실적으로 이해하고 넘어간다면, 시청자들도 과연 두 남녀 주인공이 언제쯤 이어지는지, 이어지기는 이어지는 것인지 애가 타는 마음으로 지켜보게 된다. 특히 상견니는 남국의 정취가 있는 타이난을 배경으로 교복을 입은 등장인물들이 울고 웃는 모습을 보여주며 동아시아 시청자들의 '학교에서 보낸 여름'에 대한 향수를 자극한다.

 

 

이제는 관계 자체가 주는 자극보다는 어떤 설정이나 세계관에서 오는 물리적 장벽들이 관계를 어렵게 만드는 플롯이 더 쉽게 시청자들의 흥미를 끌게 됐다. 한 마디로 '너의 환경에도 불구하고 너를 사랑해'보다 '네가 다른 세계에 존재해도 너를 사랑해'가 훨씬 더 로맨틱하게 느껴지는 시대가 된 것이다. 예전에는 상상력을 전시하기 위해 쓰이던 SF 세계관들이 이제는 현실의 관념을 강조하기 위한 장치들이 됐다. 무엇이 됐든 뛰어넘기 어려운 장벽만이 로맨스의 농도를 짙게 하는 법이다.

 


 

* 본 콘텐츠는 브런치 Good night and 님의 자료를 받아 씨네랩 팀이 업로드 한 글입니다.

원 게시글은 아래 출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작성자 . CINELAB

출처 . https://brunch.co.kr/@andgoodluck/58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