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또또비됴2025-04-02 00:00:26

폭우 같은 호러에 침수된 미스터리

<베니스 유령 살인사건> 리뷰

 

 

 <오리엔트 특급 살인> <나일 강의 죽음>에 이어 <베니스 유령 살인사건>까지 애거사 크리스티의 원작을 꾸준히 영화화하고 있는 케네스 브래너의 집념은 대단하다. 고전의 힘을 믿고 이를 복원하는 그는 과거 <햄릿> <헨리 5세> <헛소동> 등 셰익스피어의 고전을 길어 올린 바 있다. 그가 연출한 <토르> 시리즈에서도 <햄릿>의 느낌이 강하게 느껴지는 건 이상한 일이 아닐터. 하지만 고전의 맛을 살리는 유일무이한 연출자로서 그의 노력은 예상 가능한 지점까지만 빛난다. 그 문제점은 이번 영화에서도 반복된다. 

 

 과거엔 명탐정, 하지만 지금은 은퇴자! 에르큘 포와로(케네스 브래너)는 현직에서 물러나 베니스에서 꿀맛 같은 평범한 삶을 산다. 물론 집 밖에는 하염없이 그를 기다리는 의뢰자들이 있지만. 그러던 어느 날 오랜 친구이자 베스트셀러 작가인 아리아드네 올리버(티나 페이)가 찾아와 부탁 하나를 한다. 다음 책 집필을 위해 심령술사 조이스 레이놀즈(양자경)의 실체를 밝혀달라고. 이를 승락한 포와로는 올리버와 함께 핼러윈 밤 로웨나 드레이크(켈리 라일리)의 저택에서 열리는 교령회에 참석한다. 죽은 딸 알리시아의 목소리를 듣고 싶은 엄마 드레이크의 소원에 의해 레이놀즈는 이곳으로 오고, 곧이여 교령회가 시작한다. 하지만 왕년의 명탐정 포와로는 수상한 낌새를 느낀다. 그리고 어김없이 의문의 살인사건이 벌어진다. 이 집에 있었던 모든 이들은 유력한 용의자. 또 한 번 포와로의 추리는 시작된다.

 

 

 

 

 

 

 <베니스 유령 살인사건>은 확실히 전작들과 다르다. 이전 두 작품에서 보이는 멋진 배경과 공간은 찾아보기 힘들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관광지인 베니스는 어둠으로 가려져 오로지 공포로 점철된 무대로서만 활용한다.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번 영화의 주요 소재는 유령이다. 포와로처럼 극강 T이고 트릭이 전혀 통하지 않는 이에게도 그 서늘함이 느껴질 정도의 어둠과 공포의 공간, 그리고 밀실 살인은 그 자체로 흡입력을 갖는다. 

 

 애거사 크리스티의 소설 <핼러윈 파티>가 원작인 이번 영화는 포와로에게 큰 시련을 안겨준다. 그건 바로 ‘죽음’. 극 중 시간적 배경은 세계 제2차 대전 이후이고, 탐정이란 직업으로 인해 죽음의 그림자가 언제나 그의 곁을 따라오는 것에 정신적으로 시달렸던 그였기에 이번 작업은 그 자체로 고난도다. 내적 아픔으로 진실을 보지 못하는 그는 부상을 입고 실전 경기에 뛰는 선수처럼 이 밀실 추리에 참여한다. 물론, 포와로 실력은 녹슬지 않았다. 하지만 그도 인간이기에 죽음은 물론, 나이듦에 대한 공포는 그를 계속해서 괴롭힌다. 

 

 

 

 

 

 

 전작과의 차별화 포인트를 주기 위한 공포는 영화 전체 분위기를 압도한다. 호러 영화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점프스퀘어나 샹들리에가 갑자기 떨어지고 원혼들의 소리 등의 효과음, 비틀어진 숏 구도 등 갖가지 효과와 카메라 앵글로 공포감은 조성된다. 이를 통해 포와로는 물론, 주변인들의 불안감을 증폭시키며 그 자체로서 긴장감을 배가 시킨다. 

 

 

 

 

 

 

 하지만 호러의 강도가 커서인지 추리와의 불균형을 이룬다. 후반부로 갈수록 미스터리가 강조되어야 하는데, 호러가 추리를 집어삼키는 듯한 느낌이 다분하다. 극 후반부, 포와로의 예리한 추리력과 숨겨진 진실을 찾아내는 귀신인 그의 능력이 튀어나오며 미스터리의 방점은 찍지만, 전작에 비해 추리의 재미는 덜하다. 마치 추리 보단 억울한 죽음을 맞이한 망자의 살풀이 같은 느낌이 더 강하고, 망자를 잃은 자들의 슬픔을 위로하는 부분이 더 깊게 보여진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전작 보다 범인은 쉽게 유추되는 건 아쉬운 부분이다. (전작과 더불어 이 작품의 원작을 읽지 않았다는 점 참고 바란다.) 

 

 

 

 

 

 

 매번 느끼는 것이지만 케네스 브래너의 고전 되살리기 영화는 그 자체로 의미는 있다. 이런 고전이 가진 힘을 영상 매체로 전하는 건 계속되어야 한다고 본다. 하지만 그의 영화는 고전의 숨겨진 아름다움을 복원하는 것에 그치고 만다. 그러니까 이 고전을 작금의 시대에 왜 길어올렸는지에 대한 접점이 약하다. 아마 코로나19를 겪은 후 내놓은 작품이라는 점에서 ‘죽음’의 키워드를 활용하고자 이 원작을 선택했을 것으로 유추되지만, 좀 더 설명적인 부분이나 직접적인 부분이 더 가해졌으면 좋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노력에 비해 낮은 평가는 관객으로도 아쉬운 입장이다. 

 

 <베니스 유령 살인사건>은 새로운 추리 영화를 만나고 싶은 분들이라면 좋은 선택이다. 단, 원작을 읽지 않으면 더 좋을 것 같다. 원작을 읽은 분들이라면 추리적인 부분의 재미는 확실히 떨어지기 때문이다. 케네스 브레너 감독의 포와로 시리즈가 계속 이어질지는 모르겠지만, 만약 만든다면 고전과 현실의 다리 역할을 견고히 하길 바란다. 그래야 고전의 맛은 계속될 테니까. 

 

사진제공: 월트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평점: 2.5 / 5.0 
한줄평: 호러와 미스터리의 불균형 속 평이한 추리

작성자 . 또또비됴

출처 . https://brunch.co.kr/@zzack01/303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