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우란2024-12-06 21:19:36

아니지만 결코 아니라고 말하지 않으니까, <나의 서른에게>

<나의 서른에게> 팽수혜 감독 작품, 당신이 추구하는 것이 무엇이든.

* 본 리뷰에는 영화의 결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나의 서른에게 29+1 (2016)  

홍콩 |  드라마 |  15세 이상 관람가 |  105분 

감독: 팽수혜 

 

아니지만 결코 아니라고 말하지 않으니까, <나의 서른에게>

 

 

서른이란 나이는 내게 어른의 증표였다. 대학교 입학하자마자 서른을 바라보는 선배들을 보며 동경 대신 늙음의 웃음을 봤었던 게 엊그제였던 거다. 막연히 '어른'을 '늙음'으로 치부하는 친구들 사이에서 나라고 예외는 아니었기에, 인제 와서야 그 당시 내가 얼마나 한심스러웠는지 뼈저리게 깨닫는 중이다. 군대를 다녀온 남동생이 신입생들에게, 청소년들에게 '아저씨'로 불릴 생각을 하면 뒷골부터 당기지 않겠는가? 그 와중에 내 학번이 남동생 학번 친구들에겐 몇백 년 된 유물과 동급으로 여겨진다는 사실은 또 얼마나 웃기는가.

아주 끝없이 웃음을 유발하는 게 나이인 듯싶다.      

 

<나의 서른에게>를 접한 건 그만큼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젊음과 늙음의 양극단에서 저울질하는 것만큼 의미 없는 짓이 없음을 안 순간부터, 내게 '어른'은 참 다양한 의미를 가져다줬다. 무엇을 가슴에 품고 있는지부터, 어떤 목적이 있고, 갖고 있는 꿈은 무엇이며, 또 그 미래를 위해 현재를 사는 방식은 어떤 것인지, 그리고 정말 앞자리가 바뀌는 날이 오면 내 세상이 천지개벽하여 엄청난 반전이 일어날까, 하는 호기심까지 아주 스펙터클 했다. 결론은 없었다. 완벽한 세상에 사는 내가 아니라서, 완벽한 내가 있을 수 없고, 그렇기에 모든 고민이 기가 막히게 해결되지도 않았다. 그저 나이 앞자리가 +1로 인해 소리 없이 바뀐다는 것 말고는 속 시원한 진실을 알 수 없었다.     

 

<나의 서른에게> 역시 답답한 가슴을 뻥 뚫는 이야기를 하지 않는다. 

내 옆에 앉아 홀로 사색에 잠긴 또래의 삶을 엿보는 것 이상의 의미는 없다. 

그러나 그만큼 의미 있는 건 없었다.

 

출처: 영화 <나의 서른에게> 스틸컷


서로 다른 두 주인공의 이야기가 순차적으로 드라마틱하게 펼쳐진다. 서른을 맞이하는 여성들을 바라보는 수많은 이들의 관점 속에 고군분투하는 첫 번째 주인공, 임약군은 자신마저 같은 매너리즘에 빠져있음을 자각하지 못한다. 마치 자신이 태어나기도 전에 정해진 법칙인 것처럼 서른을 맞이하는 데 온갖 힘을 쏟는다. 서른이 되면, 지금보다는 덜 힘들겠지, 덜 어렵겠지, 덜 아프겠지, 생각하는 것이다. 물론 그런 관점에서 나아가지 못해, 결국 우울함에 빠져버린다. 유일한 탈출구인 남자 친구와의 관계가 위태로운 마당에, 사랑하는 아버지가 떠나고, 승진했지만, 집주인의 횡포에 새로 집을 구해야 할 상황에 놓인다. 그야말로 파도가 급물살에 그녀를 예고도 없이 덮쳐버렸다.      

지금까지 자신 있게 열정적으로 살아왔다고 믿었던 그녀는 파도에 휩쓸린 모래성처럼 초토화가 된다. 그대로 주저앉은 그녀에게 이제 남은 건 고독이다. 단 한 번도 자신의 공허함을 마주 본 적 없었던 그녀는 황천락의 집에 들어가 살면서 새로운 삶을 경험하게 된다. 자신과 같은 나이이지만, 전혀 다른 이의 삶의 방식을 엿보게 되는 그녀. 임약군은 황천락의 일기장을 통해, 가슴 깊이 자신의 과거와 현재를 되돌아본다. 

 

출처: 영화 <나의 서른에게> 스틸컷

황천락은 음반가게에서 일하는 해맑은 친구다. 자신이 무엇을 할 때 가장 행복한 지를 아는 그런 사람. 이빨을 다 내보이며 세상을 향해 방긋 웃는 그녀의 미소가 보일 때마다 덩달아 미소가 지어지는 건 엄청난 힘이다. 고된 하루만을 보내던 임약군에게는 볼 수 없었던 즐거움과 행복이었다. 또한, '현실'이란 말 아래 스스로를 조금씩 죽이고 있는 우리가 제일 염원하는 것이기도 했다. 일상에서, 평범한 하루 속에서 찾는 소소한 행복이 쌓여 지금의 황천락의 삶을 만들었으나, 그녀 역시 지독한 현실을 살고 있었다. 암에 걸렸다는 통보를 받은 순간, 황천락은 더 이상 나이를 생각할 수 없었다 고백한다. '죽음으로 가는 길'에 서 있을 뿐이라는 말과 함께, 오랫동안 꿈만 꾸던 파리 여행을 떠나겠다 선포하는 그녀. 두렵고 복잡한 심경을 담담히 일기장에 써 내려가던 황천락의 글과 무수히 찍힌 사진들을 통해 임약군은 그동안 자신이 무엇을 버려둔 채 미친 듯이 달려왔는지 깨닫는다. 

 

서른이라 부르는 말에, 어른이 되면 나아질 거란 충고에, 프로페셔널한 여성이 되면 모든 고민이 없을 거란 농담에, 다 알면서 남들에게 튀지 않기 위해 수긍하며 살아온 나를 발견하는 임약군. 의미 없는 날이 모여도 괜찮고, 한 번쯤은 쓸데없는 말들에 휘둘려도 좋은 날들 속에서 '나'를 위한 쉼터 하나조차 만들지 않았던 그녀였다. 그제야 임약군은 자신에게 말을 건다. 

이렇게 계속 살아도 되겠냐고, 버틸 수 있냐고, 아니 버틴다고 착각하는 게 아니냐고.


황천락의 이야기에 유방암을 넣어 삶을 다시 꿰뚫어 본다는 점이 허무하고 텁텁한 뒤끝을 남기는 건 어쩔 수 없다. 물론 자극적이진 않았지만, 뻔한 설정이란 평가는 흘려들을 수 없겠다. 인물들에게 주어진 한계 역시 배우만 다르게 나오는 주말 연속극(드라마)에 사용되는 소재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예측이 쉬운 만큼, 긴장감이 결말에 다다를수록 떨어지는 점도 명확하게 느껴진다. 

 

그런데도 <나의 서른에게>를 가벼운 영화라 말할 수가 없었다. 주말마다 연속극을 보며 힐링하는 게 바로 나다. 결말이 무엇인지 알아도 또 보고 싶어 웃고 울면서 텔레비전 앞에 앉아있으니까. 솔직히 그건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지 않은가?  <나의 서른에게>는 진정한 '나'를 찾자는 게 아니라, '현재의 나'를 보듬는 것부터 시작해야 함을 말해준다. 그래서 거창하게 느껴지지 않지만, 확실한 감동을 선사한다. 서른을 바라보고 있는 자도, 훌쩍 넘긴 자도, 한참 기다려야 하는 자도 결국 에펠탑 앞에 서 있는 두 인물을 보고 웃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아직 오지 않았지만, 분명 아니지만, 절대 아니라고 말하지 않는 게, 우리가 가져야 할, 삶을 바라보는 가장 기본적인 태도가 틀림없다. 카메라를 들고 자기 인생 일분일초를 찍으며 그 순간을 기록하고 남기는 황천락의 습관처럼, 우리에게도 나만이 갖고 있는, 세상을 해쳐나가는 비법 하나쯤은 있지 않은가. 그거면 된다. 서로에게서 주고받는 영향은 딱 그 정도면 된다는 소리다. 그 이상은 정말 무의미한 짓이니까. 

작성자 . 우란

출처 . https://brunch.co.kr/@dkdnfk916/397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