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2024-08-29 23:09:24
한국이 싫어서 | 모험은 위험할수록 좋으니까
영화 <한국이 싫어서> 리뷰
계나는 한국을 떠난다. 한국이 싫어서, 여기서 더는 못 살 것 같아서.
그럭저럭 괜찮은 대학의 졸업장, 안정적인 직장, 오래 사귄 금수저 남자친구, 그와의 결혼, 조금만 버티면 다가올지 모르는 약간 더 나은 미래. 이런 것들은 계나에게 행복이 되어주지 못한다. 계나는 불확실한 내일을 기다리기보다는 지금 당장 행복하고 싶다. OECD국가 중 자살율 1위인 이곳에서 계속 살다간 ‘자살하거나 암 걸려 죽거나 둘 중 하나‘라는 비관적 결론에 이른 계나는 떠난다. 영하의 날씨에 어깨를 움츠리지 않아도 되는 따뜻한 나라로. 지구 반대편의 뉴질랜드로.
뉴질랜드로 떠난 계나의 삶은 순탄치 않다. 행인에게 영어 실력을 지적당하고, 인종차별을 일삼는 직장 동료도 있다. 한순간의 치기로 재판에 회부되기도 한다. 영화는 외부인으로서의 계나의 삶을 미화하지 않는다. 도망친 곳이 낙원일 것이라고 생각했다면 오산이다.
계나는 여러 인물들의 죽음에 함께 있다. 이번이 마지막 겨울이기를 바랐던 고시생 친구 경윤의 죽음, 돈 대신 행복을 모으라던 희망 전도사의 죽음, 겉으로는 완전해 보였던 하준이 가족의 죽음까지. 계나는 이미 알고 있었을지도 모른다. 어디로 도망쳐도 나름의 추위와 슬픔은 존재한다는 것을.
계나의 행복은 소박하다. ‘춥고 배고프지만 않으면’ 행복한 계나에게 한국에서의 매일은 시리고 굶주리다. 겨울이 아닐 때에도 발걸음은 종종거리고 어깨는 한없이 움츠러든다. 모든 것에 계급이 존재하고, 자신의 위치에 집착하고, 타인의 인정에 따라 살아가야 하는 한국에서 계나에게 돌아오는 것은 자꾸만 매년 더 추워지는 겨울이다. 뉴질랜드가 계나의 낙원이 아닐지라도, 추울수록 가난이 드러나는 얇은 코트를 걸치고 한없이 초라해지지 않아도 되기에 계나는 그곳에서 자유롭다.
이 영화는 번잡하게 시점을 넘나들고, 감정이 넘치고, 결론이 모호한 불친절한 영화이다. 엔딩에서 계나가 어디로 가는지 우리는 알지 못한다. 그럼에도 영화를 관통하는 한 문장을 추출해 보자면 포기는 결코 뒷걸음질이 아니라는 말이 되겠다. ‘공기 좋고 햇빛 잘 드는 것’이 행복이라던 경윤은 마지막 기회를 포기하지 못해 시들었으나, 한 학기 남은 졸업을 포기하고 다른 꿈을 찾은 재인은 새로운 삶을 시작한다. 한국에서의 모든 것을 포기하고 뉴질랜드로 온 계나는 뉴질랜드에서의 학위 또한 내던진 채 또다른 따뜻한 나라로 떠난다.
사실 행복은 과대평가된 개념일지도 모른다. 거창해 보이지만 그 어떤 것보다도 사소하고 주관적이며 모두가 원하는 것이 행복일 것이다. 지나온 길을 포기하지 못해 잔혹한 현실에 기대어 행복을 향유하지 못하는 청춘들에게 영화는 새로운 마음을 먹었다면 포기는 뒷걸음질이 아니라고, 하고 싶은 대로 하고 살아도 된다고 말한다.
영화 속 재인의 삶이 ‘희망편‘이라고 한다면, 계나의 삶은 지독하게도 ’현실편‘이다. 하고 싶은 일을 찾아 뉴질랜드에 정착해서 살게 된 재인과는 달리, 계나는 서른이 넘은 나이에도 여전히 시행착오 속에 살고 있다. 그럼에도 또다시 한국을 떠나는 계나의 뒷모습이 쓸쓸해 보이지 않는 이유는 어떠한 다짐이 분명하게 드러나기 때문이다. 다시는 춥지 않겠다고, 더 따뜻한 곳을 찾고야 말겠다고. 이 시험에 붙지 않더라도 어딘가에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있겠지? 라고 묻던 경윤의 질문에 새로이 가방을 싼 계나는 이번에는 이렇게 말할지도 모른다. 당장 할 수 있는 일이 없으면 어때. 그걸 찾느라 좀 헤매면 어때. 그게 한국이 아니면 어때.
영화는 명확한 끝맺음을 주기보다는 그저 이야깃거리를 던진다. 자꾸만 한국을 떠나려는 계나에게 어디로 가나 힘든 것은 똑같다고, 한국에서 안정적으로 사는 것이 옳다며 참견하고 싶어진다면 그것은 당신의 자유다. 계나가 한국을 떠나 행복할 자유가 있는 것처럼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