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또비됴2025-07-06 22:44:16
경이로움이 사라진 공룡 세계
<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 리뷰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이 개봉한 이후 3년 만이다. 새로운 시작을 알리기엔 짧은 시간이지만,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공룡들은 또 한 번 극장에서 큰 울음소리를 준비하고 있다. <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은 부제처럼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작품이라고 말하지만, 정확히 말하자면, 기존 시리즈에서 봐왔던 콘셉트의 조각을 가져와 이어 붙인 스핀오프의 느낌이 강하다. 그래서일까? 스크린으로 재현한 거대한 공룡들의 모습은 반갑지만, 모든 점에서 그 매력이 떨어진다. 혹평을 받은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 보다도 말이다.
공룡과 인간은 공생하기로 했다. 하지만 지구는 공룡이 지배하던 환경이 아니었다. 도심에 사는 공룡들은 하나둘 사라졌고, 적도 부근에 있는 공룡들만이 생을 이어 나간다. 이런 상황에서 인간의 탐욕은 또다시 공룡을 향한다. 신약 개발에 공룡 DNA가 필요해진 제약회사 ‘인젠’(이 회사가 문제여~) 직원 마틴(루퍼트 프렌드)은 특수 용병 조라(스칼렛 요한슨)와 고생물학자 헨리(조너선 베일리), 과거 조라와 함께 일했던 용병 던컨(마허셜라 알리)과 함께 공룡들이 서식하는 생 위베르 섬에 잠입한다. 이들의 임무는 가장 큰 육해공 공룡들의 혈액 표본을 가져와야 하는 것. 한편, 요트 여행을 떠난 한 가족은 모사사우르스에 의해 조난을 당하고, 조라 일행은 이들을 구하러 간다.
<쥬라기 월드>(2015)는 평단과 관객 모두에게 호평을 받았다. <쥬라기 공원 3> 이후 14년 만에 작품이자, 1편의 감성과 재미를 살짝 변주해 오롯이 담았기 때문이다. 이는 <쥬라기 공원>(1993)에 오마주를 바친 것과 동시에, 이 작품이 당시 관객에게 소구한 포인트들을 복원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었다. <쥬라기 공원>을 극장에서 본 관객이라면 이 작품을 안 좋아할 수 없었을 터. 그리고 14년이란 시간이 주는 장점, 즉 과거 이 영화를 만난 관객이 어른이 되어 자식들과 함께 극장을 찾는 이점 또한 수익 측면에서 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은 <쥬라기 월드>의 흥행 레퍼런스를 따라가지 않는다. 너무 빠른 시간에 나온 속편이라는 것은 <쥬라기 월드> 장점을 복원하는데 큰 장애물이다. 대신 공룡을 타깃화한 인간의 이기심을 또 한 번 재현하면서 자연, 지구의 황폐화를 이끄는 인간의 악한 모습을 전면에 내세운다.
심장병 치료제를 위함이라는 공익성을 내세우지만, 돈을 벌기 위해 팀을 만드는 마틴이나, 공룡 박물관 문을 닫아야 하는 처지에 놓이며 돈이 필요한 헨리, 불투명한 미래에 돈이 필요한 조라와 던컨 등 30년 전이나 지금이나 인간은 악하다. 물론, 섬에 들어가 미션을 수행하면서 겪게 되는 갖가지 위험을 경험하면서 이들은 각성을 한다.
하지만 이 개과천선 캐릭터들은 너무나 단편적으로 그려진다. 오롯이 임무를 수행해야 하는 것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점에서 인물들의 쓰임새 폭이 좁고, 입체감도 떨어진다. 중요한 건 이 일을 왜 해야 하는지에 대한 당위성이나 감정 이입 측면이 빠져 있다. 눈은 물론, 마음도 움직여야 이들의 고난을 함께하는데, 이 부분도 덜컹거린다. 영화는 <쥬라기 공원>에서 그랜트 박사와 두 아이가 보여줬던 유사 가족애를 벤치 마킹해 엉겁결에 이들과 섬에서 고난을 함께 하는 요트 가족을 출연시키지만, 이들 또한 감정 이입이 쉽지 않아 가족애를 느끼기가 어렵다. <쥬라기 월드: 폴른 킹덤>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도 캐릭터를 잘 그린 작품은 아니었지만, 인물의 흡입력은 두 편 보다 후퇴한 느낌이다.
이 시리즈의 팬이라면 인간 캐릭터와 스토리보단 공룡 액션 등 영상 퀄리티에 더 집중할 것이다. 특히 이번 감독은 <고질라>(2014), <로그 원: 스타워즈 스토리>(2017), <크리에이터>(2023) 등을 연출한 가렛 에드워즈 감독이라는 점에서 공룡 구현에 대한 기대감이 컸다. 거칠고, 위협적이고, 좀 사악해 보이도록 공룡을 디자인했다는 감독의 말처럼, 모사사우루스, 케찰코아틀루스 등이 주력으로 담긴다. 물론, 티렉스도 빠지지 않는다. 전작과의 차별화 포인트로서 이종교배로 탄생한 돌연변이 공룡들도 나온다.
볼거리가 충분하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공룡들 또한 시간이 지날수록 매력이 떨어진다. 육해공 가장 큰 공룡들을 대거 투입하고, 후반부에 돌연변이 공룡들이 등장하지만, 인간들처럼 강렬한 인상을 남기지는 못한다. 특히 돌연변이 공룡들을 통해 인간들을 향한 분노가 서려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었지만, 그런 감정을 몰아가는 연출력이 부재하면서 극의 긴장감을 부여하기 위한 장치로 전락한다. 물론 대중 영화로서, 그것도 여름 블록버스터에 걸맞은 볼거리와 즐거움을 주지만 너무나 쉽게 휘발되는 건 아쉬움을 남긴다.
세로 자막으로 <쥬라기 공원> 극장에서 본 1인으로서 이 시리즈가 계속 나오는 건 반갑다. 하지만 반대로 가장 아쉬운 건 ‘경이로움’이 사라져가는 것이다. 마이클 클라이튼이 텍스트로 복원한 공룡 세계를 스티븐 스필버그가 스크린으로 구현했을 때의 그 경이로움은 지금도 소름을 돋게 한다. 쥬라기 공원에 도착해 살아있는 공룡들을 봤을 때의 그랜트 박사의 표정은 아마 전 세계 모든 관객의 표정과도 일치했을 것이다. 시리즈가 거듭될수록 경이로움은 덜할 수밖에 없다는 건 알고 있지만, 그럼에도 30년도 넘은 그때의 감흥을 극장에서 다시 얻고 싶은 마음은 관객으로서 어쩔 수 없나 보다. 부디 이 시리즈를 극장에서 처음 본 아이들에게는 경이로움이 꼭 전해지길 바란다.
덧붙이는 말: 쿠키는 없다. 쿠기가 없어서 더 스핀오프처럼 느껴지는 걸까.
사진 출처: 유니버셜 픽쳐스
평점: 2.5 / 5.0
관란평: 색다른 것 없는 쥬라기 월드 재개장!
- 1
- 200
- 13.1K
- 123
- 10M