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주비2025-02-16 18:54:38

한국 학생들의 웃픈 현실을 꼬집은 영화

<수능을 치려면> 리뷰

대학수학능력시험, 줄여서 '수능'이라 불리는 시험은 매년 전 국민의 관심사가 되며, 한국 학생들은 오직 그날을 위해 공부를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렇게 한마음 한뜻으로 11월 셋째 주 목요일의 수능을 응원한 뒤, 바로 그다음 날부터 내년 수능날을 카운트하는 기묘한 세계 속에 우리는 살고 있다. 그러나 여기, 현대 한국 사회보다 더 기묘한 세계가 있다.

주인공 '유리'는 평범한 작은 마을에 사는 고등학교 3학년이다. 재수라는 단어가 들리면 귀를 틀어막는, 그 누구보다 고삼 다운 학생이다. 수능 당일 집을 나서는 유리에게 엄마가 보내는 '좀비 조심해'라는 안부 인사가 이 세계의 기묘함을 슬며시 알려줄 뿐이다.

좀비가 출몰하는 한국에서도 시간은 흐르고 수능날은 온다. 노란 봉고차를 타고 고사장으로 가는 그 시각, '낮에는 좀비가 안 다니니까 괜찮아.'라는 말이 무색하게 하필이면 좀비가 출몰한다. 그 때문에 운전사 아저씨는 좀비가 되었고 수험생 4명은 차에 갇힌 신세가 된다. 봉고차 안에서 안전하게 있으면 뭐 하나. 수능을 보지 못하면 죽는 것과 같다! 좀비를 피해 고사장에 도착하거나, 죽음보다 끔찍한 재수를 하거나. 선택은 하나다.

유리는 결국 운전대를 잡았고 그들은 그렇게 수능장으로 향한다. 츤데레 수지, 엉뚱한 매력의 아리, 시니컬한 미소, 마지막으로 합류한 한별까지. 과연 다섯 여고생들은 무사히 수능을 치를 수 있을까?

***

한국에서 좀비가 나오는 영화는 <부산행>이 흥행 반열에 오른 이후 급격하게 양산되었다. 그러나 'K-좀비' 타이틀을 달고 나온 수많은 영화들이 전부 색다를 순 없는 법이었다. 대부분은 식상하고 잔인하게 묘사되었다. 그러나 <수능을 치려면> 속에 등장하는 좀비는 그렇지 않다. 이곳 사람들에겐 '좀비'하면 느껴지는 무서운 감정은 흐려진지 오래고, 오히려 귀찮은 존재로 인식된다. 좀비는 여전히 위험한데도 말이다. 바로 이 모순적인 상황이 영화의 묘미라 볼 수 있다.

우리나라 학생에게 수능은 어떤 것보다도 중요하지만 과연 좀비가 나오는 세상에서도 똑같이 적용될까? 영화를 볼수록 마치 코로나 시기의 우리를 보는 듯한 기분이 들었다. 초반의 코로나는 아주 심각하게 받아들여지며 거리 두기나 백신 맞기 등 예방 절차를 철저히 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별문제가 아닌 듯 행동했다. 실제로 김선빈 감독은 인터뷰(하단 링크 첨부)에서 소재의 출처가 코로나19라 밝혔다. 모두를 힘들게 만든 사건조차 시간이 흐르면 웃으며 넘길 수 있는 일이 되기도 한다는 점이 참 아이러니하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유리는 창문을 두드리는 좀비들을 목격한다. 방금 전까지 교문에서 수험생을 응원하던 학생들이 좀비가 되어 시끄럽게 소리치고 있다. 그러나 감독관은 학생들에게 신경 쓰지 말고 수능에 집중하라 말한다. 이 상황에서 유리는 어떤 선택을 할까? 더 나아가,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유리가 수능 아침에 들었던 명상 오디오에서 이런 말이 나온다. '나에게는 내가 원하는 것을 이룰 수 있는 충분한 힘이 있다.' 나는 이 말이 영화의 중심이라 생각한다. 정해진 길을 가든 그 길에서 벗어나든, 자신의 선택이 흔들릴 때마다 되새겨보자. 어떤 선택을 하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그 결과를 받아들일 힘이 충분하다면 어떤 도전도 더 이상 두렵지 않을 것이다.

수능을 치지 않아도, 살면서 몇 번 고꾸라지더라도, 유리창을 깨고 달려올 좀비를 피해, 그리고 정해진 길에서 벗어나 받을 따가운 시선에 맞서 힘껏 달려보자.

이상 <수능을 치려면> 리뷰였습니다.

 

김선빈 감독 인터뷰 링크: https://naver.me/GTn8mPxB

작성자 . 주비

출처 . https://blog.naver.com/jub_dlrjtwjrjt/223762610418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