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S2025-06-23 13:55:55

신의 가여운 실험

<가여운 것들> (2023)

 

  영국의 빅토리아 시대를 바탕으로 하고 있지만 영화 속 드러나는 배경은 과거와 미래를 혼란스럽게 조합하는 세계 속에서 신의 실험이 시작된다.

 

 

 

 

 벨라가 탄생한 런던에서 아이의 지능을 가진 벨라의 시선으로 본 세상은 흑백이다. 덩컨과 함께 리스본으로 모험을 떠나는 순간부터 흑백에서 컬러로 변화하고, 성에 눈을 뜨고 상류 사회 사람들이 사는 방식과 사람들의 감정을 배우기 시작하면서 경험하는 것들이 많아질수록 색은 더욱 다양해지거나 혹은 누그러지는 것과 같이 벨라가 경험하는 세계에 따라 색은 시시각각 변화한다.

 

 

  

 

 갓윈의 집 안에서 억압되어 있던 벨라에게 자유롭게 해 주겠다는 달콤한 말로 그녀를 꾀어내지만 결국 벨라에게 상류 사회의 규범을 강조하며 그녀의 언어마저 구속하고, 행동을 통제하며 벨라를 또 다른 감옥에 가두는 덩컨에 의해 크루즈, 즉 바다 한가운데 감금당하는 순간부터 리스본을 채우고 있었던 다양한 색들이 거의 사라지고 그녀가 바라보는 세상은 다시 파란색과 노란색이 주를 이루게 된다. 크루즈에서 벗어나 알렉산드리아에서 현실을 직시하게 되어 슬픔, 연민과 같은 감정을 배우게 되는 순간 벨라가 바라보는 세상은 온통 따듯한 노란 계열로 뒤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녀가 크루즈에서 쫓겨나 새롭게 경험하는 파리는 단조로운 파란색이 주를 이루게 되는데, 그녀가 입은 의상은 노란색 계열이지만 파리의 사창가의 배경은 슬픔과 연민의 감정은 없다는 듯 노란색 계열을 쉽게 찾아볼 수 없는 것이다. 파리의 사창가에서 그녀의 성적 쾌락을 이용하여 경험하는 것은 그녀에게 새로운 세상이 펼쳐진 것이라고 할 수 있지만 그녀가 바라본 세상의 색이 파란색 계열로 단조로워지는 것을 보아 다른 경험과 달리 자신의 자아실현에 전혀 도움을 주지 않는다.

 

 

 

 벨라의 시선 각도와 앵글 역시 눈여겨 볼 부분이다. 벨라는 리스본에 도착하고 덩컨을 내버려둔 채 처음으로 혼자 세상 밖으로 나와 하늘을 올려다본다. 그녀의 시선에 맞춰 하늘을 보여주면 다양한 물고기들이 날아다니며 하늘 위로 이동하는 이동 수단을 통해 관객에게 마치 미래에 와 있는 듯한 느낌을 전달하기도 한다. 이러한 상승 이미지를 통해 벨라가 세상을 처음 만나는 순간 느끼는 흥분감과 세상을 우러러 보고 있다는 느낌의 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반면 알렉산드리아에서 벨라가 생각하던 것과 정반대의 현실을 마주하며 세상의 고통과 범죄를 자각하게 된 벨라의 시선을 보여주듯 위에서 내려다보는 시선을 하이 앵글 샷, 즉 버드 아이 뷰를 사용하여 하강 이미지를 만들어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앵글을 통해 하강 이미지를 관객에게 보여주며 벨라가 현실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 알 수 있으며 벨라의 시선 아래 위치한 현실을 상류 사회 속 벨라가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보고 있어 계급 차이 또한 느낄 수 있는 구도인 셈이다.

 

 

 

 벨라의 모험이 끝난 이후 그녀가 원래 지냈던 런던의 집으로 돌아오게 되면 다시 색이 다양해지는데 이는 벨라가 경험한 세상을 통해 얻게 된 것들이 더 이상 누군가로부터 억압받지 않고 벨라가 자유로워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일한 존재를 만들고 싶었던 신의 실험은 과연 성공했다고 할 수 있을까? 죽고 싶어 다리 아래로 투신하여 자신을 억압하고 고통스럽게 하는 세상에서 벗어나고 싶었던 빅토리아의 처절한 선택마저도 누군가에 의해 무시당했다. 또한 타의, 벨라의 창조주인 갓윈에 의해 어린 아이의 뇌를 가진 채 벨라 백스터라는 이름으로 다시 태어나, 다시 수많은 존재들에게 억압을 당하다가 이내 자아를 실현하기 위해 누구도 알려주지 않는 옳지도, 틀릴지도 모르는 자신만의 방법으로 세상의 현실을, 감정을 배워가는 벨라가 바로 이 영화의 제목인 가여운 것인 셈이지 않을까. 과연 사랑이라는 핑계로, 사회적 통념이라는 이유로 누군가를 억압하고 구속하는 것이 정당한 것인지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하지만 마지막 장면에는 다양한 색들이 벨라의 세상을 이루며 막을 내리는 것을 보아 벨라가 여러 도시를 다니면서 경험한 것들이 전부 쓸모없지는 않았다는 사실을 증명해 주는 듯하다. 누군가에게는 옳을 수도 있다는 경험이 누군가에게는 옳지 않은 경험이 되고, 누군가에게는 옳지 않다고 생각되는 경험이 누군가에게는 옳을 수도 있는 경험이 되는 세상 속에서 우리는 자신만의 시선을 가지고 자신에게 옳다고 생각되는 경험들을 끊임없이 해 나가야 하지 않을까. 또한 이를 통해 스스로가 바라보는 세상이 자신의 색으로 물들 때까지 다양한 경험들을 쌓는 것이 우리를 억압하는 사회적 시선에서 벗어날 수 있는 탈출구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작성자 . S

출처 .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