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udong2024-10-27 22:52:39

‘베놈’과 노랠 부르며 마지막 춤을 출거야

<베놈 : 라스트 댄스> 스포일러 없는 리뷰

 

 

베놈 업고 튀어

이 영화의 주인공은 도망자가 된 남자 에디 브룩(톰 하디)다. 카니지와의 결전 이후 오명을 쓰게 된 에디. 경찰 패트릭 멀리건을 살해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었다. 이제 도망만 가면 된다. 하지만 느닷없이 우주의 힘에 이끌려 다른 우주로 끌려갔다. 끌려간 곳은 아이언맨과 타노스가 결전을 벌이고 있던 멀티버스였다. 바텐더에게 이상한 소리를 한참 늘어놓던 에디. 그러던 도중 또 갑자기 원래 살고 있던 시간선으로 이동했다. 혼란스러운 에디와 브룩. 멕시코를 떠나 어디든 도망쳐야 한다는 건 에디나 베놈이나 같은 생각이었다. 본격적으로 도망갈 준비를 앞둔 에디와 베놈. 이런 에디와 베놈을 널(앤디 서키스)가 노린다. 

 

 

 

MCU가 뭐죠

이 영화에서 두드러지는 가장 큰 장점은 마블 세계관에 의존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최근 마블과 관련된 슈퍼히어로 영화/드라마들이 가진 특징이 있다. 바로 세계관의 다음단계를 위한 발판이 됐다는 점이다. <앤트맨과 와스프 : 퀀텀매니아>가 가 그 예시였다. 전자 ‘앤트맨 3’ 같은 경우를 생각해 보면 앤트맨이 뭔가 이 MCU에서 대단한 역할을 할 거라는 생각이 들지 않는다. 왜? 이 영화에서 앤트맨이 슈퍼히어로로서 다음 스태프로 넘어간다는 장치가 별로 없다. 구체적으로 이 영화에는 정복자 캉이 얼마나 강한지, 또 앤트맨의 딸 캐시가 ‘영 어벤저스’로 활약할 거라는 암시만 있다. 앤트맨이 아버지 역할로서 노력한다는 건 사실 ‘앤트맨’ 1,2편과 어벤저스 시리즈만 봐도 알 수 있는데 3편에서 굳이 동어반복이 이뤄졌다.  

 

이 <베놈 : 라스트 댄스>는 다르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스파이더맨 세계관에 힌트를 굳이 얻지 않았다. 우선 첫 장면이 의미심장하다. <스파이더맨 : 노 웨이 홈> 쿠키에서 시작한다. 피터 파커(톰 홀랜드)의 주문이 잘못되며 온 우주의 빌런들이 MCU의 세계관으로 모여든다. 이 힘에 이끌린 에디와 베놈. 어떤 술집에서 술을 마시다 바텐더와 타노스에 관한 이야기를 나눈다. 전작 <베놈 : 랫 데어 비 카니지>에서 ‘톰스파’와 관련된 장면이 있었기 때문에 이 쿠키영상과 연관 지으면 마블의 스파이더맨 세계관에 편승해 상업적으로 잘 팔릴만한 이야기 만드는 것이 그렇게 어렵지 않을 것 같다. 하지만 본작 <베놈 : 라스트 댄스>는 이 MCU의 멀티버스 세계관을 전적으로 거부하며 시작한다. 초장부터 이 영화는 마블의 연속극이 아닌 에디와 베놈의 이야기를 쓰겠다고 선언하는 셈이다. 영화는 그 선언을 충실히 이행한다. 두 가지 측면에서 그렇다. 첫 번째는 에디가 인간이기 때문에 겪는 딜레마에 영화가 초점을 맞췄다는 것이고, 둘째는 베놈이 슈퍼히어로와 안티히어로 사이에서 인간다운 삶을 사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 선택은 슈퍼히어로 영화를 기대한 관객들에겐 아쉽게 느껴지겠지만 글쓴이는 나름 이 3부작의 마무리를 위해 의도적으로 고른 선택처럼 느껴졌다. 

 

 그런데 멀티버스를 왔다 갔다 하는 것이 무의미했나? 글쓴이는 그것도 아닌 것 같다. 이 영화를 가로지르는 핵심 중 하나는 ‘죽음이 갈라놓을 때까지’(포스터에 있는 문장이다)다. 영화 안에서 온갖 고생을 다 겪는 에디와 베놈이지만 무슨 일이 일어나도 둘은 헤어지지 않는다. 이것은 영화 후반부에서 벌어지는 일에 드라마틱한 선택에 의미를 부여한다. 그리고 역시 영화 후반부에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인물에게 캐릭터의 당위성과 핍진성을 부여한다. 쉽게 말해서 이 인물은 멀티버스가 아니면 보여줄 수 있는 위력이 급감된다(심지어 원작 코믹스 상에서도 우주적인 존재로 묘사된다). 스파이더맨과 시니스터 식스의 ㅅ자도 안 꺼내고 멀티버스와 에디-베놈의 이야기를 마무리 지은 경제적인 선택이 된 것이다.

 

 

 

기대는 플롯

이 영화에서 가장 의아했던 점은 캐릭터다. 이 영화에는 한 가족이 나온다. 이 가족은 에디와 베놈의 사이드킥으로서 조력자가 된다. 슈퍼히어로에서 사이드킥이 등장하는 것이 새삼스러운 일은 아니다. 하지만 이 인물이 등장하고 퇴장하는 방식은 영화의 또 다른 사이드킥 심비오트와 판이하게 차이가 난다는 점에서 아쉽게 느껴진다. 우선 이 영화에서 심비오트들이 등장하는 이유는 지극히 합리적이다. 근거를 <스파이더맨 : 노 웨이 홈>에서도 찾을 수 있고 전작에서도 찾을 수 있기 때문에. 그러나 이 영화에서 이 가족은 그냥 단지 우연처럼 만난다. 그리고 그 우연처럼 만나는 과정을 생각해 보면 작위적으로 볼 수 있는 건더기가 굉장히 많은 편이다. 이 인물(들)은 목적을 진작에 이룰 수도 있었다. 내지는 목적을 이루지 않더라도 이르게 퇴장하기에 충분했다. 영화는 작위적이라고 느껴질 정도로 이 선택지만 절묘하게 다 빠져나간다. 아니면 이 가족이 극후반부 엔딩까지 뭔가 유효했나? 그렇지도 못하다. 그냥 단지 영화 안에서 에디가 스스로 탈출할 수 없는 위기와 관련한 인물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심지어 영화 안에서 에디의 내면을 강조하기 위해 템포가 늘어지는 발단이 되기도 하는데, 극 중에서 꼭 필요한 캐릭터 들인 건 사실이지만 감독의 연출력이 살리지 못했다는 점에서 아쉬운 지점이다.

 

또 이 영화에서 수가 얕다고 느껴지는 장면이 크게 두 가지 있다. 이 영화에서 가장 카타르시스가 강하게 느껴지는 인물이 있다. 이 인물은 전적으로 슈퍼히어로물의 클리셰에 편승했다는 점에서 아쉽다. 이 인물이 후반부에서 감정적으로 중요한 역할이라는 것에는 여지가 없다. 하지만 굳이?라는 점에서 아쉽다. 사실 후반부에서 처지가 바뀌는 수많은 인물들처럼 묘사해도 영화 안에서는 큰 문제가 없다. 그리고 이 인물이 베놈이라는 캐릭터가 가진 특성을 그대로 보여주지도 못했다. 이 영화 3부작에서 베놈이 가진 핵심 테마는 ‘악인을 잡아먹는다’라는 점이다. 하지만 이 영화에서는 이 테마에 닿지 못하고 그냥 캐릭터가 각성하는 여지만 주고 끝난다. 이런 옅은 연출이라면 사실 굳이 ‘베놈’이 아니어도 된다. 캡틴 아메리카 혈청과 차이점이 없다. 이유와 계기를 생략하고 단지 옆에 있다는 것 하나만으로도 히어로물의 특성을 부여하려니 붕 뜨는 것이다. 

 

 

 

섹시하지 못한 히어로

글쓴이가 생각했을 때 이 베놈의 가장 큰 장점은 기괴함이라고 생각한다. 기괴함이라고 하는 것이 기본적으로 일반적이지 않아야 도드라지는 시각적 특성이다. 심지어 베놈이 하는 짓도 기괴하다. 빌런의 ‘목을 잡아먹는다’가 핵심이다. 두 설정. 시각적으로 기괴하고 악인의 목을 잡아먹는다는 설정은 캐릭터의 비주얼과 표현 수위에 있어 잘 어울리는 것처럼 느껴진다. 그럼 그 시각적으로 강렬한 캐릭터를 강조하기 위해서 템포가 더 빠른다던가 괴이한 비주얼을 보여준다던가 하는 식의 연출이 필요하다(‘데드풀’처럼). 이 시리즈는 베놈의 기괴하고 난폭한 캐릭터성을 뒷받침할 시각적 연출을 보여주기는 한다. 대표적으로 예고에서도 나오는 장면이 있다. 에디와 베놈이 말을 타고 질주하는 장면이다. 말의 질주와 검은색으로 색감을 묘사하며 마치 오토바이를 타는 것 같은 장면을 멋지게 표현했다. 후반부에서 빌런과 싸우는 캐릭터들의 모습도 베놈의 특성을 잘 살린 멋진 장면이다.

 

하지만 이 영화에서 심비오트가 히어로의 개성을 살리는 방식으로 연출됐는지는 미지수다. 대표적으로 영화 후반부에서 심비오트들이 등장하는 방식을 보면 ‘엑스맨’ 시리즈의 뮤턴트들과 차이점이 별로 없어 보인다. 그 이유는 이 영화에서 베놈과 심비오트들이 왜 악하거나 왜 선한지에 대한 고찰이 없다. 남들이랑 다른 외계인이니까 사람들이 배척하는 것이다. 여기서 더 나아가 베놈이 ‘악인의 목을 잡아먹는다’라는 자경단 설정도 그렇게 효과적으로 살리지 못한다. 가령 ‘데어데블’을 보면 변호사 맷 머독과 슈퍼히어로 데어데블 사이에서 정체성을 고민하는 듯한 연출이 자주 등장한다. 드라마의 톤도 전적으로 어두워서 폭력적인 내면과 선한 변호사라는 가치가 충돌한다는 점을 묘사하기에도 충분하다. 하지만 이 영화에서의 베놈은 원초적으로 욕망에만 이끌리는 캐릭터다. 에디가 이 욕망을 핸들링하는 인물이긴 하지만 이 인물의 내면이 평범한 사람인 것만 두드러지고 나머지는 생략됐다는 점이 아쉽다. 

 

 

영화 안에서 베놈을 둘러싼 세상도 깊이가 얕다는 점이 아쉽다. 물론 이 영화에서 인물들은 나름 현실감이 있다. 특히 위에서 쓴 가족들을 보면 캐릭터의 설정 자체는 아주 설득력 있게 디테일하다. 하지만 이 설득력이 이 영화의 개성을 살리는데 유효한 디테일이었는지는 미지수다. 왜? 영화가 지나치게 설명하려 하는 느낌이 강하니까. 이렇게 자경단을 다뤘던 드라마/영화들은 이 세계관을 깊게 설명하지 않는다. 메인빌런이 어쩌고 저쩌고 하는 거 자기가 입으로 설명하는 멋없다. ‘데어데블’ 시리즈도 킹핀이 얼마나 나쁜 놈인지 구구절절 설명 안 한다. 그냥 자연스럽게 이야기의 힘으로 캐릭터를 설명한다. 하다못해 올해 개봉한 <베테랑 2>도 해치를 구구절절 설명하지 않는다. 그냥 해치의 연쇄살인을 통해 보여준다. 하지만 본작 <베놈 : 라스트 댄스>는 한껏 설명하기 바쁘다. 이 설명을 한 번 하면 몰라. 여러 번 반복한다. 이렇게 무의미하게 친절한 영화의 태도가 드러나면 드러날수록 ‘소니가 어떤 기준으로 영화를 만들고 있을까?’라는 의구심이 든다. <모비우스>가 어색한 캐릭터성으로 낡은 전개를 보여줬던 걸 생각하면 본 작의 단점 역시 이런 특징을 있는 듯 보인다.

 

 

 

예의를 갖추다

글쓴이의 총평은 ‘나름 예의를 갖춘 3부작 마무리’라는 점이다.  나름 에디와 베놈의 인간적인 면모를 부각하며 그들도 역시 우리와 다르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 베놈의 시각적인 특성을 활력 있게 묘사하면서 이야기의 동력이 되기도 했다. 하지만 소니 스파이더맨 유니버스가 끊어내지 못했던 애매한 캐릭터 설정이 영화의 발목을 잡으며 플롯 전체와의 이질감으로 이어졌다는 점은 아쉬운 점이다. 하지만 이런저런 장단점과는 별개로 톰 하디가 감정적으로 관객을 끌고 당기는 박력이 대단하니 무난하게 볼 수 있는 영화이기도 하다.

작성자 . udong

출처 . https://brunch.co.kr/@ddria5978uufm/672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