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복림2025-05-06 11:07:55

내 인생은 내가 마음먹기 나름

영화 <체리향기> 리뷰

 

 

내 인생은 내가 마음먹기 나름

 

- 영화 <체리향기> 리뷰 -




 

'내 인생의 체리 한 알은 무엇인가?' 영화를 보는 내내 들었던 생각이다. <체리향기>는 한 편의 로드 무비이다. 바싹 마른 흙과 먼지로 둘러싸인 구불구불한 풍경, 주인공 '바디'와 그가 만나게 되는 사람들이 차 안에서 주고 받는 대화가 이 영화의 전부이다. 카메라의 움직임과 연출은 정적, 생략, 절제되어 있어서 영화보다는 한 편의 다큐멘터리를 보는 느낌이 강했다. 롱테이크와 정적인 움직임, 관찰자적인 시점이 주를 이루었고, 음향 역시 인위적인 음악 대신 자연의 소리만 등장한다. 때문에 인물들의 대화나 표정, 감정에 더 집중할 수 있었고 직접적인 감정 표현 대신 그들의 표정, 특히 눈빛을 통해 감정이 섬세하게 전달되는 듯 했다.



바디가 바라보는 세상

영화 속에서 카메라가 세상을 바라보는 시점을 통해 바디의 내적 외로움과 적막함을 더 잘 느낄 수 있었다. 바디가 사는 동네는 나무 한 그루도 보기 힘든 허허벌판이다. 지나가는 사람도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이러한 공허한 풍경들은 자신의 감정을 함께 나눌 사람도, 쉬어갈 곳도 없던 바디의 내적 외로움을 더욱 효과적으로 보여준다. 카메라의 시점이 곧 바디의 시점인 것이다. 바디에게 있어 몸과 마음의 온전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곳은 그가 죽음을 계획했던 '나무 아래의 구덩이' 뿐이다.

 

영화의 중반부 쯤, 바디는 어느 공사장에 도달한다. 공사장 한복판에서 힘 없이 굴러 떨어지는 돌덩이들이 화면에 잡히고, 계속해서 떨어지는 돌 위로 바디의 그림자가 드리운다. 바디는 그런 돌과 흙을 유심히 관찰하다가 공사장 한 편에 주저앉은 채 괴로운 듯 머리를 감싼다. 쉴 새 없이 낙하하는 흙과 돌의 모습은 현재 바디의 내면을 잘 보여주는 것 같았다. 끝 없는 추락을 반복하다가 더 이상 떨어질 곳도 없어 스스로 죽음을 결심하고, 이를 계획한 자신의 인생을 고뇌하던 바디의 감정이 가장 잘 느껴지는 장면이었다.

 

 

노인의 이야기

 

이름 모를 '노인'은 바디의 제안을 유일하게 받아들인 인물이자, 부탁을 들어주는 것을 넘어 죽음의 문턱에서 바디를 데려오고 인생의 전환점을 마련해주는 존재이다. 극 중 노인은 자연사 박물관에서 동물 박제를 만드는 일을 하고 있다. 박제사는 살아있는 생명을 멈추게 하는 직업이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노인은 박제된 동물처럼 정지할 뻔했던 바디의 삶에 다시 움직임을 불어넣는다. 두 인물의 대화 장면에서 노인은 자신의 인생 이야기를 들려주며, '체리 한 알'이 자신의 삶을 바꾸어 놓았다고 말한다. 바디는 만나는 사람마다 자신이 겪는 내면의 고통은 그 누구도 이해할 수 없다고 말하지만, 노인만큼은 바디와 유사한 경험을 가진 인물이기에 서로 깊은 내적 공감대를 형성한다. 그렇기에 누구보다도 바디의 마음을 움직이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존재라고 볼 수 있다.

 

노인은 바디가 제안한 금전적 보상에 처음엔 큰 관심을 보이지 않다가 결국 이를 받아들이지만, 그 돈을 자신의 물질적 욕구가 아닌 아픈 자식의 치료를 위해 사용할 것이라고 말한다. 노인에게 있어 진정으로 중요한 것은 물질적 보상보다도 한 사람에게 인생에 대한 애착을 갖게 하는 일이었고, 어쩌면 그는 체리 한 알을 통해 금전적 풍요보다 내면의 충만함이 더 값지다는 사실을 깨달았던 것일지도 모른다.


바디의 이야기

 

바디는 자살을 결심한 한 남자이다. 그리고 자신의 마지막을 도와줄 사람을 찾아다니지만 모든 사람들이 그의 제안을 거절한다. 그러다 마지막으로 만나는 노인을 통해 인생의 가치를 깨닫는다. 

 

 

Image

 

극 중 노인을 다시 찾아간 바디는 찬찬히 동네의 풍경을 바라본다. 노을이 지는 풍경, 동네 아이들의 웃음소리, 하늘의 색감 등, 지금 현재 살아있기에 볼 수 있고 누릴 수 있는 소중한 것들을 차분히 관찰한다. 이 순간은 바디에게 인생의 새로운 전환점이 되었을 것이다. 이전에는 ‘생기라곤 찾아볼 수 없는 황량한 공간’으로 여겨졌던 세상이 이제는 ‘살아갈 가치가 있는 공간’으로 다가온 것이다. 노인이 '체리 한 알'로 인해 인생이 달라졌던 것처럼, 이 순간은 바디 인생의 '체리 한 알'이 되어 주었다.

 

마지막 장면에서 바디는 구덩이 안에 누운 채, 구름 낀 캄캄한 밤 하늘을 조용히 응시힌다. 그의 눈빛을 통해 깊은 생각에 잠긴 감정이 고스란히 전해진다. 바디는 결국 스스로 삶을 끝냈을까? 이에 대한 결과는 보여주지 않은 채 영화는 막을 내린다. 나는 바디가 다시 삶을 선택했으리라 생각한다. 외로움과 고통 속에서 몸부림치던 그는 어쩌면 자신의 마지막 순간을 도와줄 사람보다 그저 함께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사람, 혹은 죽기로 마음먹은 자신을 붙잡아줄 누군가를 간절히 원했던 것이 아닐까. 인간은 혼자일 수 없는 존재이자, 존재의 의미는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바디는 그 짧은 만남 속에서 ‘살아 있음’의 가치를 체험했고, 그 깨달음은 다시 살아가고자 하는 욕망으로 이어졌을지도 모른다.

 

 

 

<체리 향기>는 세상을 등지고 살아가는 이들에게 조용하지만 강한 메시지를 전한다. 전체적으로 절제된 연출과 많은 생략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화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무엇보다도 크게 다가온다. 노인이 말했듯, 같은 하루라도 어떤 시선으로 바라보느냐에 따라 그 의미는 전혀 달라질 수 있다. 시간에 쫓기고, 피로에 지쳐 더 이상 살아갈 이유를 찾지 못한 채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이 그의 곁에 있는 아름답고 소중한 것들을 알아차리지 못한 채 지나쳐버리곤 한다. 이 영화는 그런 이들에게 삶을 다시 돌아보게 만드는 묵직한 위로가 되어줄 수 있다.

 

지금 우리가 보내고 있는 이 시간들은 결코 무의미한 것이 아니다. 물론 아무런 의지도 없이 그저 흘려보낸다면 의미를 갖기 어렵겠지만 마음가짐을 조금만 바꾸고 하루를 대하는 태도를 달리한다면, 지금 이 시기가 내 인생에 가장 가치 있는 순간이 될 수 있다.

 

모든 것은 마음먹기 달렸다.

내 인생 역시 내 마음먹기에 달렸다.

 

작성자 . 복림

출처 . https://blog.naver.com/jyr2337/223856601154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