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리뷰는 <듄>의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듄 (2021)
감독: 드니 빌뇌브
출연: 티모시 샬라메, 레베카 페르구손, 오스카 아이작, 제이슨 모모아, 조시 브롤린, 젠데이아, 장첸, 하비에르 바르뎀, 스텔란 스카스가드 등
장르: SF, 판타지, 스페이스 오페라
러닝타임: 155분
개봉일: 2021.10.20
장대한 운명의 서막, 시련에 맞서다
10191년, 아트레이데스 가문의 후계자인 '폴 아트레이드(티모시 샬라메)'는 특별한 능력을 가진 '베네 게세리트' 출신인 어머니 '레이디 제시카(레베카 페르구손)'의 피를 물려받아 꿈을 통해 과거와 미래를 볼 수 있고, 미래의 구원자로 점지되어 태어난 인물이다. 아트레이드 가문은 황제로부터 우주에서 가장 비싼 물질인 '스파이스'가 생산되는 '아라키스'를 다스리라는 명을 받고, 낙원과도 같은 본거지를 떠나 새 터전에 자리를 잡는다.
하지만, 이는 세력이 커지는 아트레이드 가문을 시기한 황제의 함정이었다. 아라키스를 오랜 기간 억압했던 하코넨 가문과 사다우카 연합군이 아트레이데스 가문을 기습하고, '레토 아트레이드(오스카 아이작)' 공작은 물론 성 안의 모든 인물들이 몰살당한다. 가까스로 목숨을 부지한 '레이디 제시카'와 '폴'은 그들을 지키는 소드마스터 '던칸 아이다호(제이슨 모모아)'의 도움으로 탈출에 성공하고, 적에게 맞서기 위해 아라키스의 '프레멘' 부족을 찾아간다.
복잡하고 심오한 세계관,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아무런 사전 정보 없이 시놉시스나 줄거리를 텍스트로만 접한다면, <듄>의 복잡하고 장대한 세계관에 대해 알 길이 없다. 따라서 <듄>을 단순히 킬링타임용으로 관람하는 것이 아닌 웅장한 스토리에 담긴 깊은 매력을 탐미하고 싶다면, 유튜브를 통해 세계관 정보와 관련된 짤막한 영상을 우선적으로 시청하는 것을 권하고 싶다.
<듄>은 가상의 거대한 제국을 배경으로 한 다양한 부족들의 권력 투쟁이 등장하고, 현실 세계의 방식으로는 이해하기 힘든 SF영화 특유의 미래 기술과 소품들이 등장한다는 점에서 <스타워즈>, <블레이드 러너> 같은 스페이스 오페라물을 표방한다. <스타워즈>가 어느 정도 오락성과 스펙터클함을 가져간 시리즈라면, <듄>은 좀 더 심오하고 황량한 느낌이 강하다. 따라서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작품에 익숙한 10-20대 관객들에게는 다소 지루한 영화가 될 수도 있을 것 같다. 하지만, <듄>에 대한 사전 정보를 조금만 인지한 상태에서 관람한다면 마냥 따분한 작품이 되지는 않을 것이다. 인간의 상상력을 통해 구현된 세계의 다양한 인간 군상과 판타지적 존재들, 그리고 정치적으로 복잡하게 얽힌 이들의 관계성을 하나씩 짚어보며 전개를 따라간다면, <듄>이라는 발상 자체에 대한 놀라움과 어릴 적 한번쯤 머릿속으로라도 해보았을 법한 비현실적 시공간에 대한 공상을 떠올리게 한다. 십 년간 지속되어온 마블 세계관에 이제는 익숙해졌을 대중에게 새로운 신비감을 자극할 만한 드넓은 무대가 펼쳐진 셈.
광활한 우주와 행성, 영상미에 취하다
<듄>은 러닝타임이 2시간 30분에 달할 정도로 작품의 길이가 길고, 생소한 세계에 대한 설명적인 내용의 등장, 그리고 알 수 없는 시공간이 뒤섞인 '폴'의 꿈에 관한 이야기 등 때문에 상당한 집중력을 요한다. 작품의 이러한 심오함은 집중을 통해 몰입감을 끌어낼 수도 있지만, 몰입과 흐트러짐은 한 끗 차이이기 때문에 본편의 서막과도 같은 내용에 재미를 느끼지 못할 수 있다.
하지만, 스토리를 제쳐두고라도 <듄>은 봐야할 가치가 있다. '드니 빌뇌브' 작품답게 영상미에 상당한 공을 들였는데, 대표적으로 광활함과 잔혹함이 공존하는 '아라키스'의 사막 배경은 작품의 장대한 세계관을 머금은 듯 엄청난 위압감으로 관객을 압도한다. 뿐만 아니라 <테넷>을 뒤로 하고 <듄>을 택한 '한스 짐머'의 묵직하고 웅장한 음악이 더해져 언제 어디서든 주인공들을 향한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는 듯 긴장감을 늦추지 않게 만든다. 줄거리가 마음에 들지 않거나 어렵더라도, 영상의 압도적인 비주얼만큼은 우리 두 눈에 최대한의 만족도를 선사한다. IMAX로 촬영하여 화면 비율을 무려 1.43:1까지 확장한 스크린은 드넓은 우주의 시공간을 폭넓게 탐험하는 기분을 자아내는데, 이 때문에 꼭 IMAX로 관람하기를 추천하고 싶다.
초호화 캐스팅, 제몫 다한 배우들
<듄>은 명감독인 '드니 빌뇌브' 감독, 그리고 미국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던 원작 소설만으로도 감상의 가치가 있는 작품이지만, 초호화 캐스팅을 실현시키며 작품의 스케일을 극대화시켰다. 주인공 '폴'을 연기한 '티모시 샬라메'는 현재 할리우드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20대 배우 중 한 명이며 그의 부모님을 연기한 '레베카 퍼거슨'과 '오스카 아이작', 전투 장면에서의 카리스마를 보여준 '조시 브롤린'과 '제이슨 모모아', 섬뜩한 악역 '데이브 바티스타'와 '스텔란 스카스가드', 후속작에서의 기대를 남긴 '젠데이아'와 '하비에르 바르뎀'까지. 주인공급 인물들이 대거 출연하며 짧은 등장에도 뚜렷한 인상을 남겼다.
개인적으로 가장 독보적인 존재감을 발휘한 배우는 '레이디 제시카'를 연기한 '레베카 퍼거슨'이라고 생각하는데, 전형적인 어머니상과는 전혀 다른 캐릭터로서 강인한 눈빛과 카리스마로 작품의 중심을 무게감 있게 잡아준다. 보통 부녀가 함께 등장하는 SF 장르 영화에서는 아들이 어머니를 지키는데, 레이디 제시카는 작중 가장 강한 인물 중 하나로 그려지며 각성을 앞두고 혼란을 겪는 폴의 멘탈을 케어해주는 것은 물론 모진 시련에도 아들보다 앞장 서서 상황에 맞서는 모습들이 새롭게 다가왔다. 특히 두려움과 기개가 공존하는 '레베카 퍼거슨'의 표정과 눈빛 연기, 그리고 적을 공격할 때 발산하는 파워는 작중 그 누구도 범접할 수 없는 영역이었다. '티모시 샬라메' 때문에 본 작품이지만, 의외로 가장 눈길이 가는 배우는 '레베카 퍼거슨'이었다.
운명을 받아들인 유약한 소년의 성장
<듄>의 원작 소설은 6부작으로 된 대작이지만, 영화는 해당 소설을 2편에 걸쳐 모두 담는다고 한다. 따라서 극에 등장하는 여러 세력의 특징 혹은 '레토 공작'과 '하코넨'의 대립 관계 등 극에 미처 담지 못한 에피소드들이 많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HBO Max 드라마 <듄: 자매들>을 추가로 기획했다고는 하지만, 원작을 보지 못한 관객들은 여전히 이 세계관을 이해하기에 갈 길이 멀다.
따라서 시리즈 1편에 해당하는 본작은 주인공이 각성해나가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며 본편의 인트로인 것처럼 그려진다. '폴'의 강인함이나 구원자적 존재로서의 용맹함보다는 유약함과 두려움이 부각되는 것 역시 운명을 거부하고 싶지만, 받아들여야만 하는 삶에 놓인 인물이 성장해나가는 과정을 담기 위해서일 것이다. <듄>은 SF 판타지 영화임에도 그 흔한 주인공의 전투신조차 없다. '폴'의 활약을 기대한 사람이라면, 극이 끝나고 도대체 무슨 내용이 전개된 것인지 납득하지 못할 수 있다. 하지만 무작정 주인공 혹은 히어로의 능력을 강조하여 주인공 보정을 입히고, '데우스 엑스 마키나'급 활약을 하는 틀에 박힌 구조를 탈피했다는 점에서 다른 작품들과 차별화 된 시선으로 해석할 수 있는 여지를 남긴다. <듄>은 이제 시작일 뿐이며 '폴'이 이끌어갈 후속작에 대한 완벽한 빌드업을 마쳤다.
- 씨네랩 크리에이터 popofil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